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허열'에 해당되는 글 1

  1. 2022.01.07 약초배합 - 은시호(銀柴胡) + 박하(薄荷)
728x90
[은시호]
 
[박하]

 

효능

청설간열 淸泄肝熱

주치(主治)

음허간열 陰虛肝熱

골증노열 骨蒸勞熱

소아감적 小兒疳積

소수발열 消瘦發熱

해설

은시호 銀柴胡는 감고미한 甘苦微寒하며

간 肝과 위 胃로 들어가 간위 肝胃의 허열 虛熱을

청 淸하고 겸하여 감질 疳疾의 발열 發熱을 없앤다.

박하 薄荷의 매운맛은 풍열 風熱을 산 散하며

아울러 청간 淸肝시킨다.

은시호 銀柴胡와 배합하면 청설간사 淸泄肝邪하여

골증노열 骨蒸勞熱을 없애며 임상에서는

지골피 地骨皮와 배합하거나 진교 秦艽와 같이 사용한다.

한방에서 말하는 허열이란

영양이 부족하거나 몸이 극도로 피곤하면 생기는

증상의 원인을 지칭합니다.

영양실조나 극심한 과로로 인해서

몸의 체액량이 부족해지면서

혈압은 떨어지지만 맥박은 오히려 빨라지며

부족한 체액량의 감소를 보상하기 위해

몸의 일부 혹은 특정부위에 혈액순환이 증가해

갈증이 생기거나, 관자놀이 혹은 뺨이 붉어지고

손발이 화끈거리고 가슴이 답답하며,

야간에 땀이 나는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런 열이 오르는 증상이 마치 사우나에 있는 느낌이기에

찌는 듯한 열감을 골증노열 骨蒸勞熱이라고 표현하고

이런 열감을 통칭해 음허열(陰虛熱)이라고 합니다.

중국에서는 은시호를 사용하지만

국내에서는 지모와 황백을 같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만약 간열(肝熱)이라면 목단피, 지골피를 넣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회 사용량

은시호 銀柴胡 10g / 박하 薄荷 6-10g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