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9. 18. 09:20
[약초세상] 박하 약초분류(용도 위주로 정리)/발산약(發散藥)2019. 9. 18. 09:20
728x90
맛은 맵고(辛), 성질은 서늘하며(凉)
작용하는 부위는 폐(肺)와 간(肝)입니다.
여기서는 풍열(風熱)의 개념을 알아야합니다.
풍열은 풍한(風寒)과는 다르게 초기에 추위를 느끼는게 아니라
열이 발생합니다. 즉, 일종의 염증 증상이 생기는 초기를 의미합니다.
주치(主治)
선폐풍열(宣肺風熱) -폐부위(흉곽을 포함)의 염증을 흩어버리고
청두목(淸頭目) -머리와 눈의 충혈을 완화시키고
투진(透疹)-열로 인해 생기는 피부의 발진을 해소합니다.
-->이 세가지는 결국 염증증상의 발현을 억제한다는 의미로 보시면 됩니다.
다만 그 부위가 가슴과 얼굴 피부에 나타나는 증상들을 해소한다.는 개념입니다.
약리작용(藥理作用)
지통지양(止痛止痒),
해장경련(解腸痙攣),
건위(健胃), 항균(抑菌)
공효주치(功效主治)
1.청열해표(淸熱解表): 두통이나 코막힘, 가벼운 기침
2.청리두목(淸利頭目): 머리의 열감과 눈의 충혈, 인후염, 목구멍통증
3.간기울체(肝氣鬱滯): 이건 스트레스로 인한 머리의 열감과 눈충혈을 설명한 것으로 보입니다.
4.투진(透疹): 염증으로 인해 피부에 발진이 생길 때
약초배합
1.+천궁: 두통
2.+형개: 피부병, 인후질환
3.+선태(매미허물): 피부질환
'약초분류(용도 위주로 정리) > 발산약(發散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초세상] 상엽(뽕잎) (0) | 2019.09.26 |
---|---|
[약초세상] 우방자(우엉열매) (0) | 2019.09.21 |
[약초세상] 창이자(도꼬마리 열매) (0) | 2019.09.06 |
[약초세상] 총백(파뿌리) (0) | 2019.09.03 |
[약초세상] 향유(노야기) (0) | 2019.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