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현대적본초'에 해당되는 글 2

  1. 2022.07.21 현대적 본초 읽기 - 부자
  2. 2022.01.04 현대적 본초 읽기 - 생강
728x90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거대속 중 하나인 바꽃속 (Aconitum)에는

약 400종의 식물이 존재하며,

이 중 211종이 중국에서 자생하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

천오 (Aconitum carmichaeli Debx.)와

초오 (Aconitum kusnezoffi Reichb.) 단 2종만이

중국약전 (2005)에 등재되어 있고,

천오의 모근 (母根)을 ‘천오’라 하며

자근 (子根)을 ‘부자’라고 부릅니다.

잠깐 상식으로 알아두자면

주형오두 (舟形乌头, A. napellus)는 아시아보다

유럽에서 잘 알려져 있는 바꽃속의 식물로

현재는 유럽의 동종요법 제제로 활용하지만,

과거에는 종종 죄인을 죽일 때 ‘독’으로 사용했습니다.

로마의 4대 황제인 클라우디우스 (Claudius)의 아내는

바꽃속 식물로 남편을 중독시켰습니다.

전통적 사용

부자는 바꽃속의 식물로 전통적으로

실신, 류마티스열, 관절 통증, 위장염, 설사, 부종,

기관지 천식을 비롯해 다양한 암 및

월경불순 등의 질환에 사용되었습니다.

부자는 초기 본초서인 <신농본초경>에 기재되었으며,

<상한론>에는 부자를 함유한 처방이 20여 개 수록되었습니다.

이후 장경악은 ‘사주’의 원칙을 언급했는데,

이때 사주는 부자, 인삼, 대황, 지황을 의미합니다.

현재 중국에는 부자를 포함하는 약 600여 개의 제제가 존재하며,

부자이중환 (附子理中丸), 소활락단 (小活絡丹),

금궤신기환 (金匱腎氣丸), 삼부주사액 (蔘附注射液) 등이 주로 사용됩니다.

성분

1. 알칼로이드

2. 기타

부자에는 알칼로이드가 약 0.5% 함유되어있는데,

한 연구는 총 105개의 알칼로이드를 보고했습니다.

부자 알칼로이드 중 독성을 함유한

diester-diterpenoid alkaloids (DDAs)는

열에 약해 장시간 끓이거나 다양한 열처리 (포제)를 통해

독성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약리작용

부자에 관한 다양한 약리작용이 보고되는데,

대표적인 것은 심혈관계 작용입니다.

다수의 연구에서 부자는

심장 수축력을 강화하는 강심작용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부자의 강심작용은 β-수용체의 흥분 및

카테콜아민 (catecholamine)의 분비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부자뿐 아니라 부자에서 추출된 다수의 성분들도

이러한 작용을 나타냅니다.

문제는 부자에 함유된 아코니틴 타입의

알칼로이드가 부정맥을 유발한다는 점입니다.

이 때문에 부자의 사용 시 포제 및 용량에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부자는 항침해수용 (antinociceptive) 및 진통 작용을 가지는데,

그 기전으로 전압-의존 Na+ 채널의 억제, 오피오이드 수용체 매개,

세로토닌 수용체 매개 등이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부자의 작용을 통해 Liu와 Jia는

류마티즘 환자에게 부자가 함유된 처방을 사용했는데,

30~45일 후 14%에서 유의한 개선, 33%에서 보다 큰 개선,

50%에서 개선을 보고하기도 했습니다.

이외에도 부자는 항염증

(NO 억제, 사이토카인 억제, 오피오이드 수용체 활성화),

면역계 활성 강화, 항노화 및 신장손상 모델에서

보호 작용 등을 나타내었습니다.

주의사항

부자 (또는 천오, 초오)는

한의학의 중요 치료약물인 동시에 대표적인 독성 약재입니다.

그래서 다양한 방법으로 독성을 감소시키는 과정을 거치며

이러한 포제 방법이 70여 가지에 달합니다.

