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약) - 종별 생육특성 및 주요 성분함량 약용작물 관련자료/약용작물 작목기술정보2020. 6. 28. 09:01
1. 품종별 생육특성
가. 지상부
마는 전세계적으로 약 600여종이 분포되어 있으며
이중 식용으로 이용하고 있는 종은 약 10종 정도이다.
재배지역은 크게 3지역으로 나눌 수 있는데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멀리 인도까지 묶어서 아시아권,
나이지리아 등 서부아프리카 해안지대를 중심으로 한 중앙 아프리카권,
브라질 및 카리브해 연안국을 포함한 중미권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중 세계 총생산량의 96%가 아프리카에서 생산된다.
마는 덩이뿌리 작물 중에서
감자, 카사바, 고구마 다음으로 많이 재배되고
일일 생산량은 감자 다음으로 높은 작물이다.
마는 덩이뿌리의 형태로 보아 장마, 단마, 둥근마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국내 수집종을 비롯하여 아프리카, 아시아 수집종 50여종의
지상부 생육특성 및 지하부의 성분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표 1. 마의 형태에 따른 주아 특성
구 분 |
주아 표피 |
주아 내부 |
길이 (mm) |
폭 (mm) |
두께 (mm) |
무게 (g/100립) |
|||||||
국내산 단마 장마 가나산* |
회갈색 회갈색 흑갈색 |
백색 백색 황색 |
13.2 10.5 35.6 |
12.2 9.8 31.2 |
15.8 13.7 27.6 |
165 90 1,752 |
국내산 단마와 장마 및 아프리카의 가나산 마의 주아 모양은
대체로 원형으로 단마 및 장마는 두께가, 가나산 마는 길이가 길었다.
크기는 국내산 단마의 주아가 장마보다 다소 큰 경향이며 가나산 마는 월등하였다.
주아의 껍질색은 국내산은 회갈색을 띄나 가나산 마는 검은색을 띄며,
주아 내부는 국내산은 백색, 가나산마는 황색을 띈다.
주아 1개의 크기는 국내산 마는 무게가 0.25~1.26g, 일본산은 0.56~0.8g이나
가나산 마는 평균 29.05g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1개 무게가 100g 이상인 경우도 있다.
가나산 마는 주아 발생이 많을 뿐 아니라 내병성 및 가을철 저온에 강하며
생육기간이 길고 노화가 늦어 관상용으로도 가능하다.
주요특성 중 줄기의 가로 단면은 우리나라 수집종은 원형이며
아프리카의 가나산은 8각, 필리핀산은 4각이다.
잎자루는 대부분 녹색을 띄나 필리핀산은 붉은색을 띄며
잎의 크기는 국내산들이 작고 외국산들이 넓다.
전 수집종이 주아를 발생하지만 개화와 결실은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줄기를 감아 올라가는 습성은 식물체 위에서 볼 때
가나산 마는 시계 방향, 우리나라 마를 비롯한 기타 수집종들은
시계반대 방향으로 감아 올라가고 있다.
표 2. 마 수집종의 지상부 주요특성
구 분 |
수집장소 |
내병성 |
주아 발생 |
개화 여부 |
결실 여부 |
줄기 형태 |
덩굴감는 습성 |
둥근마 |
도입(가나) 도입(필리핀) |
강 강 |
많음 없음 |
개화 없음 |
없음 없음 |
8각 4각 |
시계방향 시계반대방향 |
장 마 |
도입 (나이지리아) 영 풍 |
강 중 |
없음 많음 |
개화 없음 |
결실 없음 |
원형(가시) 원형 |
시계반대방향 시계반대방향 |
단 마 |
예 천 영 풍 미 원 도입(일본) |
중 중 약 중 |
많음 많음 많음 적음 |
없음 없음 없음 없음 |
없음 없음 없음 없음 |
원형 원형 원형 원형 |
시계반대방향 시계반대방향 시계반대방향 시계반대방향 |
야생마 |
괴 산 태 안 |
약 약 |
많음 많음 |
개화 없음 |
없음 없음 |
원형 원형 |
시계반대방향 시계반대방향 |
나. 지하부
마 괴근의 형태는 긴마, 짧은마, 둥근마 등으로 분류되지만
도입종들은 대부분 커다란 덩어리형으로 큰 것은 어린아이 머리크기만한 것도 있다.
