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자연환경
길림성(吉林省)은 동남(東南)은 높고 서북(西北)은 낮은 지세이다.

산의 높이는 대개 해발1000m이상으로 장백산(長白山)의

주봉인 백운봉(白雲峰)의 해발은 2691m이다.

 

중부(中部)는 구릉대지(臺地)로 일반적으로 해발이 500m를 넘지 않는다.

저산(低山)과 구릉, 분지, 평원 등이 서로 함께 분포하고 있다.

서부(西部)는 평원지역으로 지세가 평이하고,

소택(沼澤호수 등)과 염지지(鹽漬地)가 대부분이다.

일부지역은 사막화 지형을 보이고 있다.

 

산지구릉은 성(省)전체 면적의 40%를 차지하고 있고

평원(平原)의 경작지는 30%, 초지(草地)는 15%, 수역(水域)과 기타 용지가 15%를 차지한다.

전체 성(省)에서 30km이상이 되는 하천은 총 221개로 각각

송화강(松花江), 압록강(鴨綠江), 도문강(圖們江), 요하(遼河), 수분하(綏芬河) 등

5대 수계(水系)에 나뉘어 속해 있다.

 

본 성(省)은 온대(溫帶) 대륙성 기후 지대로 봄철은 건조하고 바람이 많고,

여름은 무덥고 비가 많다.

가을은 시원하나 일교차가 크고, 겨울은 한랭(寒冷)하고 매우 길다.

 

성(省)의 기온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갈수록 올라가는데 연평균기온은 4℃정도이다.

가장 추운 1월의 평균기온이 -18~-20℃이고, 가장 더운 7월의 평균기온은 24℃이며

연간 일조(日照)시간은 2200~3000시간이다.

 

10℃이상인 날의 누적온도는 2100~3200℃이며,

무상기(無霜期)는 125~160일이다.

연강수량은 400~1000ml으로 동(東)에서 서(西)로 갈수록 강수량이 적어 진다.


토양유형은 회화토, 삼림부식토, 종랑화회랑토, 생초회화토,

흑토, 흑개토, 풍사토, 염감토(鹽䃭土), 초전토(草甸土),충적토(冲積土),

수도토(水稻土) 등19개 유형이 있다.

식생은 동부는 침활혼교림(針闊混交林)이, 중부는 삼림초원이, 서부는 초전초원이 분포하고 있다.

 

[귀주성 지역구분]



 
약재자원
통계조사에 의하면 1412종의 약용식물과, 324종의 약용동물, 45종의 광물약 등

총 1781종의 약재자원이 있다.

 

이용현황
재배하거나 양식하는 약재는 20여종이다.

연간 재배면적은 2.8무(亩)로 연간생산량은 50만kg이다.

수매하는 약재는 약 220종으로 연간 수매량은 700여만kg이 된다.

주산품종
인삼(人參) : 거의 30여개 현에서 재배하고 있다. 

주산지는 무송(撫松), 집안(集安), 장백(長白), 정우(靖宇),

혼강(渾江), 통화(通化) 유하(柳河), 휘남(輝南) 등의 현과 시이다. 

본 성은 중국의 인삼의 주산지로 ʻ인삼의 고향ˮ이라는 별명까지 붙어있다.

연간 생산량은 전국의70%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전국 각지에 공급되며 대량이 수출된다.

 


녹용(鹿茸) : 성전체에서 광범위하게 양록(養鹿) 하고 있다. 

약 80여개의 국영 녹양장 외에도 여러개의 기업녹양,개인 녹양장이 있다.

주산지는 쌍양(雙阳), 동풍(東豊), 동료(東遼),돈화(敦化), 이통(伊通),

휘남(輝南), 이수(梨樹), 교하(蛟河), 용정(龍井), 길림(吉林)등의 현과 시이다.

생산되는 매화록(梅花鹿)은 굵고 크고 살지고 튼실하면서도 연하고 형태가 아름답다.

색이 좋고 품질이 우수하다.양녹(養鹿)하는 수량이 전국의 60%를 차지,

녹용 생산량이 전국 제일을 차지하고 있다.

 

세신(細辛) : 야생과 재배가 모두 있다.

야생은 동부 산지에 분포하는데 혼강(渾江), 장백(長白), 무송(撫松),

안도(安圖), 정우(靖宇), 유하(柳河), 집안(集安) 등의 현(县)이 주산지이다. 

연간 수매량은 전국의 30%을 차지해 1위를 점하고 있다.

 

길경(桔梗) : 야생은 성 전체에 고르게 분포하고 있으나, 

동부 산지에 비교적 많고 연변주의 생산량이 많은 편이다.

 

황기(黃芪) : 혼강(渾江), 무송(撫松), 집안(集安), 화룡(和龍), 안도(安圖),

왕청(汪淸), 돈화(敦化),화전(樺甸), 교하(蛟河), 영길(永吉) 등의 현과 시에서 생산되는데

모두 ʻ북기(北芪)ˮ라 한다.품질이 우수할 경우 ʻ편간기(鞭竿芪)ˮ라고도 한다.

