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사용불가 원료 - 카바(CAVA) 건강관련 정보/식품사용불가 원료2021. 2. 19. 09:02
1. 정의
(1) 학명(기원식물)
Piper methysticum G. Forst
(2) 분류
식물류
2. 유해성/ 안전성 정보
(1) 성분
① Kavalactones 3.5%(Kavapyrons) : 카바의 주요 약리성분.
② Kawain(kavain)(C14H14O3)
③ di-Hydrokawain
④ Methysticin(C15H14O5)
⑤ di-Hydromethysticin
⑥ Yangonin(C15H14O4)
(2) 독성증상
피부건조; 황달; 혈소판 억제; 시력의 순응장애; 안구운동 균형장애;
감광성장애; 수족의 운동실조; 탈모; 청력상실; 식욕감퇴; 간손상
(3) 실험 및 사례보고
- Brinker F. 1998 :
임신기에 경구로 복용 시 카바의 pyrone 성분이
자궁을 약화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을 금해야 하고,
모유를 통해 이전될 수 있으므로 수유기 동안 역시 복용을 금해야 함.
알코올과 함께 사용 시 운동신경 반사 작용 저하와 같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음.
- Strahl S. 1998 :
카바는 간염재발병력이 있는 환자들의 간염을 악화시킬 수 있음.
카바복용을 중단한 후에는 자발적으로 간염이 완화됨.
몇몇 환자는 카바를 단기간(3~8주) 복용시켜도 간손상이 나타났음.
- Woelk H. 1993; Pitter MH. 2000 :
불안장애 치료로 카바추출물
(70% kava-lactone 100㎎을 하루 3번 복용)을 사용함.
Alcohol, barbiturates, benzodiazepines 또는
다른 중추신경계 진정제와 함께 사용 시
운동신경 반사작용의 저하와 같은 부작용이 증가함.
- Wheatley D. 2001 :
카바를 경구복용한 경우 위장장애, 두통, 현기증,
기면, 동공확대, 안구운동의 평형 및 조절장애, 구강건조,
그리고 피부 알러지반응 등이 일어날 수 있음.
장기간 과량(1일 400㎎ kava pyrones의 고용량)의 카바 복용은
체중저하, 단백질 수치감소, 안면부종, 혈뇨, 적혈구용적 증가,
혈소판 및 림프구 감소, 그리고 폐의 긴장항진증 등을 유발함.
파킨슨 환자는 일상적인 용량의 카바 사용 시에도
도파민 길항작용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사용을 금해야 함.
- Schelosky L. 1995 :
카바는 도파민 길항작용을 나타내므로
입과 혀의 반사와 같은 부작용이 일어 날 수 있음.
- Pizzorno JE. 1999 :
고용량의 카바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간독성이 나타나고 안구 충혈, 피부건조, 그리고 피부,
머리카락, 손톱 등의 황색변색을 일으킴.
피부병증은 보통 3개월~1년 동안 일정량의 카바를 복용 시 나타나며,
복용을 중단하거나 용량을 줄이면 증세가 완화됨.
- Escher M. 2001;
Russmann S. 2001; Liver Toxicity with Kava. 2001 :
적어도 68개의 카바 사용에 따른 간독성 사례보고가 있음.
1~3개월의 카바 사용 시 사망한 사례가 있음.
간염환자의 경우 3~4주의 카바 사용만으로도
황달, 피로, 검은뇨 등의 증세가 나타날 수 있음.
3~8주의 사용 후 간기능 수치가 올라갈 수 있음.
대사장애가 있는 환자의 경우 부작용이 훨씬 더 심각함.
- Meseguer E. 2002 :
카바는 파킨슨병의 진행과 속도를 증가시킴.
유전적인 떨림증상이 있는 건강한 45세 여성에게
하루 65㎎ 카바를 복용한지 10일 이후에 파킨슨증상이 나타났음.
Levodopa와 카바카바를 동시에 복용 시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음.
- Mathews JM. 2002 :
Cytochrome P450 1A2(CYP1A2) substrates,
cytochrome P450 2C19(CYP2C19) substrates,
cytochrome P450 2C9(CYP2C9) substrates,
cytochrome P450 2D6(CYP2D6) substrates,
그리고 cytochrome P450 3A4(CYP3A4) substrates와
카바를 함께 사용 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음.
- Garner LF. 1985 :
카바의 적용부위는 근경, 뿌리, 줄기임,
약리 작용의 대부분은 kavalactones(kavapyrones),
kawain(kavain), dihydrokawain, methysticin,
dihydromethysticin, yangonin 성분 등에 의해 유발됨.
말린 허브는 전형적으로 최소 3.5% kava-lactones를 포함함.
카바는 상업적으로 ethanol과 함께 30% kava-lactones로 생산되거나
acetone과 함께 70% kava-lactones로 생산됨.
(4) 외국의 사용금지현황
- FDA Poisonous Plant Database(미국)
Piper methysticum G Forst로 등재됨.
- Commission E monograph(독일) 내
Unapproved component characteristics or herbs :
- 영국(MHRA)의 List of herbal ingredients
which are prohibited or restricted in medicines :
Piper methysticum로 등재됨.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건강관련 정보 > 식품사용불가 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품사용불가 원료 - 투보쿠라린(큐라레) (0) | 2021.03.09 |
---|---|
식품사용불가 원료 - 토근(吐根) (0) | 2021.02.24 |
식품사용불가 원료 - 저백피(樗白皮 ) (0) | 2021.01.29 |
식품사용불가 원료 - 영란(鈴蘭, 은방울꽃) (0) | 2021.01.20 |
식품사용불가 원료 - 앵속(罌粟) (0) | 2021.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