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운목향 雲木香과 토목향 土木香의

효능면 구분 사용이‘바람직’

목향 木香이라는 이름으로 기록된 종류는

목향 木香(운목향 雲木香, 당목향 唐木香)·

천목향 川木香· 토목향 土木香· 청목향 靑木香 4종으로

모두 이기약 理氣藥에 속하는 대표적인 한약재이다.

오랫동안의 사용기록을 가지고 있으나,

그 기원 및 효능 그리고 최근에 들어

청목향 靑木香의 경우 독성문제로

사용이 제한되는 등의 논란이

지속되어오고 있는 한약재이기도 하다.

모두 약용 부위가 뿌리인 관계로

가을에 채취하여 잡질을 제거하고 건조한다.

1.목향류 木香類의 기원

4종 목향 木香은

국가에 따라 기원식물을 약간 달리하고 있다.

목향 木香(운목향 雲木香, 당목향 唐木香)은

공통적(KHP, CP, JP, THP)으로 Aucklandia lappa로,

천목향 川木香은 CP에서 Vladimiria souliei 또는

회모천목향 灰毛川木香 V. souliei var. cinerea로,

토목향 土木香은 KHP, CP, DKP에서 Inula helenium으로,

독성으로 사용이 금지된 청목향 靑木香 Aristolochia contorta은

DKP에서 토청목향 土靑木香이라는 이름으로 등재되어 있다.

사실 목향 木香의 이명 異名으로

청목향 靑木香, 토목향 土木香의 이명 異名에

목향 木香, 청목향 靑木香의 이명 異名에

토목향 土木香이 있는 등 명칭 혼란은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다.

기타로 CP에서 장목향 藏木香이라는 이름으로

총상토목향 總狀土木香 Inula racemoesa이 등재되어 있다.

산출지역을 보면, 木香(雲木香, 唐木香)은

중국의 西南(雲南, 四川), 華南(廣西, 廣東)지역 에서 산출되며,

川木香은 중국의 西南(四川), 西藏지역에서 산출되고,

土木香과 靑木香은 한국과 중국에서 모두 산출된다.

목향류 木香類 모두 크고 質이 단단하며

향기가 강한 것을 상품 上品으로 하며,

木香(雲木香, 唐木香)의 경우에는

유성 油性이 많은 것이 좋다.

2.약효상의 차이

이를종합하여세분하면,

①현재 독성 毒性 및 부작용으로 유통금지되어 있는

청목향 靑木香의 경우(aristolochic acid 성분을 함유하며,

이것이신장암을유발),우리나라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식물이라는 점에서 민간요법 수준에서라도

절대 사용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②한국의 약재시장에서 주로 유통되어지고 있는

목향 木香(雲木香, 唐木香)은 상초 上焦〜 중초 中焦

행기약 行氣藥의 효능으로(예 : 星香正氣散 등),

토목향 土木香은 중초행기약 中焦行氣藥(예 : 加味平胃散 등)의

효능으로 구분함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③중국약전에 등재되어 있고

중국시장에서 유통되어지고 있는

천목향 川木香의경우,

청목향 靑木香의 귀경 歸經과 효능 效能이

유사하다는 점에 근거하여

중초 中焦〜 하초 下焦 행기약 行氣藥(예 : 木香檳 丸)으로

활용됨이 바람직하다.

독성문제를 안고있는 청목향 靑木香의

대안약물이라고 볼 수 있다.

여기에 최근 항산화효능에서 천목향 川木香의 효력이

기타 목향류 木香類에 비해 탁월하다는 연구결과

(13년도 우석대 한의대석사논문-이승호)에 근거하여

이러한 부분에서의 적극적인 활용도 고려해봐야 할 것이다.

약재상태 외부형태의 특징적인 감별기준점은 다음과 같다.

[목향, 운목향]

 

 

1)목향 木香( 운목향 雲木香, 당목향唐木香)

자르기 전 모습은

마른뼈모양( 魚筒-오래된것일수록심하다)이 특징적이며,

표면은 황갈색 또는 회갈색으로 그물모양의 뚜렷한 주름이 있다.

절단된 모습은 단면의 형성층환 環이 명확하며

갈색으로 방사상의 무늬와 황갈색 점상 點狀의

유실 油室(주사점 朱砂點)이 흩어져있다.

씹어보면 다른목향과는 달리 씹어도 입에 붙지않는 특징이 있다.

[토목향]

 

 

2)토목향 土木香

자르기 전 모습은 표면이 황갈색, 회갈색 또는

갈색이며 세로주름이 많고 횡생 橫生하는 피공 皮孔이 보인다.

