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

« 2025/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728x90

1. 육성경위

종실 껍질이 얇고 다수성인 율무품종을 육성하고자

국내외에서 수집한 유전자원 166종을 공시하여 1988년에 순계분리를 하였다.

1987년부터 1990년까지, 2년간 생산력검정시험을 수행한 결과

종실의 껍질이 얇고 수량성이 높아 유망시되는 계통(UCN611- 23-8-5)을 선발하여

수원3호로 계통명을 부여하고, 1991-1992년 2개년 동안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하였다.

1992년 농가실증 시험을 실시한 결과 다수성이고 종피두께가 얇아

도정이 용이한 것으로 인정되어 1993년 농촌진흥청 종자심의회에서 율무 1호로 명명하였다.

 

 

2. 주요특성

가. 고유특성

율무1호의 고유특성을 보면 표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피색이 황백색을 띠며 종피두께가 얇고 부드러워서 도정이 용이하다.

도정효율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종피경도를 보면

김제종이 2.8Kg/cm2인데 비하여 율무 1호가 1.8Kg/cm2로 1Kg/㎠정도 경도가 낮으며,

종피두께는 김제종이 0.27㎜, 율무1호가 0.24㎜로 율무 1호가 약간 얇은 편이다.

또한 종실중량에 대한 종피무게 비율을 보면 김제종이 33.4%인데 비하여

율무 1호가 23.6%로 율무 1호가 10%정도 더 낮게 나타나 껍질이 얇은박피 계통임을 알 수 있다.

<표 1> 율무 1호의 고유특성

품 종 명

종피색

종 피

경도(Kg/㎠)

두께(㎜)

비율(%)

율무 1호

황백색

1.8

0.24

23.6

김 제 종

갈 색

2.8

0.27

33.4

나. 일반특성

율무1호의 일반생육 특성을 살펴보면 표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김제종과 비교할 때 율무 1호는 출수기와 경장은 비슷하였고,

주당경수와 경당립수가 많은 편이였으며, 등숙율은 김제종이 88%,

율무 1호가 84%로서 율무 1호가 다소 낮다.

종실 100립중은 율무1호가 102g, 김제종이 121g으로

김제종에 비해 율무1호가 19g정도 더 가벼워서 박피종임을 알 수 있다.

율무1호는 엽고병과 조명나병에 있어서 김제종과 같은 저항성을 보였고

도복에서도 김제종과 같이 다소 강한 저항성을 보였다.

<표 2> 율무1호의 일반 생육특성

품종명

출수기

(월.일)

경장

(㎝)

병충해 저항성

(0-9)

도복

정도

(0-9)

주당

경수

(개/주)

경당

립수

(개/경)

등숙율

(%)

100립중

(g)

엽고병

조명나방

율무 1호

7.27

198

1

3

3

13

99

84

102

김 제 종

7.27

200

1

3

3

11

96

88

121

종실특성을 보면 표3에서와 같이

율무 1호는 종피색이 황백색, 김제종은 암갈색에 가까우며

종실크기를 보면 폭과 두께는 별 차이가 없으나,

길이는 율무 1호가 10.5㎜, 김제종이 9.7㎜로 율무 1호가 약간 더 길다.

정현비율을 보면 율무1호가 69.7%로 김제종 59.7%에 비해 16%정도가 더 높았다.

실험용 정맥기로 종실을 도정해 본 결과 도정비율은

율무1호가 조곡으로 분당 171.9㎖로서 김제종의 150.8㎖보다

14%정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3> 율무1호의 종실특성

품종명

종피색

종실 크기(㎜)

정현비율

(%)

도정효율

(ml/min.)

길이

두께

율무1호

황백색

10.5

6.4

5.4

69.7

171.9

김제종

갈색

9.7

6.5

5.7

59.7

150.8

다. 품질특성

율무종실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표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백질 함량은 율무1호가 15.5%로 김제종 14.3%보다 약 1%정도 더 높았으며,

전분함량도 율무1호가 55.9%, 김제종이 54.5%로 율무1호가 1.4%가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산 조성에서는 김제종과 거의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표 4> 율무 1호의 단백질 및 전분함량과 아미노산 조성

품종명

단백질

(%)

전분

(%)

아미노산조성(%)

Leu.

Val.

Phe.

Arg.

Tyr.

Met.

Lys.

His

율무1호

15.5

55.9

1.21

0.59

0.47

0.34

0.26

0.19

0.23

0.16

김제종

14.3

54.5

2.51

1.06

0.84

0.62

0.49

0.36

0.36

0.25

라. 수량성

신품종 율무1호의 육성과정에서 조사된 수량성은 표5에서와 같다.

수원에서 2개년간 실시한 생산력검정시험 결과

현곡수량이 율무1호는 241Kg/10a로 김제종 155kg/10a보다 55%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1991년부터 1992년까지 2년간 수원과 연천, 전남 무안에서

실시한 지역적응시험에서는 율무1호가 31kg/10a로 김제종의 199kg/10a보다 16%가 더 증수되었다.

1992년도에 경기도 연천에서 실시한 농가실증시험 결과 율무1호는 365kg/10a로 김

제종 325Kg/10a보다 12%가 더 증수되어 대부분의 농민들이 신품종 재배를 희망하고 있었다.

<표 5> 율무1호의 수량성

품종명

생산력검정시험

(1989-1990)

지역적응시험♩

(1991-1992)

농가실증시험♪

(1992)

율무1호

241(155)

231(116)

365(112)

김제종

155(100)

199(100)

325(100)

♩ 지역 : 수원, 연천, 무안, ♪ 지역 : 연천, ( )안은 수량지수

3. 적응지역

율무1호는 박피 다수성 계통으로 전국적으로 재배가 가능하며

율무의 주산지인 경기도 연천을 비롯하여 원주, 홍천등 중북부 지방에도 잘 적응하는 광지역성 품종이다.

4. 재배상의 유의점

생육후기 과 번무에 의한 도복이 우려되므로

질소질 비료의 과용을 삼가고 적기에 방제를 하여 엽고병과 조명나방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품종육성 담당자 및 연락처

작물시험장 특용작물과 (TEL : 031-290-6724)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