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내용

삼세 남자아이가 우연히 발병되어

주야를 막론하고 잠을 잘 때면 수면 중에

비성여한 鼻聲如鼾(코를 고는 것)하다가

기색혼절 氣塞昏絶(까무러치는 것)되므로

가족들이 번갈아 아이를 간호하기를 수개월간 계속하였으며,

종합병원의 진찰결과도 별무병이라고 하고

단지 인후마비로 인한 기도장애라 하여

치료를 받아도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고 하였다.

필자의 진찰로는 별무타병이라고 인정하였는데

진찰 시에 아이기 무서워서 울고 있을 때,

안면 입술이 한쪽으로 약간 비뚤어지는 것을 발견하고

보호자인 모친에게 물은 즉,

구안와사증은 인지하지 못하였으며

수개월간에 걸쳐 많은 의사들도 지적한 바 없다고 하였다.

필자는 구안와사와 동시에

인후 회염 會厭의 마비불인으로 인한 氣道痰塞證으로 인정하고

理氣祛風散에 石菖蒲와 遠志를 加하여 복용시키며

內觀, 列缺, 合谷, 太溪, 足三里 등의 穴을 시침하였더니,

그날 밤에 암민하고 일주일간 시치하나

구안와사와 기색혼절증이 완치되었다.

구안와사는 흔히 있는 병이고

치료하기가 용이한 것이미지만

기색혼절되는 특이한 경우이므로 소개하는 바이다.

(崔錫柱 편저, 『月海 새方藥整理』, 해진출판사,

2015의 理氣祛風散에 대한 ‘雲溪 治驗例’)

 

해설

김정제(金定濟) 교수(1916∼1988)는

한국 한의학의 정체성을 정립한 巨木이다.

호가 雲溪로 1963년 대한한의사협회장으로

6년제 한의과대학의 기틀을 마련하였고

東洋醫藥大學의 관선이사장직을 맡았으며,

1965년 동양의약대학이 경희대학교로 합병되자

경희대학교의 교수로 취임하여 후학들의 교육에 힘쓰기 시작하였다.

위의 醫案은 崔錫柱(1938〜2012)의

『月海 새方藥整理』에 소개된 雲溪 金定濟의 醫案이다.

崔錫柱의 설명에 따르면 理氣祛風散의 처방구성은

羌活, 獨活, 靑皮, 陳皮, 枳殼, 桔梗, 南星, 半夏, 烏藥, 天麻,

川芎, 白芷, 防風, 荊芥, 白芍藥, 甘草 각0.6g, 生薑 五片이다.

그리고 구안와사를

“입과 눈 등의 한쪽 얼굴이 땅겨서 비뚫어지는 증상으로

풍사가 혈맥에 침습한 때문이다.

닭고기와 찬바람을 피할 것”이라고 해설하고 있다.

金定濟先生은 구안와사와 동시에

인후 會厭의 마비불인으로 인한 氣道痰塞證으로 인식하고

理氣祛風散에 石菖蒲와 遠志를 가하고,

『東醫寶鑑』風門의 鍼灸法에서 활용된 혈자리들을 운용하고 있다.

 

김남일 / 경희대 한의대 의사학교실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 이기거풍산 理氣祛風散의 처방의미]

명 明나라의 공정현 龔廷賢이 저술한

고금의감 古今醫鑑에서 제시된 처방으로,

기 氣 순환을 순조롭게 하여(理氣) 풍 風을 없앤다(祛風)는 뜻의 이름이다.

동의보감, 방약합편 등을 비롯한 모든 문헌에서

해당 처방을 중풍 中風의 구안와사 口眼喎斜에 사용한다고 기술하고 있다.

[理氣祛風散의 구성]

도표의 내용을 정리하면,

1)구안와사 口眼喎斜의 다양한 증후에 대처하기 위한 목적으로

여러 처방(甘桔湯, 芍藥甘草湯)을 비롯하여,

처방의미에 맞게 이진탕 二陳湯, 오약순기산 烏藥順氣散 등의

구성약물이 주로 사용된 복방 複方이다.

2)관련 모든 문헌에서의 처방기록은 동일하다.

다만 기타 의견으로,

① 처방용량을 제시한 경우(임상방제학, 中醫處方大辭典)

② 견정산 牽正散과의 합방 合方 혹은 가감의 경우가 있었다.