포제를 하지 않으면 높은 독성을 가지는데

특히 뿌리와 꽃에 독성물질의 농도가 높습니다 .

독성 보고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부자에서 심장, 신경, 신장 등의 중대한 독성이 나타났으며,

간독성 역시 보고된 바 있습니다.

실제 부자에 비해 포제된 부자 (백부편)의

50% 치사량 (LD50)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공병희 원장의 현대적 본초 읽기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생강 (生薑)과 건강 (乾薑)은

수천 년이 넘는 한의학의 역사 속에서도

가장 자주 사용되는 한약재의 하나입니다.

먼저 생강과 건강의 분류를 보면,

생강은 생강과 (Zingiberaceae)

생강속 (genus zingiber)에 속한

생강 (Zingiber officinale Roscoe)의

신선한 뿌리줄기입니다.

반면에 건강은

생강의 뿌리줄기를 말린 것을 의미합니다.

특히 생강과 건강은 한약재일 뿐만 아니라,

인도의 약용식물로도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음식에 향신료로 쓰이기도 합니다.

생강이 향신료로 사용되는 것은 비단 한국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 있는 향신료는 후추 (black pepper)인데,

생강은 후추에 이어 2번째로 인기가 높은 향신료입니다.

2001년에 발간된 한 논문에서는

생강의 생산량이 연간 100,000톤이며,

이중 약 80%가 중국에서 생산된다고 보고했습니다.

성분

1. 정유 성분

2. 비정유 성분

생강은 정유 및 비정유 성분을 가지고 있습니다.

정유는 생강의 1-3%를 차지하고

zingiberene, curcumene 등의 성분을 포함하며

비정유 성분에는 진저롤 (gingerol), 쇼가올 (shogaol) 등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생강과 건강을 구별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생강과 건강은 성분 차이가 존재하는데,

특히 생강의 6-진저롤 (gingerol)과

건강의 6-쇼가올 (shogaol)이 특징적입니다.

신선한 생강을 건조하기 위해 열을 가하면

탈수화가 일어나 진저롤 성분이 쇼가올로 변합니다.

특히 6-진저롤은 생강에 가장 풍부한 성분으로

생강 특유의 맛과 향의 원인이 됩니다.

반면에 건강의 매운 향은

6-쇼가올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약리작용

한의학에는 ‘강삼조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생강 3개 대조 2개라는 뜻으로

많은 종류의 한약에 생강과 대조가 들어간다는 의미입니다.

다양한 처방에 생강이 들어가는 만큼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습니다.

한의학에서 생강은

주로 여러 소화기 질환에 사용되었는데,

실제 반하사심탕 (半夏瀉心湯), 육군자탕 (六君子湯),

소반하가복령탕 (小半夏加茯苓湯) 등의 처방은

생강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소반하가복령탕은 임산부의 입덧에 처방되었는데,

연구에 따르면 생강 단독 사용 역시 효과적이고

안전하다고 보고됩니다.

또한 생강은 항염증 및 진통 작용이 있습니다.

다양한 in vitro, in vivo 연구에서

생강이 염증매개인자를 억제한다고 보고했으며

2014년 메타분석 및 2015년 임상연구에서는

생강이 골관절염 환자에 중등도의 효능과 안전성을 가지며,

관절염 환자의 염증매개인자를 감소시켰다고 합니다.

생강은 원발성 월경곤란증의 통증을

완화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기도 했으며,

이외에도 항암 작용 또는 항산화 작용 등이

연구 및 보고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생강은 미국 FDA에서도

GRA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등급을 받았으며,

생강을 대상으로 한 임상연구에서는

특히 임산부에게도 생강은 안전하다고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생강 특유의 맛과 향으로 인해

복용이 불가능한 환자들이 존재했으며,

설사 등 소화기 계통의 부작용과 같은

가벼운 부작용이 보고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플라시보군의 부작용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습니다.

ⓒ 공병희 원장의 현대적 본초 읽기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