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

« 2025/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728x90

[마발]

 

 

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며(辛, 平)

작용장부는 폐와 간이다.(肺, 肝)

약리작용

1.항균작용: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폐렴쌍구균

2.지혈작용: 구강출혈

주치(主治)

1. 청열이인(淸熱利咽)

①. 인후종독(咽喉腫毒):인후염, 인후부종양

②. 성음시아(聲音嘶啞): 감기로 음성이 가라앉고 목이 쉬는 것

③. 풍열해수(風熱咳嗽): 감염성 질환으로 인한 기침

2. 지혈(止血)

①. 축혈(衄血):코피

②. 토혈(吐血)

③. 금창출혈(金瘡出血): 외과수술후 지혈효과 임신부 지혈

p.s: 대부분 지혈의 용도로 사용되면 대부분의 임상보고도 지혈과 관련이 있습니다.

3. 소옹렴창(消癰斂瘡)

①. 경후생옹(頸後生癰): 목뒤의 물혹

②. 습독창양(濕毒瘡瘍): 고름이 차는 피부질환

③. 렴창불렴(臁瘡不斂): 정강이가 파인후에 회복되지 않는 경우

용량: 1.5-3g

p.s: 마발의 기원식물에 관해~

마발은 우선 버섯류에 속합니다.

탈피마발(脫皮馬勃) Lasiosphaera fenzlii Reich.,

대마발 Calvatia gigantea Lloyd 또는

자색마발(紫色馬勃) Calvatia lilacina Lloyd

(마발과 Lycoperdaceae)의 자실체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新編中葯志」에 따르면 이 3종 이외에 Borvistella속 2종,

Mysenatrum속 1종 및 Pisolithus속 1종 등 4종이 마발로 쓰인다고 하지만

우리나라는 물론 중국의 중약재시장에서도 정품에 해당하는

탈피마발과 대마발은 구하기 힘들고 드물게 자색마발이 유통이 됩니다.

또한, 비정품에 속하는

대구정회구(大口靜灰球) Bovistella sinensis Lloyd가

백마발 등의 이름으로 거래되고 있고,

장근정회구(長根靜灰球) Bovistella radicata Pat.도 유통되고 있습니다.

결론은, 비정품이 유통되고 또한 쉽게 구할수가 없기에

다른 약재로 대체해서 사용하는게 좋다고 보여집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