괴근의 내부 색깔은 우리나라 및 일본종은 흰색을 띄지만
아프리카, 필리핀 등 일부 도입종은 황색 및 보라색에 가까운 진한 자주색 등이 있다.
표 3. 마 지하부의 형태적 특성
구 분 |
덩이뿌리수 (개/주) |
덩이뿌리길이 (cm) |
덩이뿌리 굵기(mm) |
덩이뿌리수량 (kg/10a) |
덩이뿌리 표피색 |
덩이뿌리 살색 |
|
가로 |
세로 |
||||||
단 마 가나산마* |
1.5 1 |
29 9 |
76 116 |
46 87 |
2,093 3,043 |
회갈색 암황갈 |
백 황 |
주) * 아프리카 가나에서 도입
2. 주요 영양성분
우리나라 마는 생으로 식용할 때 매우 끈적끈적하나 도입종들은 약간 덜하다.
이러한 마의 끈적끈적한 성분은 뮤신이 주성분이다.
야생마는 단백질, 지방, 칼슘, 인산함량이 높고,
가나산 마는 비타민 A의 함량이 높으며 특히 조사포닌 함량은
국내 마의 59~63㎎/100g에 비하여 4배 가량 높은 274㎎/100g으로 높다.
그러나 사포닌과 페놀성 성분의 쓴맛이 강하여
직접 식용은 어려우며 쓴맛 제거 후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쓴맛은 쌀뜨물이나 물에 담궈두면 감소되는 연구결과가 있다.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마는 주로 약용으로 이용하고 일부 건강식품으로 쓰이지만
일부 도입마는 조사포닌함량이 높다던가 괴근 내부가 자주색을 띄어
건강식품 첨가제 또는 제빵, 제과 등 식용색소로의 이용 등
다양한 용도의 수요개발 검토가 필요하다.
표 4. 마의 품종별 주요 성분함량 (단위: 100g당)
종 류 |
단백질 (g) |
지방 (g) |
Ca (mg) |
P (mg) |
Fe (mg) |
조사포닌 (mg) |
V.A (IU) |
V.B1 (mg) |
V.B2 (mg) |
나이아신 (mg) |
V.C (mg) |
단 마 장 마 야생마 가나산* |
1.7 2.3 5.1 2.5 |
0.2 0.2 0.7 0.1 |
14 18 27 16 |
28 34 53 29 |
0.2 0.3 0.2 0.9 |
59 60 63 274 |
- - 100 839 |
0.12 0.10 0.10 0.13 |
0.01 0.01 0.02 0.02 |
0.2 0.4 0.4 0.4 |
6.0 6.0 9.0 9.0 |
주) * 아프리카 가나에서 도입
참 고 문 헌
김재철 외. 1995. 수집 마 속의 주요생육특성 비교.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이만정. 1993. 마의 성분 조성 특히 고미성분에 관한 연구. 산학협동 용역과제.
IITA. 1982. Tuber and root crops production manual.
Manual series No. 9. International Institute of Tropical Agriculture.
'약용작물 관련자료 > 약용작물 작목기술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산약) - 주산지 재배환경 (0) | 2020.07.12 |
---|---|
마(산약) - 분포 및 용도 (0) | 2020.07.05 |
땅두릅(독활) - 땅두릅의 용도 (0) | 2020.06.21 |
땅두릅(독활) - 독활의 성상 및 재배기술 (0) | 2020.06.14 |
두충-두충의 성상, 분포 및 용도 (0) | 2020.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