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

« 2025/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728x90

[감초]

 

등급의 분류

A : 확실한 과학적 근거

B : 믿을만한 과학적 근거

C : 불명확하거나 이론의 여지가 있는 과학적 근거

D : 일반적으로 타당성 있게 부정적인 과학적 근거

F : 강하게 매우 부정적인 과학적 근거

C

부신기능 저하(애디슨병)

애디슨 병은 내분비학자에게 있어서

상대적으로 흔한 질병이나,

희귀하고 급성인 경우 치명적일 수 있다.

비록 예로부터 환자들은 일반적으로 소금과 감초가 함유된,

식물 기반 제제를 섭취하였으나 현재 치료법은 당질코르티코이드와

무기질코르티코이드를 합성 물질로 대체하는 것으로 한다.

재생 불량성 빈혈

제한적 연구는 감초가 재생불량성 빈혈에

이점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나,

결론을 내리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아프타성 구내염

일부 연구는 감초 추출물, DGL, 카르베녹솔론 제제가

아프타성 구내염 치료에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그러나, 연구들은 그 설계에 있어 규모가 작고 결함이 있었다.

DGL이 이러한 구내염의 회복 속도를 앞당길 수만 있다면

그 안전성에 따라 매력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으나,

현재로써는 정확하게 어떠한 이점이 있는지 여부가 불분명하다.

*DGL(Deglycyrrhizinated Licorice): 글리시리진 성분을 제거한 감초

아토피성 피부염

감초 추출물 젤의 국부적 사용은 예비적 임상 연구에서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여진다.

아스피린에 의한 위궤양 출혈

비록 이 분야에서 DGL을 사용한 일부 연구가 존재하나,

DGL이 위장관 출혈에 미치는 어떠한 효능이 있는지는 불분명하다.

구강 위생

구강 위생에 있어 글리시리진 사용을 권고하거나

반대하기 앞서 더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다.

가족성 지중해열

감초가 함유된 복합성분 처방 Immunoguard

가족성 지중해열 관리에 긍정적인 효능을 제시한다.

기능성 소화불량

조기 연구들은 많은 다른 허브 추출물 가운데

감초가 함유된 처방 제제 STW5가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에게서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단순포진 바이러스

실험 연구는 DGL이 단순포진 바이러스 감염의 확산을 저해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임상 연구는 그 규모가 작으나, 카르베녹솔론 크림의 국부적 사용이 회복을 개선하고

재발을 예방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저알도스테론증으로 인한 고칼륨혈증

이론상, 잘 알려진 감초의 효능에 따르면,

저알도스테론증이라 불리는 증상에 따른

높은 칼륨 수치에 있어 감초는 일부 이점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사용을 지지하는 조기 임상 근거가 존재한다.

그러나, 이것은 예비적 연구이며 자격있는 의료 전문가가 치료를 감독할 필요가 있다.

에이즈

조기 연구는 글리시리진이 AIDS 환자에게서

HIV 복제를 억제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그러나, 임상 보고는 미비하다.

고프로락틴혈증

감초가 함유된 작약감초탕은

신경이완으로 유발된 고프로락틴혈증에 사용되었다.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조기 연구에서는 구운 감초 탕약의 낮은 용량의

당질코르티코이드와 함께 사용한

재조합처방이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치료에

당질코르티코이드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 보다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조합 처방은 당질코르티코이드

단독 사용에 비해 이상반응 발생율을 더 낮추었다.

염증

많은 의학적 증상은 염증으로 식별할 수 있다.

감초가 스테로이드의 대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감초는 때때로 염증 감소를 돕기 위해 사용된다.

다낭성 난소 증후군

스피로놀락톤은 다낭성 난소 증후군 여성의 이뇨제로

흔히 사용되는 합성 스테로이드이다.

감초는 스피로놀락톤의 이뇨 활성과 관련된

부작용 감소를 위해 스피로놀락톤과 함께 사용되곤 한다.

체지방 감소

예비적 자료는 감초가 체지방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상기도 감염

예로부터, 감초는 거담 및 진해 효능을 위해 사용되었다.

허브 조합 제품인 KanJangⓇ이 단순 상기도 감염의 치료에 연구되어왔다.

바이러스 간염

감초 추출물인 DGL과 카르베녹솔론은

바이러스성 간염을 위한 잠재적 치료법으로 제시되었다.

D

소화성 궤양 질환

감초 추출물인 DGL과 카르베녹솔론의 소화성 궤양 치료가 연구되었다.

DGL은(카르베녹솔론 제외) 몇몇 이점을 제시할 수 있다.

그러나, 대다수의 연구는 제대로 설계되지 않았으며 일부 결과는 상반된다.

따라서, 이러한 증상에 감초가 이점이 있는지의 여부는 불분명하다.

출처: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 약물근거등급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