위의 약물 구성 중 조화약물로서의 감초 甘草와,

첨가약물 혹은 반하 半夏독성에 대한 상외 相畏의 배합인

생강편 生薑片을 제외한 15종 한약재의

본초학적인 특징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1) 기 氣를 기준으로 분석하면,

온성 溫性11, 량성 凉性2, 평성 平性2로서,

대부분이 온성 溫性약물이 주를 이루고 있다.

2) 미 味를 기준으로 분석하면(중복 포함),

신미 辛味13, 고미 苦味6, 감미 甘味3 등으로 되어 있다.

3) 귀경 歸經을 기준으로 분석하면(중복 포함),

폐 肺 8, 간 肝 8, 비 脾 8, 방광 膀胱 4, 신 腎 3 등으로

폐,간,비경 肺,肝,脾經에 집중되어 있다.

4)효능을 기준으로 분석하면,

해표약 解表藥 4, 이기약 理氣藥 4(順脾氣3 順肝氣1)

화담약 化痰藥 3, 거풍습약 祛風濕藥 1, 평간약 平肝藥 1,

활혈거어약 活血祛瘀藥 1, 보혈약 補血藥 1로 구성되어 있다.

본 처방의 적용질병이 구안와사 口眼喎斜라는 점에서,

본초학적 내용을 근간으로 처방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1) 온성 溫性약물이 주를 이루고 있는 점

‘風이 外中하여∼口眼喎斜’에 해당되는 사항으로,

실제적으로도 현재 말초성 구안와사 口眼喎斜의 대부분이

한사 寒邪 접촉이라는 점과 상통한다.

즉 발표산한 發表散寒 거풍승습 祛風勝濕의 기전에 작용한다.

2) 신미 辛味와 고미 苦味가 주를 이루고 있는 점

기미론 氣味論의 대전제인 ‘신미 辛味는 발산행기 發散行氣하며

고미 苦味는 청열강화조습 淸熱降火燥濕한다’는 내용에 부합하는 것으로,

발한 發汗을 통한 해열 解熱의 목적으로 설명된다.

3) 폐간비경 肺肝脾經이 주를 이루고 있는 점

귀경론 歸經論의 대전제인

‘肺主氣 肺主皮毛 肝主風 疏肝 脾主肌肉 脾惡濕’의 내용에 부합한다.

즉 구안와사 口眼喎斜가 안면부에 발생하는

경련성 마비질환이라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고,

특히 비경 脾經의 경우는 표리 表裏관계에 있는

위경 胃經의 분포가 ‘足陽明經에 痰濁이 內蓄’

‘胃土와 風木이 모자라고 金이 便乘한 것’으로 보는

구안와사 口眼喎斜의 병인 病因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초기치료에 실패하여

만성화된 구안와사 口眼喎斜처방의 대부분이

보비위 補脾胃 관련 처방이라는 점에서

더욱 근거가 있다고 설명된다.

4) 해표약 解表藥, 이기약 理氣藥,

화담약 化痰藥이 주를 이루고 있는 점

위의 기미 氣味, 귀경 歸經 등의 연장선상에서 추론이 가능하다.

즉 구안와사 口眼喎斜의 병인 病因에서

‘풍담 風痰이 두면 頭面의 경락 經絡중

족양명경 足陽明經에 담탁 痰濁이 내축 內蓄하고

태양 太陽에 풍 風이 외중 外中하여 ---->

풍담 風痰이 경락 經絡을 손상시켜 근육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므로

구안와사 口眼喎斜가 되고 심하면 두면 頭面의 기육 肌肉이 추동 抽動한다’고 한

전제에 부합된다.

다시 말하면 풍한사 風寒邪에 감촉되어 발생한

병적인 노폐물(風痰)이 족양명위경 足陽明胃經의 분포부위인

안면부위에 이상을 초래한 것으로,

주된 증상이 한쪽으로 쏠리는 마비와 경련에 대처하는 것이며

부수적으로 통락지통 通絡止痛의 약물(강활 羌活, 독활 獨活)로서

통증에 대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기타 이기거풍산 理氣祛風散의

가감 내용 분석

위의 분석내용에 근거하면,

기타의 합방 合方 및 약물가감에 대한 내용도 쉽게 해석되어 진다.

