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방풍약리작용'에 해당되는 글 1

  1. 2021.06.22 갯방풍 [ 산호채 珊瑚菜 , Coastal Glehnia ]
728x90

개요

갯방풍속(Glehnia) 식물은 전 세계에 약 2종이 있는데

아시아 동부 및 북아메리카 태평양 연안에 분포한다.

중국에 1종이 있는데 약으로 사용된다.

이 종은 중국의 요녕, 하북, 산동, 강소, 절강, 복건,

대만, 광동 등에 분포하며 러시아, 일본, 한반도에도 분포한다.

‘사삼’이란 약명은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처음으로 기재되었다.

명나라 이전의 본초에서는

북사삼과 남사삼을 가르지 않았다.

북사삼이란 명칭은

《본초회언(本草匯言)》에서 처음으로 볼 수 있고,

청나라의 《본경봉원(本經逢源)》에서

비로소 북사삼과 남사삼으로 구분되었다.

《중국약전(中國藥典)》(2015년 판)에

수록된 이 종은 중약 북사삼의 법정기원식물이다.

상품은 주로 재배품 위주이며,

주요산지는 산동, 복건, 하북, 강소, 광동 및 요녕 등이다.

그중 산동 내양(萊陽)의 갯방풍이 가장 유명하다.

《대한민국약전》(11개정판)에는 해방풍을

“갯방풍(Glehnia littoralis Fr. Schmidt ex Miquel, 산형과)의 뿌리”로

등재하고 있다.

갯방풍에는 주로 여러 종의 쿠마린 및 폴리아세틸렌이 있다.

《중국약전》에서는 약재의 성상,

현미경 감별 특징 등을 이용하여 약재의 규격을 정하고 있다.

《대한민국약전》에는

‘해방풍’이라는 명칭으로 등재되어 있다.

약리연구를 통하여

해방풍에는 진해(鎭咳), 거담(祛痰), 면역조절,

해열, 진통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의학에서 해방풍은

양음청폐(養陰淸肺), 익위생진(益胃生津) 등의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

1. 진해, 거담

해방풍의 에탄올 추출물을 위에 주입하면

암모니아수로 유발된 Mouse의 기침 발생빈도를

줄일 수 있고 기침의 잠복기를 연장할 수 있다.

또한 Mouse의 기관지 페놀레드 분비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2. 면역조절

해방풍을 달인 100% 약액, 5% 알코올 침출액 및

20% 다당을 위에 주입하면 Mouse의 대식세포 탐식기능,

혈청 용균효소의 농도, 지발성과민반응(DTH) 등에

매우 뚜렷한 촉진작용이 있다.

알코올 침출액 및 다당류는 B세포 및 T세포 증식에 대해

억제작용이 있으며 열수 추출물은 B세포 증식에 대해

촉진작용이 있다.

3. 항돌연변이

해방풍의 수액과 에탄올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in vitro에서 3종의 양성돌연변이원

(2-AF, 2,7-AF, NaN3)에 의해 유발된 돌연변이 상한간균

TA98, TA100의 돌연변이 회복을 억제할 수 있다.

4. 해열, 진정, 진통

해방풍의 에탄올 추출물은

상한간균으로 인한 집토끼의 발열에 대해

체온강하작용이 있으며 집토끼의 치아 전기자극에 대해

진통작용이 있다.

갯방풍 뿌리의 메탄올 추출물을 투여하면

최면 유효량의 펜토바르비탈나트륨을 사용한

Mouse의 수면시간을 연장시키며

에칠아세테이트 추출물은 진통작용이 있다.

5. 기타

갯방풍 열매의 메탄올 추출물은

종양세포 MK-1, HeLa, B16-F10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

갯방풍 뿌리의 수액 추출물은

적혈구의 용혈작용을 강력하게 억제할 수 있고

해방풍 유기용매 추출물은

지질과산화(LPO) 반응에도 억제작용이 있다.

용도

해방풍은 중의임상에서 사용하는 약이다.

양음청폐(養陰清肺, 음이 허한 것을 보하여 폐를 맑게 함),

익위생진(益胃生津, 위장을 도와 진액이 생기게 함) 등의 효능이 있으며,

폐음허로 인해 폐열이 생기거나 건조하여 생기는

건해(乾咳, 마른 기침), 건해담소(乾咳痰少),

인후 건조로 인한 사성,

위음허[胃陰虛, 위(胃)의 음액(陰液)이 부족함]로 인한 진액 부족,

진액 손상으로 인한 구조인건(口燥咽乾, 인후와 입안이 마른 것)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현대임상에서는

급 · 만성 기관지염, 폐결핵 등의 병증에 사용한다.

해설

갯방풍은 재배가 위주이며 야생은 매우 적다.

고증에 따르면

중국 고대의 남사삼(南沙蔘)과 북사삼(北沙蔘)은 모두

초롱꽃과 잔대속(Adenophora) 식물로,

갯방풍의 뿌리를 북사삼이라고 부른 것은 청나라 시기부터이다.

갯방풍의 일본어 번역명은 빈방풍(濱防風)으로 역

사적으로 특정 시기에 방풍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효능이 상이하여 현재의 방풍과는 차이가 있다.

해방풍에는 비교적 양호한 자음효과가 있는데

그 물질에 대한 작용기전 및 상관약리작용 등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즉 현재 국내에서 해방풍이라 유통되는 약초는

방풍이라는 약재와는 효능, 효과가 다르며,

오히려 잔대나 더덕과 같이 사용해야한다는 의미입니다.

출처: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1, 2016. 11. 11.,

자오중전, 샤오페이건, 성락선, 하헌용, 성락선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