절단된 모습은 단면이 약간 평탄하며

피부皮部는 회갈색이고 목부 木部는 회백색으로

뚜렷이 구분되는데, 종색 棕色의 유점油點이 가끔 보인다.

[천목향]

 

 

3)천목향 川木香

자르기 전의 모습은 머리 부위에는

유두 油頭(糊頭)라고 부르는 검은 색이면서

끈끈한 아교모양의 물질이 특징적이며,

바깥 부분이 탈락한 곳에는 수세미모양의 가는

근맥 根脈을 볼 수 있다.

절단된 모습은 단면이 황백색〜황색이며

어두운 황색의 유점 油點이 드문드문 있고 찢어진 틈새가 보이며,

환상의 형성층은 목부가 넓고 방사상의 무늬가 있으며

중심이 말라썩어있는 경우도 있다.

씹어보면 이에 달라붙는다.

[청목향]

 

4)청목향 靑木香

자르기 전의 모습은 뿌리가 상대적으로 매우 작으며

표면은 황갈색 또는 회갈색으로 엉성하고 세로주름과

수근 鬚根의 흔적이 있으며, 질質은 약하여 쉽게 절단된다.

절단된 모습은 단면이 평탄하지 않고,

형성층의 환 環은 뚜렷하며 황갈색인데,

피부 皮部는 엷은 황색이며 목부 木部는 넓고

황갈색 혹은 백색으로된 사선射線이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출처: 한의신문,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우석대 한의대 본초방제학교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목향이란 약재는 좀 생소하실 수 있는데요.

의외로 사용빈도가 높은편에 속합니다.

소화기계통에는 반드시 사용하기 때문인데요.

특히나 향이 좋기에 이런 이름이 붙었습니다.

 

하지만 이 향은

사람에 따라 호불호가 갈릴수도 있겠네요.

 

성질이 따뜻해서

배가 차서 생기는 복통, 구토, 설사에 사용합니다.

 

국내에서 일부 목향이 채취되어

토목향이라는 이름으로 유통이 되긴 하지만,

굳이 국산을 고집할 이유는 없습니다.

  

 

 

 

중국에서 목향의 주 생산지는 운남성입니다.

워낙에 유명하기 때문에 운목향이라는

명칭이 붙을 정도로 중국에서 수매량이

1,2위를 다툽니다.

 

그래서 목향은 대부분 중국산을 사용합니다.

미얀마나 인도 일부에서 자생한다고도 알려져있지만

운남성만큼 유명하지 않기에 패쓰~-_-;;

 

특히 시중에서 청목향이라는 약초이름을

들으실 수 있으실텐데요.

 

청목향은 독성이 있어

현재 유통이 금지된 약재이니

혼동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좋은 목향은 정유성분이 풍부하기 때문에

향이 강하고 속이 꽉차서 튼실하게 좋습니다.

 

 

 

 

목향은 식품으로 사용불가한 약재입니다.

 

혹시나 공진단을 만들고자 하신다면

식품으로 사용가능한 침향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p.s: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침향이나 사향은  진위논란이 있어서

목향을 사용하는게 낫다고 보여집니다.

 

하지만, 식품으로 사용불가하니..

이걸 풀어줬으면 좋겠는데

목향이 가진 알칼로이드 성분 때문에

식품사용으로는 힘들것 같네요.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세신은 쥐방울덩굴과

족두리풀의 뿌리 및 뿌리줄기를 말합니다.

쥐방울덩굴과에는

대표적으로 마두령과 청목향이 있습니다.

마두령은 쥐방울덩굴의 열매이고,

청목향은 쥐방울덩굴의 뿌리입니다.

 

유럽에서 신장기능 이상, 신장암 및 방광암을 유발시킨 식물은

당시 중국에서 홍콩을 경유하여 유럽으로 수출되던 중

목방기 대신 광방기 등 이름이 비슷한 기원식물이

다른 약재를 오용하던 중에 발생한 사건이었습니다.

 

목방기와 달리 광방기에는 청목향의 성분과 마찬가지로

신장암을 유발시키는 아리스톨로크산이 있습니다.

수년전부터 국내에서 청목향과 광방기는 금지되어

지금까지 시중에 유통되고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세신이나 목통에도 이 성분은 미량 들어있으며,

향후 독성에 대한 평가결과에 따라 유통여부는 달라질 수도 있으리라 봅니다.

 

청목향이 유럽과 미국에서 금지되자 2003년,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던 청목향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독성시험이 있었습니다.

당시 국내산과 중국에서 수입되던 쥐방울덩굴이 둘 다 유통되고 있었는데,

연구는 국내산 쥐방울덩굴(Aristolochia concorta)에 대한

일반독성시험과 유전독성시험이 실시되었습니다.

