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내용

42세의 부인이 수년전에 음식상 飮食傷을 당한 후,

점차 황달이 발하여 전신이 노랗고 소양감이 심하며

음식소화가 어렵고 항상 포만하며

피부와 안면이 점차 흑색으로 변하고

눈이 침침하여 잘 보이지도 않아서

가족에게 손을 잡혀 맹인 상태로 내원하였다.

진찰한 결과, 곡달증으로 단정하고 소양이 심하므로

소달건비탕 消疸健脾湯에 인진 茵蔯 3돈과

백선피 白鮮皮, 사상자 蛇床子 各1돈을 가하여 투여하였다.

20첩 복용 후에 전신의 흑색이 점차 황색으로 변하면서

소양감이 없어지고 소화가 잘 되어 복용후에 시력이 회복되고

1개월 후에 완치되었다.

消疸健脾湯은 諸疸을 通治하며 穀疸로 飮食이 消化되지 않으며

不能飮食하고 煩心하며 胸腹脹滿하는 諸證에 쓴다.

食遠服. 처방구성은 다음과 같다.

香附子, 茵蔯 各2錢,

山査肉 一錢半, 蒼朮, 白朮, 厚朴, 陳皮, 豬苓, 澤瀉, 赤茯苓 各一錢,

山梔子, 蘿葍子, 藿香, 半夏 各七分,

三稜, 蓬朮, 靑皮, 大腹皮, 甘草 各五分,

生薑 三片.

(崔錫柱 편저, 『月海 새方藥整理』, 해진출판사,

2015의 消疸健脾湯에 대한 ‘雲溪 治驗例’)

 

부연설명

김정제(金定濟) 교수 敎授(1916∼1988)는

한국 한의학의 정체성을 정립한 巨木이다.

호가 雲溪로 1963년 대한한의사협회장으로

6년제 한의과대학의 기틀을 마련하였고

東洋醫藥大學의 관선이사장직을 맡았으며,

1965년 동양의약대학이 경희대학교로 합병되자

경희대학교의 교수로 취임하여 후학들의 교육에 힘쓰기 시작하였다.

위의 醫案은 김정제교수가

穀疸을 치료한 경험을 최석주선생이 기록해놓은 것이다.

곡달에 대해서 최석주선생은

“황달이 있으면서 음식을 먹으면

머리가 어지러워지는 증상으로

흉복창만과 善飢(배가 쉬이 고파짐)도 발한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消疸健脾湯에 대해서

“모든 황달병에 통용되나 그 목표는 소화불량에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김남일 / 경희대 한의대 의사학교실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장염(腸炎), 중이염, 황달,

천식, 식적과 아토피와의 상관관계

올겨울은 다른 해보다 추위가 매섭다.

그래서 천식을 앓고 있는 사람들이

갑자기 숨이 막히고 가슴이 아픈 증상을 호소하고,

평소 장이 약하던 사람은

추위로 운동도 하지 않고 주리가 더 막히면서

피부에서 수분이 증발되지 않으므로

장에서 흡수력이 떨어져 장염이 더욱 기승을 부린다.

아울러 血分이 약한 사람은

肝에 濕이 더욱 많아지므로

중이염이나 황달을 앓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사람들의 공통점은

모두 피부가 딱딱하게 굳는 경피증을 가지고 있거나

가죽처럼 질긴 경피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다.

이러한 사람들은 피부에 혈액을 공급하는

絡脈(말초혈관)이 막혀있고 아울러 땀구멍인 주리가 막혀있다.

왜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가?

사람의 조직을 채워주는 것은 크게 두 가지다.

첫째는 진액(津液)이다.

그런데 열감기가 들었는데

적당한 치료를 행하지 않고 해열진통제나 항생제를 남용하고,

한방치료도 적절한 치료를 행하지 못하면

진액(津液)이 열을 받아 담(痰)으로 변하는데

특히 묽은 담이 아니라 끈끈한 조담(燥痰)으로

변하는 경우가 많다.

묽은 痰일 경우는

소청룡탕으로 피부를 열고

속의 한담(寒痰)을 치료하면 되었다.

또한 일시적인 이열증(裏熱證)이 있고

표(表)에는 풍한(風寒)이 있을 때는

대청룡탕으로 치료하면 치유가 되었다.

그러나 요즈음은

대청룡탕증(大靑龍湯證)과 유사하면서도

속에 어혈(瘀血)이 많아

이 어혈이 말초의 락맥(絡脈-말초혈관)을 막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락맥(絡脈)의 어혈을 푸는 약을 같이 사용해야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앞에서도 말했지만 장에 습열(濕熱)이 울체되고

피부에도 습열(濕熱)이 울체된 사람은

주로 이마와 얼굴에 땀이 나고

설사와 복통, 구취, 구내염, 인후통을 주로 동반하고

혹 각통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장의 습열(濕熱)을 푸는 감로소독단에

장속의 어혈을 푸는 서각지황탕(犀角地黃湯)과

말초의 어혈을 푸는 삼갑산(별갑 4, 백강잠 2, 천산갑 2g)을 넣고

주리를 여는 마황 4, 행인 4, 석고 10g을 넣어서 쓴다.