 

황백(關黃柏) : 주산지는 돈화(敦化), 정우(靖宇), 팔도강(八道江), 임강(臨江), 삼차자(三岔子), 

돈화(敦化), 반석(磐石), 화전(樺甸), 교하(蛟河) 등의 현(县)과 구(區)이다.

 

감초(甘草) : 서부 초원과 초전(草甸)지대에 분포한다.

주산지는 전곽이라사(前郭尔羅斯), 통유(通楡), 조남(兆南), 장령(長齡),

대안(大安), 진분(鎭賁) 등의 현(县)이다.

 

오미자(五味子) : 요오미(遼五味) 혹은 북오미(北五味) 라고 한다. 

집안(集安), 통화(通化), 유하(柳河), 무송(撫松), 혼강(渾江), 안도(安圖), 돈화(敦化),

용정(龍井), 혼춘(琿春), 화전(樺甸), 왕청(汪淸) 등의 현(县)과 시에 분포하고 있다. 

연간수매량이 동북지역에서는 가장 많다.

 

천마(天麻)야생종과 재배종이 모두 있다.

주산지는 돈화(敦化), 정우(靖宇), 장백(長白), 임강(臨江), 돈화(敦化), 화전(樺甸) 등의 현(县)과 시이다.

 

창출(蒼朮) : 주산지는 통화(通化), 집안(集安), 유하(柳河), 장백(長白), 왕청(汪淸),

화전(樺甸),교하(蛟河), 동풍(東豊), 구태(九台), 쌍양(雙阳) 등의 현(县)과 시이다.

 

적작약(赤芍藥) : 주산지는 통화(通化), 집안(集安), 정우(靖宇), 화룡(和龍), 장백(長白),

왕청(汪淸), 돈화(敦化), 화전(樺甸), 교하(蛟河), 동료(東遼), 조남(兆南), 쌍양(雙阳) 등의 현(县)과 시이다.

 

상술한 품종이외에도 정력자(葶藶子),당삼(党參),지모(知母),위령선(威靈仙),천산갑(穿山甲),
위유(玉竹), 황정(黃精), 평패모(平貝母), 자오가(刺五加), 합마유(蛤蟆油), 관목통(關木通), 
지유(地楡)등의 야생자원도 풍부한 편이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자연환경
이 지역은 황토고원(黃土高原)과 내몽고고원(內蒙古高原), 청장고원(靑藏高原)이 만나는 곳으로
전체의 지형은 산지형고원(山地型高原)이다. 주체(主體)가 되는 지역들은 해발 1000~2000m 정도
된다. 민산(岷山), 서경산(西傾山), 기련산(祁連山) 등 주요산맥들은 동남(東南)에서 서북(西北)으로
향하고 있고 가장 높은 곳은 해발 5464m이다. 산들 사이로는 하곡(河谷)과 구릉, 분지, 사막, 고비,
소택(沼澤), 빙천(冰川) 등의 다양한 지형이 분포하고 있다.

 
감숙성(甘肅省)은 내륙 깊숙한 곳에 위치하고 있어 뚜렷한 대륙성 기후로 옮겨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주로 난온대(暖溫帶), 온대반건한(溫帶半乾旱), 건한(乾旱)기후에 약간의 아열대(亞熱帶),
온난대(溫暖帶)습윤(濕潤)지역,반습윤(半濕潤)지역 및 일부 고한(高寒)기후 지대가 분포하고 있다.

 

일조량이 충분하고 기후는 건조하다.대부분 지역이 겨울이 길고 춥고,여름은 짧고 덥다. 봄이
가을보다 길다. 단, 전체 성이 남북으로의 차가 크고 지형이 복잡하여 기후의 위도(緯度)와
수직지대성(垂直地帶性)이 뚜렷하다. 연평균기온은 기련산(祁連山)의 0℃에서 북으로 점차 8℃까지
오르며, 동남(東南)의 백룡강(白龍江)유역까지에 이르면 16℃까지 오른다. 가장 추운 1월의 평균기온은
기련산(祁連山)에서 동남(東南)의 백룡강(白龍江)유역으로 가면서-14℃~4℃까지 점차 상승하고,
하서주랑(河西走廊)은 -10℃정도 된다. 가장 더운 7월의 평균기온은 기련산(祁連山)에서
백룡강(白龍江)유역으로 가면서16℃~26℃까지 올라가고,무상기(無霜期)는 감남고원(甘南高原)은
60일, 하서주랑(河西走廊)은 170일, 천수(天水)일대는 180일 정도이며, 백룡강(白龍江) 유역은
240일가량 된다. 연강수량은 북에서 남으로 가면서 30㎜~860㎜ 정도 된다.

 
토양은 주로 황면토(黃綿土), 황종양(黃棕壤), 회개토(灰鈣土), 회갈토(灰褐土), 초전토(草甸土)
등이고 동남부(東南部)에는 비교적 보존이 잘된 상록침엽수림(常綠針葉樹林)의 원생식생(原生植生)이
분포하고 있고 기타지역은 대부분 산지초전(山地草甸)과 차생림(次生林) 식생들이 분포하고 있다.

