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0

« 2025/4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728x90

1. 육성 경위

내병충, 양질, 대과 다수성 품종 육성을 목표로

1997년 대과 다수성 계통인 CL31-63을 모본에 조숙이며

대과 다수성 계통인 CL42-73을 부본으로 하절기에 인공교배하여

교배번호를 CL63으로 부여하였다.

1998년 F1특성을 조사, 중생종이며 대과종인

CL63- 202 개체를 영양체로 선발하여 1999년 생산력검정 예비시험을

1999~2000년 생산력검정 본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생산력 검정 결과 우수성이 인정되어 청양 5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여

2001~2004년까지 4개년간 청양, 예산, 진도의 3개 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 결과 중생종이며, 대과, 다수성으로 인정되어

2004년 12월 농촌진흥청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신품종 구기자 ‘청운’으로 명명되었다.

 

 

2. 주요특성

가. 고유특성

고유의 특성의 잎은 연녹색이고 타원형이며 크기는 중대,

줄기는 가시가 있으며 열매 모양은 장타원형이다.

 

<표 1> 고유특성

품 종 명

수 형

분지성

가시

유무

엽 형

과 형

크기

청 운

연녹

중대

반직립

보 통

타원형

장타원형

청양재래

반직립

보 통

피 침

타원형

나. 가변특성

가변특성의 개화기는 7월 1일로 대비품종보다 늦은 중생종 이고

경장은 120㎝ 엽면적은 22.2㎠/개이다.

주당 착과수는 497개로 대비품종 보다 많으며 100과중은 23.2g으로 1.6배가 무거운 대과이다.

 

<표 2> 개화기 및 열매의 특성

품 종 명

개화기

(월․일)

경 장

(㎝)

엽면적

(㎠/개)

엽록소

함 량

(SPAD)

착과수

(개/주)

열 매

100과중

(g)

과 장

(㎜)

과 경

(㎜)

과형지수

(%)

청 운

불 로

청양재래

7. 1

6. 19

6. 23

120

114

106

22.2

17.8

21.1

51.8

59.4

59.8

497

624

425

18.2

18.0

15.5

10.1

9.1

8.8

55.5

50.6

56.8

23.2

19.2

14.7

 

다. 병해충 저항성

병해충 저항성 중 탄저병 이병과율은 무방제 61.7%,

인공접종 시 57.8%로 대품종인 청양재래에 비하여 16.0~23.3%가 적었으며

흰가루병 병반면적율은 7.2%로 대비품종 보다는 강한 편이나

흰가루병에 대하여는 약한 편이다.

혹응애 피해엽율 21.2%로 청양재래(72.5%) 보다 강한 편이고

엽당 충령수도 2.9개로 청양재래 보다 5.7개가 적었다.

 

<표 3> 병해충 저항성

품 종 명

탄저병 이병과율(%)

흰가루병

병반면적율

(%)

혹 응 애

피해엽율

(%)

충령수

(개/엽)

무 방 제

인공접종

청 운

불 로

청양재래

61.7

52.0

85.0

57.8

37.3

73.8

7.2

7.5

8.7

21.2

50.5

72.5

2.9

2.9

8.6

 

라. 품질

구기자의 유효성분인 Betaine 함량은 열매 8.55㎎/g로

대비품종 청양재래(8.27㎎/g) 보다 약간 많았으며

엽에서는 23.07㎎/g으로 4.27㎎/g이 많은 편이었으며

엽의 Rutine 함량은 20.89 ㎎/100g로 대비품종인 청양재래(16.23㎎/g) 많았다.

 

<표 4> 열매와 엽의 유효성분

품 종 명

Betaine(㎎/g)

Rutin

(㎎/100g)

열 매

청 운

불 로

청양재래

8.55

7.10

8.27

23.07

19.82

18.80

20.89

2.90

16.23

 

마. 수량성

1) 생산력 검정

1999년~2001년까지 3개년간 실시한 생산력검정 시험중

생산력검정 예비선발시험에서 청운이 279㎏/10a, 본 시험에서 212㎏/10a

평균 246㎏/10a 으로 대비품종인 청양재래(154㎏/10a) 보다 60% 증수를 나타내었다.

 

<표 5> 생산력검정

품 종 명

건과수량((㎏/10a)

생 예

생 본

평 균

지 수

(%)

청 운

279

212

246

160

청양재래

151

156

154

100

2) 지역적응시험

지역별 수량성은 신품종 청운이 2001년~2004년 4개년간 시험한 결과

청양, 보령, 예산, 진도에서 대비품종인 청양재래 보다 수량성이 높았으며

2004년 청양에서는 수량성이 저조하였는데 이는 개화기 강우로 인하여

결실이 저조하여 수량성이 낮았으며 진도는 후기 기상이 양호하여

수량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표 6> 연도 및 지역별 수량성

구 분

2001

2002

2003

2004

청양

보령

평균

청양

보령

평균

청양

예산

진도

평균

청양

예산

진도

평균

청 운

167

151

159

236

114

175

157

178

134

156

83

196

234

171

불 로

166

140

153

217

177

197

188

206

251

215

126

198

299

208

청양재래

126

113

120

101

91

96

105

133

103

114

66

96

194

119

연도별 수량성은 대비품종인 청양재래에 비하여

신품종 청운이 2001년 33%, 2002년 82%, 2003년 37%, 2004년 44% 증수되었으며

4개년간 평균은 165㎏/10a으로 청양재래(112㎏/10a)보다 47%가 증수되었다.

 

<표 7> 연도별 수량성

품 종 명

건과수량(㎏/10a)

2001

2002

2003

2004

평균

지수(%)

청 운

159

175

156

171

165

147

불 로

153

197

215

208

193

172

청양재래

120

96

114

119

112

100

CV(%)----------------------------------------------- 10.5

LSD(1%)--------------------------------------------- 64.6

 

3. 적응지역

구기자는 내한성이 강하고 재배지역 범위가 넓은 작물로

배수가 잘되고 통풍과 햇빛 쪼임이 좋은 지역으로 충남, 전남이다.

 

4. 재배상 유의점

가. 자가 불화합성이 강한 작물로 필히 수분수를 식재하여 주어야 한다.

수분수로는 개화기가 비슷하고 친화성이 좋은 장명을 주품종 2열에

수분수 1열이나 주품종 2주에 수분수 1주를 식재하는 것이 좋다.

나. 대과종으로 비가 온 후 열과가 우려됨으로 적기에 수확하여야 좋다.

다. 탄저병과 혹응애는 청양재래보다 강한 편이나 예방위주로 방제하여야 한다.

 

품종육성기관

청양구기자시험장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