그리고 변취가 심하면 지실 4, 대황 3을 넣고

심장이 허하여 얼굴과 손이 부으면

적소두 6, 죽엽 4, 연교 6, 금은화 4를 넣는다.

그리고 한열이 왕래하고 구고, 구역, 얼굴의 微黃,

小便과 大便의 黃色 등이 나타나고 땀이 목에 주로 나면서

맥이 左關은 弦하고 右關은 滑한 사람은

肝膽에 습열이 있고 장에도 습열이 있는 사람이다.

이때는 호금청담탕을 밑처방으로 하여 피부를 열어주면 된다.

肝膽에 濕熱이 있더라도 눈곱이 많고 눈충혈이 잘 되며,

소변이 數하면서 尿道에 발진이 생기고,

짜증이 심하고 한열이 왕래하며,

맥이 좌관에 마치 칼날 같은 맥이 나타나고

頭汗이 많은 경우도 역시 肝膽에 濕熱이 많은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대개 중이염을 동반한다.

병원에 가면 방광염 진단과 결막염 중이염진단 등을 내린다.

우리는 이 용담사간탕 한 가지 처방으로

여러 가지를 한꺼번에 해결한다.

혹 여자인 경우에는 냉이 흐르는 경우도 많다.

물론 여기에서도 피부가 막혀있는 사람,

즉 머리와 등(심장뒤)과 목 手足掌에만 땀이 나는 사람은

역시 피부를 여는 약과 어혈을 치는 약을 같이 사용하여야 한다.

이 외에 임상적으로

차멀미를 많이 하고 구역질을 하기도 하고 배에 腹脹症이 있고,

便臭가 심하고 설태가 후하고 혹 컹컹 기침을 많이 하는 사람은

담도(膽道)가 막히고 배에 식적(食積)이 있는 사람이다.

맥을 보면 담도가 막혔으니 좌관상에 모래알 같은 것이 1~4개 잡힌다.

그리고 배에 가스가 많이 차서 복창증이 오므로

右關은 마치 바람이 잔뜩 들어 있는 풍선 같은 맥이 잡힌다.

이러할 때는 지실도체탕을 밑처방으로 하고

여기에 서각지황탕과 피부를 여는 약을 가미하면 효과가 좋다.

한 가지 더 첨부하면

혹 제복통(臍腹痛-배꼽주위 복부통증)을 호소하는 사람은

모두 어혈복통(瘀血腹痛)이므로 이 처방을 사용한다.

상복에서 바늘이 찌르는 듯한 腹痛을 호소하거나

새벽에 속이 쓰린 사람은

위나 십이지장에서 잠혈이 빠져나오는 복통이므로

서각지황탕에 지유, 괴화, 모려분 등을 넣어서

위출혈을 막아야 한다.

천식의 경우는 장에 濕痰이 많지 않으면

그냥 犀角地黃湯에 과루인, 패모, 남성, 반하 등을 넣고

피부를 열어주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천식이 있는 사람은 폐가 심열을 식히지 못하여

心臟이 이미 망가져 있기 때문에

心臟의 치료를 겸하여야 할 경우가 많다.

심장이 약한 사람은

대개 엎어져서 자고 아침에 얼굴과 손이 붓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는 서각지황탕 가감청궁탕에서

적소두, 죽엽, 연교, 금은화를 취하여 가하고

아주 심하게 약하면 인삼을 사용하기도 한다.

소양인이라면 현삼을 같이 붙여서 사용한다.

심장병이라 하여 절대 심장만 바라보지 말고

반드시 심장의 열을 식히는 폐와 피부를 생각하여야 한다.

여름에 자동차가 가다가 못가는 것은

대부분 냉각장치에 문제가 발생하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요즈음 겨울에 갑자기 흉통을 호소하거나

심하면 쓰러지는 경우는 추워진 날씨 탓에

피부가 막히면서 폐의 냉각기능이 마비되어

심장이 열을 받기 때문이다.

심한 사람은 코에서 더운 바람이 나오고

옷을 벗고 입으려 하지 않는다.

그러면서 가슴에 번열이 나고 계단을 오르거나

뛰면 더한 경우는 모두 이러한 병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심장병이 다 이렇다는 것은 아니지만

필자가 보기에는 이러한 경우가 많은 것 같다.

이러한 병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것이

바로 비염과 아토피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임상을 잘 하려면

피부를 열어서 코를 뚫어주고

瘀血과 痰을 제거하여

아토피를 치료해주지 않으면 병이 낫지 않는다.

그리고 모든 환자들이

질병을 치료하다보면 감기증상을 호소하게 된다.

즉 코가 막히면서 나오고 기침을 하고 가래가 나오고 열이 나고,

담이 나오고 머리나 삭신이 아픈 등의 증상을 겪고서야

병이 치유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약을 주면서 이러한 사실을 주지시키고

양약을 먹지 않도록 해야 된다. <계속>

박찬국(함소아한의원장)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