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4

« 2025/4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728x90

농산물의 식품안전성과 품질 확보, 환경부하 저감을 목적으로

재배부터 출하까지 농업현장에서의 기법 기준을 책정하고,

그 준수를 요구하는 움직임이 세계적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이 기준을 GAP라고 합니다.

GAP란 「Good Agricultural Practice」의 약자로

「우수농산물기준」으로 해석되며,

의역하면 한 마디로 ‘농사 잘 짓는 기술’이라고나 할까요?

식품안전, 환경보전, 노동안전, 품질향상 등 다양한 목적으로

「적정한 농업생산을 실시하는 것」입니다.

식품안전GAP란 식품안전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농업생산현장에서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한

관리 포인트를 정리하고, 그것을 실천․기록하는 제도입니다.

GAP제도를 시행함으로써 농산물의 생산과 유통. 소비에 이르는

전 과정이 투명하게 드러나게 되어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농민과 소비자의 건강을 지켜내고 우리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키우는 계기로 삼을 수 있습니다.

현재 미국과 캐나다, 멕시코 등 중남미. 유럽. 일본. 중국.

아세안 여러 나라 등에서 GAP제도를 도입. 시행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또한 준비기간을 거쳐 2006년부터 본격 시행에 들어갔으며

2008년에는 ‘한국GAP협회’도 출범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농산물 품질관리원이 지정한

전문 민간 인증기관으로 농협중앙회. (사)한국생약협회 등 생산자단체.

중부대. 조선대. 단국대. 강원대. 전남대 등 산학 협력단.

신세계 이마트. 롯데쇼핑 등 유통업체. 농업회사법인 통통 등

20여개가 넘는 기관. 단체. 영농법인 등이

우수농산물 인증기관으로 지정되어 활동하고 있으며.

농산물 품질관리원의 규정에 따르는 단체나 법인은

누구라도 인증기관으로 지정받을 수 있습니다.

농산물 생산자인 농민이나 영농법인이 GAP인증을 받고자 하면

GAP에 따라 토양. 수질. 농약. 비료. 관리. 수확 후 관리 등을 포함.

76개 필수항목. 34개 권장 항목을 준수하여 생산. 관리해야하며,

수확 후에는 GAP 규정에 의해 농산물 품질관리원에서 지정한

우수농산물 관리시설에서 저장 또는 처리해야 합니다.

일반 농업인들은 GAP인증을 받기도 어렵고

다음단계의 관리도 어려울 것으로 지레 짐작을 합니다만,

실상은 그리 어려운 것만은 아닙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