1)(金永勳 선생-晴崗醫鑑)에서,

견정산 牽正散(白附子 白殭蠶 全蝎) 합방 合方한 내용:

이는 견정산 牽正散의 투약목표인

항경련 抗痙攣 및 진통 鎭痛의 작용을 추가하고자 한 것이며,

구안와사 口眼喎斜의 증상발현 중 해당 부위에

강직성 경련 및 통증 발현이 심한 경우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2)(朴炳昆-한방임상40년)에서,

견정산 牽正散 합방 合方 후 여기에서

거 去 백작약 白芍藥

가 加 조구등 釣鉤藤, 건강 乾薑, 형개수초흑 荊芥穗炒黑한 내용:

조구등 釣鉤藤은 평간식풍약 平肝熄風藥으로

천마 天麻의 효능보강 차원으로,

건강 乾薑은 온리약 溫裏藥으로

온중초 溫中焦 순비기 順脾氣의 보강 차원으로 해석된다.

특이하게 모든 문헌과 달리

형개 荊芥를 형개수초흑 荊芥穗炒黑하여 사용하라 한 내용은,

형개 荊芥의 ‘풍병혈병지요약 風病血病之要藥’ 내용 중

혈병 血病에는 ‘필히 초 炒 혹은 탄 炭’하라고 했던 관련 문헌내용과 일치한다.

일견 혈액순환능력이 떨어지는 경우에

비중을 높인다는 의미로서 설명될 수 있겠지만,

사실 형개 荊芥의 초흑 炒黑내용이

지혈 止血이라는 현대적인 개념으로 재평가하면

형개수초흑 荊芥穗炒黑은 의미없는 내용이 된다.

3. 이기거풍산 理氣祛風散의 실체

이상 최종적으로 현재 구안와사 口眼喎斜에서 응용되는

이기거풍산 理氣祛風散의 내용을 현대적으로 재정리하면,

1) 이기거풍산 理氣祛風散은 약한 발한 發汗을 통한

순기 順氣 ---> 화담 祛痰 ---> 거풍 祛風의 단계를 밟는 처방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본처방은 구안와사 口眼喎斜 초기의

실증 實症에 응용될 수 있는 통용방으로 정리된다.

2)아울러 일부 대표문헌에서 인용된

견정산 牽正散과의 합방 合方은

경련 痙攣과 통증 痛症 발현시

즉시 고려될 수 있는 내용이다.

3)한편 본 처방 중에는 검담 祛痰약물인

반하 半夏와 남성 南星이 응용되는 바,

이들이 가지고 있는 독성을 관리하기 위해서 반드시

수치 修治를 거친 약물사용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인지해야 할 것이다.

출처: 한의신문

주영승 교수(우석대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이기거풍산 구성

청피, 진피, 지각, 길경, 남성, 반하, 오약, 천마

천궁, 백지, 방풍, 형개, 강활, 독활, 백작약 각 1.8 g

감초, 생강 각 5편

이기거풍산 해설

1. 혈관운동능이 저하되어 뇌경색으로 인하거나

2. 세균성 유돌기염이 되어나

3. 알러지성 유돌기염이 되어 삼차신경통이 나타났을 때

* 혈관운동능을 강화하여 혈류를 촉진하고,

* 항균작용과 항알러지작용을하여 세균성 유돌기염을 개선하며

* 소화관운동능을 강화하여 심장발출 혈액이 소화관 쪽으로 편재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서 뇌혈류를 증가시키며,

* 진경, 진통작용을 한다.

이기거풍산 약리작용

1. 강활, 독활, 천남성, 천마, 천궁, 백지, 형개, 방풍, 백작약은 혈관운동능을 강화하고 혈류를 촉진한다.

2. 남성, 천마는 뇌혈관의 경련을 억제하고 진정작용을 한다.

3. 반하, 진피, 청피, 지각, 오약은 소화관 운동능을 강화하여 소화를 촉진한다.

4. 강활, 방풍, 길경, 백작약, 청피, 진피는 항균작용을 한다.

5. 청피, 진피, 지각은 항알러지작용을 하고, 형개는 항바이러스작용을 한다.

6. 천마, 천궁, 백지, 독활은 진통작용을 한다.

이기거풍산 적용증상

1. 와사풍이 생기고 두통이 있다.

2. 인체의 반신에 마비감이 있고 반신불수가 된다.

이기거풍산 응용

1. 와사풍, 중풍

2. 반신마비, 두통

p.s: 3차 신경통, 안면신경 마비, 구안와사에

가장 많이 쓰이는 약이 바로 이기거풍산과 견정산입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