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

« 2025/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728x90

구성

시호 12g

계지, 모려, 건강, 천화분, 황금 각 6g

감초 4g

해설

1. 교감신경계 흥분성체질 때문에 신경이 예민하며,

위액(胃液)분비 저하로 식욕이 부진할 때,

* 교감신경 흥분을 완화하여 한선(汗腺)의 과잉분비를 조절하고,

* 위산분비를 촉진하여 식욕을 증진하며,

* 세포에 유기산을 공급하여 피부와 점막을 자윤(滋潤)시킨다.

2. 만성적인 항원항체반응으로,

한선(汗腺)의 분비는 촉진되어 두한출(頭汗出)이 심하며,

체액은 고갈되어 갈증(渴症)을 나타내고, 피부와 점막은 건조할 때:

* 면역능을 증강하여 항원항체반응을 정상화하고,

세포에 유기산과 영양을 공급하므로 써 과다한 한출(汗出)을 조절한다.

3. 체질적인 고점도혈증과, 교감신경 흥분성체질때문에 면역능이 저하되어,

만성염증이 생겨서, 각종 염증[주로 상기도의 염증]에 잘 감염되며,

감염되면 빨리 낫지 않고 만성적이 되거나 알러지 체질이 될 때

* 고점도혈증을 저하하고,

*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며,

* 교감신경계의 흥분을 완화하고,

* 항균작용을 하며,

* 면역능을 증강하여 만성염증과 알러지체질을 개선한다.

약리작용

1. 과루근은 세포의 영양부족에 의한 도한(盜汗)이 있을 때,

또는 과다한 한출(汗出)로 인하여 영양분이 부족되어 피부점막이 건조할 때

영양분을 공급하여 피부와 점막을 자윤시킨다.

2. 시호, 모려는 신경안정작용을 한다.

3. 계지는 혈관을 확장하여 발한(發汗)을 억제하고,

모려, 황금은 교감신경흥분을 완화하여 발한(發汗)을 억제한다.

4. 황금, 과루근, 건강은 위액분비를 촉진하여 식욕을 증진한다.

6. 황금, 과루근은 항균작용을하여 만성염증을 개선한다.

7. 건강은 교감신경 완화 약물들에 의한 혈류의 저하를 예방한다.

적용증상

1. 교감신경계의 흥분으로 혈행이 빠르고 두한출(頭汗出)이 심하고, 번조가 있다.

[몸을 가만두지 못하고 행동이 번잡스럽다.]

2. 진액이 소모되어 입술은 건조하고 피부도 까칠하다.

3. 머리쪽이나 겨드랑, 등같은 상부에 한출이 심하므로 소변은 양이 적을 때가 많다.

4. 연변을 자주 본다.

5. 왕래한 열은 두드러지게 나타날 때도 있고 감지하지 못할 때도 있다.

6. 혀는 지도설이라는 군데군데 파여진 상태를 나타낼 때가 많고 빨간색 유두를 나타낼 때[황금, 황련증]도 많다.

7. 체내에 진액부족 현상이 있어서 찬음식이나 냉수, 음료수를 많이 마신다.

8. 면역능저하로 감기나 각종 염증에 잘 걸리며 한번 걸리면 잘 낫지 않고 만성적으로 이행하여 알러지가 되기도 한다.

9. 식욕부진이 있다.

 

응용

1. 머리의 피부병. [황련해독탕과 합방할 때가 많다.]

2. 기관지천식, 알러지비염, 아토피피부염, 두드러기 등의 제1형 알러지 질환의 기본 처방으로 가장 많이 쓰인다.

3. 기침감기, 콧물감기, 설사증에 가장 많이 쓰이는 처방이다.

4. 신경증, 노이로제 등에 많이 합방된다.

5. 맑은 물이 아닌 노란 물이 나오는 중이염(中耳炎)의 기본 처방이다. [염증으로 인하므로]

6. 간염, 황달, 담낭염, 담석증 등.

7. 폐결핵, 기관지염 등의 흉부질환.

8. 급만성 신염, Nephrose 등의 신질환.

9. 아이들 밤에 잠을 못 자고 울거나 보챌 때.[교감신경 흥분성체질]

10. 아이들 야뇨증에 육미지황탕과 합방하여 쓰일 때가 많다.

11. 빈뇨 [신경성].

12. 축농증 등 코에 나타나는 질환에 거의 본 방을 써야 될 체질자가 많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