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향화습약(芳香化濕藥) - 사인(砂仁) 약초분류(용도 위주로 정리)/방향화습약(芳香化濕藥)2020. 12. 16. 09:03
사인이란?
녹각사(綠殼砂) Amomum villosum Loureiro var. xanthioides T. L. Wu et Senjen
또는 양춘사(陽春砂) Amomum villosum Loureiro (생강과)의 잘 익은 열매이다.
축사(縮砂)라고도 한다.
CP에는 이 두 종 이외로 해남사(海南砂) Amomum longiligulare T. L. Wu의
잘 익은 열매를 더 수재하고 있다.
맛은 맵고(辛), 성질은 따뜻하다.(溫)
작용장부는 비,위(脾, 胃)이다.
주치(主治)
이기난위(理氣暖胃)
1. 砂仁은 消化器系의 慢性 . 寒性疾患에 사용하는 要藥으로
효능은 白豆久 . 草豆久와 비슷하며 健胃散寒 . 理氣止痛 . 止嘔止瀉이다.
특히 胃病이 장기화되어 갑자기 疼痛 . 腹脹 . 少食 . 嘔吐 등의 증상이
자주 일어나는 경우에 쓴다.
砂仁에 함유되어 있는 휘발성분은
위액분비를 자극하고 소화력을 도와 腹脹除去의 작용을 한다.
2. 砂仁은 健胃效果가 강하여 각종 慢性胃病으로
통증이 공복시에 더욱 심하게 나타나 음식물을 약간 먹거나
胃部를 따뜻하게 하거나 눌러주면 완화되며
無氣力 . 食少 . 胃酸 또는 淸水를 토하는 증상에 쓰는 것이 가장 좋다.
香附子 . 白朮 . 黃耆 등과 같이 쓰면 補腎健胃效果가 있어 脾虛症狀을 보일 때 좋다.
丸으로 만들어 장기 복용해도 좋다.
砂仁과 木香을 六君子湯에 가한 香砂六君子湯은
胃疾患을 치료하기 위한 常用方劑이다.
3. 砂仁은 暖胃止嘔의 효과가 있으므로
胃酸過多로 음식을 조금만 과식하면 즉시 吐하고
이런 증상이 수시로 반복하여 얼굴에 혈색이 없고,
추위를 몹시 탈 때는 半夏 . 乾薑 . 白朮을 넣어 쓰면 좋은 효과가 있다.
4. 胃酸過多로 딸꾹질을 하는데
소리가 낮게 가라앉아 힘이 있을 때
뜨거운 음식을 먹으면 딸꾹질이 가라앉지만
찬 음식을 먹으면 더욱 심해지면서 음식을 먹지 못한다.
이런 경우에는 丁香 . 厚朴 . 白豆久를 넣어
茶처럼마시거나 丸으로 만들어 복용하면 모두 좋다.
단, 이들의 약성은 辛溫이므로 장기간 복용하는 것은 좋지 않다.
5. 砂仁은 慢性腸炎으로 설사가 장기간 멎지 않을 때에 쓰면 좋다.
砂仁과 白朮 . 白扁豆 . 山藥 등을 배합한 蔘笭白朮散은
溫暖藥性으로 止瀉目的을 달성하는 처방이다.
脾寒泄瀉에는 乾薑 . 肉豆久 . 附子 등을 넣어 쓴다.
여름철에 물과 같은 설사로 脫水증상이 나타나고
腹冷 . 舌淡 . 脈沈無力할 때에는 蒼朮 . 향유 . 檳郞 등을넣어 쓰면 좋다.
또 砂仁에 藿香 . 蒼朮을 넣고 가루로 만들어
배꼽에 바르고 거즈로 덮어 주는 것도 止瀉效果가 있다.
이기지통(理氣止痛)
1. 砂仁은 理氣止痛의 효능이 있으므로
胃腸系統의 突然疼痛이나 腹脹病의 치료에 쓴다.
胃痙攣의 통증에는 白豆久 . 藿香 . 桂枝 . 玄胡索을 넣고
달여 먹으면 빨리 통증을 빨리 멎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痛症이 멎은 후에 腹脹이 없어지지 않고 트림이 계속 나올 때는
砂仁에 厚朴을 넣고 매일 茶처럼 마시면 좋다.
음식 먹기를 싫어하면 砂仁에 鷄內金 . 山査를 넣어 쓰면 좋다.
2. 딸꾹질이 나오고 트림이 자주 나오면 소화가 잘 되지 않는 것으로
이 때는 砂仁과 白豆久를 같이 쓰면 좋다.
통증이 있을 때는 玄胡索 . 香附子 . 陳皮 등을 넣어 쓴다.
3. 砂仁은 腸胃部의 가스를 제거한다.
대개 수술 후에 많이 나타나는데 砂仁 . 木香 . 枳實과 같이 쓰면 좋다.
4. 消化器系의 각종 急性炎症의 發作時나 緩解期에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脹痛이 있을 때가 있다.
이때는 砂仁에 枳殼 . 木香을 넣어 쓰면 아주 좋다.
5. 砂仁은 行氣和中으로 安胎止嘔할 수 있으므로
姙産婦의 복부에 가스가 찰 경우에는 當歸 . 艾葉 . 白朮 . 桑寄生 등에 넣어 쓴다.
단 양이 많으면 안 된다.
姙産婦의 헛구역질에도 소량의 砂仁을 生薑湯으로 복용하면 좋다.
胎動不安에는 白朮 . 陳皮 . 蘇梗을 넣어 쓰면 좋다.
용량
1.5 - 4.5g(달이는 경우)
0.6 - 1g(분말)
'약초분류(용도 위주로 정리) > 방향화습약(芳香化濕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향화습약(芳香化濕藥) - 초두구(草豆蒄) (0) | 2020.12.30 |
---|---|
방향화습약(芳香化濕藥) - 백두구(白豆蒄) (0) | 2020.12.23 |
방향화습약(芳香化濕藥) - 광곽향(廣藿香) (0) | 2020.12.09 |
방향화습약(芳香化濕藥) - 후박(厚朴) (0) | 2020.12.02 |
방향화습약(芳香化濕藥) - 창출(蒼朮) (0) | 2020.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