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토곽향'에 해당되는 글 1

  1. 2021.09.24 한약재 감별 정보 - 배초향(土藿香)과 광곽향(廣藿香)
728x90

곽향, 국내에서는

배초향(土藿香) 사용이‘바람직’

배초향과 광곽향 廣藿香은

줄기모양 및 잎의 털로 구분 가능

곽향은 대표적인 방향성화습약 芳香性化濕藥으로서

많은 한방처방에서 응용되어지고 있는 한약재이다.

잎의 모양이 콩잎(豆藿)과 비슷하고

향기가 있어(香) 붙여진 이름이며,

약용 부위는 전초 全草이다.

아울러 식품으로서 활용도 매우 높아,

중국의 경우 대표음식인 잉어(鯉魚)요리에

반드시 사용되는 식품재료이기도 하다.

우리나라의 약재시장에서는

한국산 곽향인 배초향이 토곽향 土藿香이라는 이름으로,

중국산 곽향은 광곽향 廣藿香이라는 이름으로 유통되어지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약효 논란이 끊임없이 있어 왔다.

산지를 보면 배초향(藿香)은 한국과 중국 각지에 분포하고,

광곽향 廣藿香은 중국의 華南(廣東 廣西 福建 海南島 臺灣),

西南(雲南 四川 貴州), 華東(山東) 지역에 분포한다.

채취시기는 모두 가지와 잎이 무성할 때 채취하여 말린다.

1.곽향의기원

곽향의 기원식물은 2가지로서,

한국명 배초향인 Agastache rugosa는

KHP와 THP, DKP에서 곽향으로 명명되어 있으며,

한국의 경우 토곽향 土藿香이라는 이름으로 유통되어지고 있다.

또 다른 기원식물인 Pogostemon cablin은

동양권의 모든 나라(KP, CP,JP, THP)에서

광곽향 廣藿香이라는 이름으로 등록되어 있다.

특이하게 DKP에서는

향방아풀 Agastache formosanum이 추가로 등재되어 있다.

한약재로서의 토곽향 土藿香과 광곽향 廣藿香은

모두‘줄기가 푸르고 잎이 많이 붙어있으며

향기가 짙은 것이 좋다’고 게재돼있다.

2.약효상의차이

곽향 2종류는 기미 氣味와 귀경 歸經이 동일하고,

약효에서는 약간의 차이를 갖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유사하며,

주된 치료효과로 구분되어진다.

1)여러 문헌상 기록(李時珍의 本草綱目-줄기에 마디가 있다,

證類本草-藿香이 木部에 속한 점, 잎의 모양에 대한 묘사 등)에 근거하면,

곽향 藿香의 정품 正品은 광곽향 廣藿香을 지칭하고 있으나,

식물명도감고 植物名實圖考 등에서는 토곽향 土藿香을 지칭하는등 혼란이 있었다.

2)실제 문헌상의 약효를 보면

토곽향 土藿香은 신온해표 辛溫解表에 비중이 높은 반면,

광확향 廣藿香은 방향화습 芳香化濕에 더욱 높은 비중을 두고 있다.

실제 임상에서 대표적인 처방인 곽향정기산 藿香正氣散의 경우

‘치상한음증 治傷寒陰症’등의 기록과,

곽향반하탕 藿香半夏湯의‘한습내조 寒濕內阻로 인한 구토’등의

기록에서 보듯이, 곽향 藿香은 신온해표 辛溫解表와 방향화습 芳香化濕의

동시치료 약물이었다.

3)이런 면에서, 어떤 곽향 藿香을 사용할 것인지의 해답은,

곽향 藿香의 주성분이 휘발성정유물질

(土藿香-methylchavicol 80% 이상,

廣藿香-patchoulialcohol 31.86%)에서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고 본다.

즉 현재의 수준에서 동일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다면,

가능한 휘발이 적은 조건

(즉 채집지역 및 유통기한이 짧은 종류)이

해답이 되겠다.

우리나라에서는 자체적으로 생산되는

배초향(土藿香)의 효력이 좋을 것이며,

중국의 경우 보다 광범위한 지역에 분포하는

광곽향 廣藿香이 자연스럽게 주된 약재로

등록되었을 것이라고 추론된다.

실제 지역별 효능 차이를 설명하는

이제까지의 여러 논문은 위의 내용에 부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1.자연상태의구분

식물분류학적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분류검색표(discrimination key)를 제시한다.

2.약재상태의구분

한약재상태의 분류검색표(discrimination key)는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전체적으로 정리하면,

배초향(藿香) Agastache rugosa과

광곽향 廣藿香 Pogostemon cablin의구분은

1. 배초향은 한국과 중국에 고루 분포하며,

광곽향 廣藿香은 중국에만 분포한다.

문헌적인 고증으로는 곽향 藿香의 정품 正品은

광곽향 廣藿香이다.

하지만 효능면에서의 유사성과

약효물질이 방향성 휘발물질이라는 점에 근거하면,

우리나라의 경우 배초향(土藿香)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이런 연유로 역사적으로 2종류는 한약재로서의 혼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졌던 종류에 속한다.

2. 전초 全草를 약용한다는 점에서,

식물상태의 차이는 자연스럽게

약재상태의 차이점과 동일하게 정리되어진다.

[배초향]

[배초향]

[배초향]

① 배초향(土藿香)

줄기가 사각형이며 털이 없고,

잎은 계란모양으로 가지잎(茄葉)과 비슷하며 털이 없다.

엽기 葉基는 원저 圓底 또는 아심장저 亞心臟底이다.

꽃은 자주색이고 과실은 난상삼릉형 卵狀三菱形이며

선단 先端에 짧은 경모硬毛가있다.

[광곽향]

[광곽향]

[광곽향]

② 광곽향(廣藿香)

줄기가 약간 각이 있으며 황색의 융모로 덮여 있고,

잎은 광란형 廣卵形이며 위아래면 모두 털로 덮여있다.

엽기 葉基는 설형 楔形 혹은 미심형 微心形이다.

꽃은 옅은 홍자색이고 과실은 원형 圓形으로 매끄럽다.

즉 약재상태에서의 2종류의 감별은,

줄기가 사각져 있는가(배초향) 둥근가(廣藿香),

줄기와 잎에 털이 없는가(배초향) 있는가(廣藿香)로

구분이 가능하다.

출처: 한의신문,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우석대 한의대 본초방제학교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