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호 - 장수시호(밀양 1호, 1994년) 약용작물 관련자료/약용작물 약초 품종2020. 6. 7. 09:00
1. 육성경위
장수시호는 영남 농업시험장에서 1986년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수집한 지방 재래종 및 도입 품종 중에서 특성이 상이한 7계통을 선발하고
1987년부터 1989년까지 주요 특성과 수량성을 조사한 바
춘천에서 수집된 계통이 우수하여 1990~92년 3년간
생산력 검정시험과 동시에 밀양 1호의 계통명으로
대구, 진주, 밀양 3개소에서 지역 적응 시험을 수행하는 한편,
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숙기가 빠르고 saikosaponin함량이 많으며 다수성이었다.
또한, 1993년부터 1994년까지 실시한 농가실증 시험에서도
조숙이고 saikosaponin 함량이 많으며 다수성임이 확인되어
1995년 1월 농촌진흥청 우량품종 선정심의회에서 우수성을 인정하고
장수시호로 명명하여 전국적으로 보급하게 되었다.
<그림 1> 육성계통도
2. 주요특성
가. 고유특성
장수시호의 고유특성을 도입 삼도시호와 비교해 보면
장수시호는 엽색이 녹색이며 엽형은 넓은 피침형이고 화색은 황색이다.
종자는 타원형이며 뿌리색은 암갈색이다.
<표 1> 고유특성
품 종 명 |
엽 색 |
엽 형 |
화 서 |
화 색 |
종자형 |
근 색 |
장수시호 |
녹 색 |
넓은피침형 |
복산형 화서 |
황 색 |
타원형 |
암갈색 |
삼도시호 |
담갈색 |
좁은피침형 |
복산형 화서 |
황 색 |
타원형 |
적갈색 |
나. 가변특성
장수시호는 개화기와 성숙기가 재래종과 비슷하나 삼도시호보다 빠른 조숙종이며
경장이 재래종보다 길고 경태가 굵으며 분얼수가 많다.
뿌리는 지근수가 많으며 근장이 길고 근태가 굵다.
<표 2> 가변특성
품 종 명 |
개화기 (월.일) |
성숙기 (월.일) |
경 장 (㎝) |
경 태 (㎝) |
분얼수 (개/주) |
분지수 (개/주) |
지근수 (㎝) |
근 태 (㎝) |
근 장 (㎝) |
장수시호 |
7. 17 |
10. 2 |
100 |
0.84 |
6.2 |
16.2 |
8.7 |
0.93 |
11.7 |
재 래 종 |
7. 17 |
10. 3 |
95 |
0.73 |
5.3 |
15.0 |
8.2 |
0.85 |
9.5 |
삼도시호 |
8. 18 |
11. 5 |
99 |
0.93 |
2.5 |
25.4 |
6.0 |
0.84 |
9.3 |
다. 내재해성
장수시호는 입고병과 탄저병에 중정도의 내병성을 보이며
갈색무늬병에는 약간 강하고 내한성은 강하나 내습성은 약하다.
<표 3> 내재해성
품 종 명 |
입 고 병 |
탄 저 병 |
갈색무늬병 |
내한성 |
내습성 |
장수시호 |
중 |
중 |
중강 |
강 |
약 |
삼도시호 |
중약 |
중 |
중 |
강 |
약 |
라. 수량성
1) 생산력검정시험
장수시호는 대비품종 삼도에 비해 1,2년생에서 각각 8%, 13% 증수되는 다수성이다.
<표 4> 생산력검정시험 성적 (‘90~’92, 밀양)
품 종 명 |
건 근 수 량(㎏/10a) |
||||||||
1년생 |
2년생 |
||||||||
'90 |
'91 |
'92 |
평 균 |
지 수 |
‘91 |
‘92 |
평 균 |
지 수 |
|
장수시호 |
44.9 |
40.3 |
45.9 |
43.7 |
108 |
120 |
124 |
122 |
113 |
재 래 종 |
43.7 |
39.8 |
43.6 |
42.4 |
104 |
109 |
106 |
108 |
100 |
삼도시호 |
44.9 |
34.5 |
42.4 |
40.6 |
100 |
114 |
102 |
108 |
100 |
3) 지역적응시험
3개 지역에서 2회 시험결과 모든 지역에서 삼도에 비해 증수하였으며 평균 9% 증수하였다.
<표 5> 지역적응시험 성적 (‘91~’92, 지적)
시험장소 |
장 수 시 호 |
삼 도 시 호(㎏/10a) |
||||
‘91 |
‘92 |
평 균 |
‘91 |
‘92 |
평 균 |
|
밀 양 |
120 |
124 |
122 |
114 |
102 |
108 |
대 구 |
106 |
116 |
111 |
101 |
99 |
100 |
진 주 |
110 |
122 |
116 |
107 |
112 |
110 |
평 균 |
112 |
121 |
116 |
107 |
104 |
106 |
지 수 |
105 |
116 |
109 |
100 |
100 |
100 |
4) 농가실증시험
시호 주산지의 하나인 경북 영천에서 실시한 농가 실증 결과 2년생 뿌리가 삼도에 비해 20% 증수하였다.
<표 6> 농가실증시험 성적 (‘93~’94, 경북 영천)
품 종 명 |
근 장 (㎝) |
근 태 (mm) |
지근수 (개) |
수 량(㎏/10a) |
지 수 |
|
생 근 |
건 근 |
|||||
장수시호 |
17.7 |
5.6 |
3.5 |
262 |
126 |
120 |
재 내 종 |
14.3 |
4.5 |
3.1 |
212 |
113 |
108 |
삼도시호 |
12.1 |
4.0 |
1.8 |
183 |
105 |
100 |
마. 품질특성
장수시호는 시호의 약효성분인 saikosaponin함량이
삼도시호에 비해 1년생, 2년생 뿌리에서 각각 0.45%, 0.19% 많으며
특히 전체 saikosaponin 중 약리작용이 큰 saikosaponi a와 d의 조성비율이 높다.
<표 7> Saikosaponin 함량
품 종 명 |
Saikosaponin 성 분 량(%) |
Saikosaponin a, d 조 성 비 율(%) |
|
1 년 근 |
2 년 근 |
||
장수시호 |
1.21 |
0.77 |
92.4 |
삼도시호 |
0.76 |
0.58 |
88.9 |
3. 적응지역 : 전국
4. 재배상의 유의점
파종 후 초기 입모의 확보에 세심한 주의를 요하므로
입모하기 까지 볏짚 등으로 멀칭하여 수분을 유지해 주어야 하며,
내한성은 강하나 습해에 약하므로 장마기에 배수가 잘되도록 관리하여야 한다.
품종육성 담당자 및 연락처
영남농업시험장 전작과 (TEL : 055-350-1226)
'약용작물 관련자료 > 약용작물 약초 품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율무(의이인) - 율무1호(수원3호, 1993년) (0) | 2020.06.21 |
---|---|
시호 - 삼개시호(수원 2호, 1998년) (0) | 2020.06.14 |
상황버섯 - 고려(2000년) (0) | 2020.05.31 |
삽주(백출) - 후출(음성10호,2014년) (0) | 2020.05.24 |
삽주(백출) - 고출(2013년) (0) | 2020.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