 

[감숙성의 지역분류]

 

주산품종


당귀(當歸) : 민현(岷县), 탕창(宕昌), 장현(漳县), 위원(渭源) 등의 현(县)이 주산지이다. 

천년이 넘는 재배역사를 가지고 있어 재배가공기술이 풍부하다.

상품도 굵고 건실하며 육질이 많고 잔뿌리가 적으며 향이 짙은 것으로 국내외에 유명하다.

감숙성(甘肅省)의 연간생산량이 전국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당삼(党參) : 문당(紋堂)은 원래 야생으로 롱추지구(隴錘地區) 문현(文县) 등지에 분포하고 있으나 현재 재배를 진행 중에 있다

.상품은 대개 수출된다.백조당(白條堂)은 60년대부터 산서성(山西省)에서 인종(引種)하여 발전시켜왔다.

주산지는 롱서(隴西), 정서(定西),임조(臨洮), 감곡(甘谷), 진안(秦安), 회녕(會寧) 등의 현(县)이다. 

연간 생산량이 전국의 50% 이상을 점유,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전국과 해외에 공급되고 있다.

 
대황(大黃) : 주산지는 예현(禮县), 탕창(宕昌), 장랑(庄浪), 화정(華亭) 등이다. 껍질을 벗겨내고 썰어서 홍건(烘乾)한다. 

재질이 단단하고 향이 맑으며 단면에 금문(錦紋)이 뚜렷하여 ʻ전수대황(銓水大黃)ˮ이라는 이름으로 국내외에 유명하다.

감숙성(甘肅省)의 중국의 대황 주산지 중의 하나로 전체 생산량의 5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감초(甘草) : 주로 야생약재이다. 북부의 사막 변연(邊緣)인 돈황(敦煌), 안서(安西), 금탑(金塔), 민근(民勤), 경양(慶阳), 환현(環县), 합수(合水) 등의 현에 분포하고 있다. 80년대부터 민근(民勤) 등의 현에서는 인공 재배 시험을 진행새로운 진전을 보고 있다.

 
진교(秦艽) : 감남고원(甘南高原)과 기련산지(祁連山地)에 분포하고 있다.

주산지는 녹곡(碌曲), 마곡(瑪曲), 하하(夏河), 천축(天祝), 무위(武威), 숙남(肅南) 등의 고산초지(高山草地)이다.

상품은 나복교(羅卜艽)와 변자교(辮子艽)두 종으로 나뉜다.

특히 감남(甘南)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크기가 크고 황색으로 윤기가 나며 향이 짙고 생김새가 닭다리 같은것은 품질이 우수하다.

연간 수매량이 전국에서 상위를 차지한다.

 
강활(羌活) : 주산지는 감남(甘南)과 기련산지(祁連山地)의 각 현으로 

근경(根莖)이 환절상(環節狀)을 띄고 있고 단면에는 복사윤문(輻射輪紋. 바큇살무늬)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기미(氣味)가 맑고 짙다. 감숙성(甘肅省)은 서강(西羌)의 주산지 중의 하나이다.

 
천패모(川貝母) : 진주패(珍珠貝) 혹은 민패(岷貝)라고도 한다.

기원은 감숙패모(甘肅貝母)로 주산지는 민현(岷县), 임담(臨潭), 질부(迭部) 등의 현(县)이다.

이미 인공재배를 시작하였다.

 
용골(龍骨) : 성 전체의 용골(龍骨) 매장 지점이 백 여 곳에 이른다. 

주로 평량(平凉), 경양(慶陽), 천수(天水) 지구에 집중되어 있다. 

석화(石化)가 잘되어 있고 재질이 수분이 없이 바삭한 오화용골(五花龍骨)의 품질이 가장 우수하다.

 
원지(遠志) : 해발 2700m이하의 임지(林地) 초총(草叢. 풀숲)에서 생장한다.

주산지는 평량(平凉), 경양(慶阳) 두 지구로 재배시 생장 연한이 길다. 

야생 자원은 급속하게 감소하고 있어 보호가 필요하므로 합리적으로 이용해야 한다.

 
저령(猪苓) : 떡갈나무와 자작나무 위주의 활엽림(闊葉林) 아래에 분포하고 있다.

주산지는 무도(武都), 탕창(宕昌), 문현(文县), 강현(康县) 등지이다. 

야생종의 재배성공 이후 소량을 인공재배하고 있다.

 
적작약(赤芍藥) : 민현(岷县), 장현(漳县), 위원(渭源), 탁니(卓尼), 천축(天祝), 장가천(張家川)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단삼(丹參) : 강락(康樂), 화정(和政), 임하(臨夏), 탁니(卓尼), 임담(臨潭)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쇄양(鎖阳) : 하서주랑(河西走廊)의 돈황(敦煌), 안서(安西), 숙남(肅南), 금탑(金塔), 민근(民勤),

장액(張掖)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연간수매량이 전국의 3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제2의 생산지역이다.
 
 
 감숙의 주산 약재로는 이 외에도 관동화(款冬花), 사향(麝香), 홍기(紅芪) 등이 있다.

[감숙성 지도]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