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

« 2025/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728x90

[진피 - 물푸레나무]

 

 

진피의 기원식물

물푸레나무 Fraxinus rhynchophylla Hance 또는

동속 근연식물 (물푸레나무과 Oleaceae)의 줄기껍질 또는 가지껍질이다.

물푸레나무 속 식물은 종류가 많고 수령에 따라 수피의 형태가 다르며

진피로 이용되는 동속근연식물도 여러 종입니다.

 

맛은 쓰고 성질은 차며(苦, 寒)

작용장부는 간,담,대장(肝, 膽, 大腸)이다.

약리작용

① 소염, 진통 작용이 나타나고,

② 요량(尿量) 및 요산(尿酸)의 배설을 촉진시키고,

③ 진해, 거담 작용이 현저하다.

④ 황색포도상구균 등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주치(主治)

1. 청설간화(淸泄肝火)

①. 폭발적안(暴發赤眠): 안과질환, 눈충혈(+황백), 다래끼(+대황,황련,죽여)

②. 소아경간(小兒驚癎 ): 소아간질

2. 청열조습(淸熱燥濕)

①. 습열비증(濕熱痺証): 통풍으로 뇨산이 쌓이는 경우 민간약으로 사용.

②. 습열설사(濕熱泄瀉): 이질에 좋다. 세균성 이질(+백두옹, 목향, 빈랑)

주의사항

위장이 약하거나 몸이 찬경우 사용에 주의

배합예

1. +백두옹(白頭翁): 감염성 설사

2. +국화(菊花): 안과질환, 결막염, 눈충혈

3. +비해(萆薢): 사지감각이상, 마비감

임상보고

① 세균성이질에 유효성이 높게 나타나고,

② 만성기관지염에도 유효율이 높다.

③ 다래끼에 진피(秦皮) 20g, 대황(大黃) 4g을 물을 넣고 달여서

하루 3회 복용하자 치료 효과가 있었다.

p.s: 진피는 두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물푸레나무의 껍질을 약용부위로 사용하는 진피(秦皮)와

온주밀감(귤)의 껍질을 약용부위로 사용하는 진피(陳皮)가 있으니

혼동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