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초과효능'에 해당되는 글 1

  1. 2021.01.06 방향화습약(芳香化濕藥) - 초과(草果)
728x90

 

초과란?

초과(草果) Amomum tsao-ko Crevost et Lemaire (생강과)의 열매이다.

맛은 맵고(辛) 떫으며(澁), 성질은 뜨겁다.(熱)

작용장부는 비,위(脾, 胃)이다.

약리작용

건위(健胃) 작용

주치(主治)

거담절학(祛痰切瘧)- 담을 제거하고 말라리아 증상을 줄인다.

1. 草果는 학질을 치료하는 효력이 있으며 상산(常山)과 같이 쓰면 더욱 좋다.

草果의 학질 치료효과는 좋으나 증상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사용량을 가감할 필요가 있다.

학질로 오한이 심하고 열이 적거나 오한증산만 보이며 설태가 두껍고,

가슴과 복부가 답답한 증상에는 빈랑 . 厚朴 . 黃芩 . 知母를 같이 쓰면 좋다.

2. 草果는 완고한 담(痰)을 제거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백샘담이 많고 담이 끈적끈적하여 뱉어내기 어려울 때는 기타

거담약(祛痰藥)에 넣어 쓰면 좋다.

난위산한(暖胃散寒)-위장을 따뜻하게

1. 草果와 草豆久는 같은과 식물로 성미와 효능이 비슷하다.

暖胃散寒의 효능이 있으므로 위산과다에 쓰면 좋다.

또 위장이 濕이나 冷의 침입을 받는 것을 배제하고

消脹止痛 및 구토와 설사를 멎게 한다.

2. 草果는 위통(胃痛)을 멎게 하는 작용을 한다.

각종 만성위장병으로 차가운한 음식을 많이 먹고

통증이 발작할 경우에 쓰면 위장을 따뜻하게 하여 통증을 서서히 없애준다.

심한통증이 있으면 厚朴 . 蘇葉과 같이 쓰면 효과가 좋다.

또는 차처럼 끓여서 먹어도 효과가 좋다.

3. 草果는 위산과다를 멎게 하고 때로는 위산을 토하는 증상을 멎게 하는 작용을 한다.

위궤양이나 위축성위염의 경우에는 溫暖藥을 사용하여

위의 소화력을 증강하고 위의 연동력을 강화하면 구토를멎게 할 수 있다.

이 때는 吳茱萸 . 良薑 . 半夏와 같이 쓰면 좋다.

음식물이 입으로 들어가자마자 바로 토하면

식도의 병변이 원인일 가능성이 있는데 발병 초기에

半夏 . 藿香 . 陳皮와 같이 쓰면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다.

소식화적(消食化積)-소화를 촉진

1. 草果는 급만성의 장염치료에 쓴다.

갑작스런 복부통증, 장명(腹鳴)이 있을 경우에 草果를 쓰면 消脹止痛 . 止瀉에 좋다.

石榴皮와 같이 쓰면 止瀉效果는 더욱 강해진다,

만성이질에 草果를 써도 좋다.

증상이 장기화할 때는 草果를 보조약으로 다른약과 같이 쓰면 좋다.

2. 草果는 위액분비를 촉진하므로 소화불량의 치료에 좋다.

급성소화불량으로 복부팽만이나 가벼운 위확장증상이 있을 때는

草果 1錢, 鷄內金 . 藿香 各3錢과 같이 달여서

4시간마다 복용하며 3첩을 쓰면 효과가나타난다.

만성소화불량은 소아에게 많은데 草果에

神曲 . 白朮 . 白扁豆 . 茯笭을 넣어 쓰거나 丸으로 만들어 써도 좋다.

3. 평소 소화기능저하, 위산과다, 가슴과 복부팽만, 식욕부진과 함께

설태(舌苔)가 두터우며 때처럼 낄 경우에는 佩蘭 . 藿香 . 蒼朮을 넣어 쓰면 좋다.

이 증상은 여름과 가을에 발생하기 쉬우며 몸도 나른하고

미열이 빨리 내리지 않으면 草果를 君藥으로 하고 다른 약을 넣어 쓰면 좋다.

4. 草果는 복부팽만을 없앤다.

복부 수술 후에 자주 복부에 가벼운 복통이 발생하는 데 木香 . 厚朴을 넣어 쓰면 좋다.

5. 草果는 혈변을 멎게 하므로 장출혈에 농액(膿液)이 섞여 나오는 경우에 쓰면 좋다.

草果를 君藥으로 地楡 . 枳殼 등을 넣어 쓴다.

용량

3 - 6g

참고사항

방향성 건위강장제(健胃强壯劑)로 가스 배설을 촉진한다.

특히 아랫배가 더부룩하고 부글부글 끓으며 대변이 묽어질 때 많이 쓴다.

요즘은 학질인 경우는 거의 보이지 않으므로 유사열병이나 비장종대에 활용한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