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6. 25. 09:04
[약초세상]청허열약(淸虛熱藥)-백미(白薇) 약초분류(용도 위주로 정리)/청열약(淸熱藥)2020. 6. 25. 09:04
728x90
백미 기원식물
백미꽃 Cynanchum atratum Bunge 또는
만생백미(蔓生白薇) Cynanchum versicolor Bunge (Asclepiadaceae)의 뿌리 및 뿌리줄기이다.
맛은 쓰고(苦), 짜며(鹹), 성질은 차다(寒).
작용장부는 폐, 위, 신(肺, 胃, 腎)이다.
주치(主治)
1. 청열량혈(淸熱凉血)
①. 음허발열(陰虛發熱): 병이 낫고 난 후에도 미열이 지속되는 경우
②. 폐열해혈(肺熱咳血): 기침과 객혈(+육미지황탕, +상백피)
③. 산후허열(産後虛熱): 사물탕에 가미
2. 이뇨통림(利尿通淋)
①. 열림(熱淋): 소변을 볼때 작열감을 느끼는 경우
②. 혈림(血淋):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경우
3. 해독정창(解毒疔瘡): 피부옹창
①. 창옹종독(瘡癰腫毒): 피부종양
②. 독사교상(毒蛇咬傷)
③. 인후종독(咽喉腫毒): 만성인후염
4. 식풍지경(熄風止驚)
①. 중풍(中風)
②. 울모(鬱冒): 현기증
용량
3~12g
주의사항
황기와 대황은 같이 사용할때 주의한다.
배합예
1. +백질려(白蒺藜): 거풍지통(祛風止痛)
2. +지골피(地骨皮): 량혈제증(凉血除蒸)(미열지속, 뼈쑤시고, 어지러움증)
3. +죽엽(竹葉): 청열제번(淸熱除煩)
참고사항
미열이 계속이고 소변을 못 보고 번조와 땀이 나고 놀라고 불안한 증상 주요 타켓입니다.
번열이 있는 사람에게는 온담탕을 사용하고
산후소변을 못 보는 사람에게는 작약을 가미
산후발열과 음허증에는 보약과 같이 사용합니다.
'약초분류(용도 위주로 정리) > 청열약(淸熱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초세상]청허열약(淸虛熱藥)-은시호(銀柴胡) (0) | 2020.07.03 |
---|---|
[약초세상]청허열약(淸虛熱藥)-지골피(地骨皮) (0) | 2020.06.30 |
[약초세상]청허열약(淸虛熱藥)-청호(靑蒿) (0) | 2020.06.22 |
[약초세상]청열해독약(淸熱解毒藥)-인동등(忍冬藤) (0) | 2020.06.17 |
[약초세상]청열해독약(淸熱解毒藥)-위릉채(萎陵菜) (0) | 2020.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