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4

« 2025/4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728x90

[작약]

 

 

등급의 분류

A : 확실한 과학적 근거

B : 믿을만한 과학적 근거

C : 불명확하거나 이론의 여지가 있는 과학적 근거

D : 일반적으로 타당성 있게 부정적인 과학적 근거

F : 강하게 매우 부정적인 과학적 근거

B

심장 질환

심폐질환은 호흡기관의 문제로 초래된 심장의 구조적 질환이다.

연구들은 작약이 심폐질환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C

알레르기성 피부 질환

작약 뿌리는 면역 기능에 미치는 유의한 효능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효능은 피부 알러지 반응과 관련된 염증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현재 피부 알러지 증상에

작약 사용을 권고하거나 반대할만한 충분한 근거가 존재하지 않는다.

항산화

작약 뿌리는 항산화 효능이 있을 수 있다.

심장 질환

작약은 혈액 순환과 심장 근육의 탄력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능이 있을 수 있으며 심장 질환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심장 질환

임상 연구는 작약이 심장 질환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신생아 용혈성 질환

신생아의 용혈성 질환은

산모와 신생아의 혈액형이 양립할 수 없을 때 발생되는 증상이다.

임상 연구들은 이러한 증상 예방을 위해 작약이 함유된 전통 중의약을 사용하였다.

임신성 고혈압

임상 연구에서 임신 중 발생한 고혈압 치료에 작약을 사용하였다.

고 콜레스테롤

폐경기 여성에게서 이루어진 임상 연구는

작약이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에 미치는

유의한 효능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호르몬 조절

임상 연구에서 작약이 호르몬 활성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이 나타났다.

신장 질환(반월상 사구체 신염)

임상 연구는 반월상 사구체 신염이라고 불리우는

신장 질환을 가진 환자가 작약을 병용할 경우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제제의 필요성이 더 적을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간염(간경변증)

작약은 간 질환 치료를 위해 중의학에서 사용되었다.

폐암

비록 임상에서 잘 연구되지는 않았으나,

작약은 항종양 활성이 있을 수 있다.

월경 질환

예로부터, 작약은 월경 질환과 월경 기간의 부족 치료에 사용되었다.

예비 연구는 작약이 호르몬 효과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류마티스 관절염

작약의 항염증 효능은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게 효과가 있을 수 있다.

현재 이러한 작약 사용을 지지하거나 반대할만한 충분한 근거가 존재하지 않는다.

위장 질환

작약 뿌리는 면역 촉진 효능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효능은 캄필로박터 파일로리디스균에 의한 위장 질환에 효과적일 수 있다.

자궁섬유종(근종)

작약은 자궁 섬유종에 대해 효과가 있는 호르몬 활성을 보일 수 있다.

현재 이러한 작약 사용을 지지하거나 반대할만한 충분한 근거가 존재하지 않는다.

주름 예방

작약에 있는 성분은 항노화 특성이 있을 수 있다.

출처: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 약물근거등급

'약초야 놀자 > 약초 효능 근거등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향 약물근거등급  (0) 2020.10.23
장뇌(용뇌) 약물근거등급  (0) 2020.10.14
자작나무 약물근거등급  (0) 2020.09.21
자스민 약물근거등급  (0) 2020.09.12
자몽 약물근거등급  (0) 2020.09.07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