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2. 15. 09:02
약초배합 - 상엽(桑葉) + 국화(菊花) 약초야 놀자/약초배합, 조합2021. 2. 15. 09:02
728x90
효능
거풍청열(祛風淸熱), 평간명목(平肝明目)
주치(主治)
풍열상수지두혼목현(風熱上受之頭昏目眩),
혹간양상요지두훈(或肝陽上擾之頭暈),
목적종통(赤腫痛)
해설
상엽은 가볍고 성질이 서늘해 발산(發散)하고
위로 도달하기에 선폐소풍(宣肺疏風)하며
폐경(肺經)으로 들어가하여 폐락(肺絡)으로 달린다.
국화는 가볍고 성질이 서늘하고 위로 달려
소풍청열(疏風淸熱), 평간식풍(平肝息風),
명목청두(明目淸頭)하며 간경(肝經)으로 들어가
눈을 밝게하고 상엽과 같이 사용하면 한편으로는
소풍(疏風)하고 한편으로는 청열(淸熱)하여
내외상(內外傷)에 모두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로 풍열(風熱)로 인한 환자의
어지러움증과 눈이 아찔해지는 증상,
기침에 가래가 있는 증상,
간풍(肝風)이 내동(內動)하여 사지가 위축
혹은 마비되는 증상을 치료 할 수 있다.
간화상염(肝火上炎)으로 인한
눈충혈과 눈주위의 통증
외감풍열(外感風熱)로 인한 것에는
황국화(黃菊花)를 사용할 수 있고,
내상간허(內傷肝虛)에는 백국화(白菊花)를 사용할 수 있고,
간양옹절(肝陽癰癤)한데는 야국화(野菊花)를 사용할 수 있다.
부가설명
상엽과 국화의 조합은
주로 머리와 얼굴부위에 염증초기에
나타나는 증상에 사용합니다.
그래서 어지럼증이나 눈의 염증, 충혈
그리고 두통에 두루두루 사용할수 있으며
기침과 가래에는 효과가 미미한편입니다.
사용량
상엽 10g, 국화 10g
'약초야 놀자 > 약초배합, 조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초배합 - 만형자(蔓荊子) + 연교(連翹) (0) | 2021.03.02 |
---|---|
약초배합 - 상엽(桑葉) + 길경(桔梗) (0) | 2021.02.22 |
약초배합 - 총백(葱白) + 두시(豆豉) (0) | 2021.02.08 |
약초배합 - 창이자(蒼耳子) + 신이화(辛夷花) (0) | 2021.02.03 |
약초배합 - 형개(荊芥) + 방풍(防風) (0) | 2021.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