유전독성시험결과 마두령은 복귀돌연변이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것은 물론

마우스의 골수세포에서 약하기는 하지만 소핵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청목향 역시 복귀돌연변이 및 소핵을 유발하는 것으로 결론이 났습니다.

 

일반독성 시험은 13주 반복독성시험으로 진행되었으나

사망하거나 체중변화가 있거나 검사상 특이한 독성 등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부검소견 결과, 수컷 500mg/kg 투여군에서 비선위의 비후 및

암수 125 및 500mg/kg 투여군에서 비선위부 편평세포 과형성,

암수 50mg/kg 투여군에서 평편세포 유두종,

수컷 500mg/kg 투여군에서 편평세포의 궤양과 미란,

암수 25mg/kg 이상 투여군에서 방광의 이행상피세포 과형성이

유발되었음이 보고되었습니다.

무해용량(NOAEL)은 수컷과 암컷에서 5mg/kg로 언급되었습니다.(김충용, 2003)

 

결국 2005년 6월 1일부로 이들 약재는 시중에서 퇴출되었으며

유통이 정식으로 금지되기에 이르렀습니다.

 

지금도 유통되고 있는 세신은 어떨까요?

세신 역시 신장독성이 있는 약재입니다.

때문에 신장에 이상이 있는 환자들에겐 사용을 금하거나 주의해야 합니다.

20g 이상 복용시 입술, 혀, 사지 말단에 마비감을 느끼게 됩니다.

물론 복약을 중단하면 수시간 내로 회복이 됩니다.

동물들에게 장기간 소량으로 먹였더니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요?

고양이나 개, 쥐 등에게서 간이나 콩팥에 지방변성을 일으켰습니다.

특히 세신의 정유성분인 safrole은 비타민B2와 비타민E가 부족한 음식을 먹었을 때

더더욱 간암, 간종양이 더 쉽게 유발되었다고 합니다.(한약독성학 29쪽)

출처:민족의학신문 한약독성 칼럼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목향의 종류

 

 

 

한방에서 자주 사용되는 약초

목향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향은 기본적으로

소화기계통에 사용되는

약재로

목향이라는 식물의

뿌리를 약용부위로 사용합니다.

 

 

종류가 대략 세가지 입니다.

이들의 특징과

꼭 알아두셔야 하는 내용을

전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운목향

 

 

운목향이라 불리는 식물로

주로 중국산 목향을 지칭합니다.

 

중국산 목향에 운목향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유는

 

목향의 생산지

-중국에서는 도지라고 부릅니다-

중에서 가장 유명한 곳이

바로 중국의 운남성이기 때문입니다.

 

이 곳에서 생산되는 목향이

가장 품질이 좋고 생산양 또한

많아 우리나라의 특산물 개념처럼

 

중국에서는 목향 하면

'운목향'을 떠올립니다.

 

 

유통되는 운목향 약재

 

 

 

이게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운목향입니다.

 

절단면의 띠가 보이시나요?

사진을 보시면

묵은 뿌리의 경우는

중심이 비어있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토목향(국산목향)

 

 

이 식물은

국산 목향으로 불리는

토목향입니다.

 

사실 목향은

워낙에 운목향의 수입량이 많고

활용이 많이 되기 때문에

 

시중에서 유통되는 국산목향은

거의 없다고 보셔도 되지만,

가끔 시장에 나와서 유통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유통되는 국산목향

 

 

운목향과 비교했을때

비슷하게 생겼죠?

 

아무래도 같은 국화과에

속하는 식물이다보니

뿌리의 생김새가 비슷합니다.

 

 

청목향(쥐방울덩굴과)

 

 

사실 오늘의 주제는 이 청목향을 말씀드리기 위해서

목향이라는 약재를 다룬건데요.

 

청목향은 예전에 약재로도 사용이 됐지만

독성성분이 있어서

지금은 사용이 금지된 식물입니다.

 

특히 이 [쥐방울덩굴과]에 속한

식물들이 독성을 나타내는데,

주로 이뇨작용을 강해서

신장에 굉장한 부담을 주기때문에

 

절대로 사용하거나

임의로 드시면 안됩니다.

 

 

청목향 절단면

 

단면이 운목향과 국산목향과 비교했을 때

전혀 다른게 보이시나요?

 

대부분의 쥐방울덩굴과에 속한

식물의 뿌리를 절단해보면

 

위 사진처럼

방사형의 무늬와 함께

구멍이 뚫린 듯한 모양이

공통적으로 발견이 됩니다.

 

 

다음 시간에는

목향이 어디에 사용되는지

그리고 공진단에 어떤용도로 들어가는지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