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환자 치료 방법에는

약물을 복용하는 내치법과 함께 다양한 외치법에 존재한다.

외치요법 중에서 침구치료와 물리치료 이외에

약물을 국소적으로 도포하는 한약외용요법은

통증질환, 호흡기질환을 비롯한 다양한 질환에서 활용되지만

피부질환에서의 한약외용요법의 중요성은 의미가 남다르다.

한방외용제 중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제제를 손꼽으라면

자운고를 이야기 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자운고는

명대 외과정종에 출전된

윤기고에서 유래한 것으로,

윤기고는 지루피부염을 치료할 목적으로

당귀(當歸), 자초(紫草)와 향유(香薷),

황랍(黃蠟)으로 만들어졌던 연고이다.

일본의 에도시대의 외과의사

하나오카세이슈(華岡)가 윤기고에서 향유를 빼고,

호마유(胡麻油)와 돈지(豚脂)를 추가하여

창방한 것이 자운고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한풍제약의 자운고가 2014년도에

거친 피부(추위로 살갗이 튼데), 동상, 땀띠, 항문열창,

옻 등으로 인한 피부염을 효능 효과로

품목허가되어 시판되고 있고,

대부분의 한방병의원에서 조제되어

항문질환 및 피부질환에 활용되고 있다.

자운고에서 함량이 높은 주요성분을 살펴보자면,

자근은 양혈활혈(凉血活血), 청열해독(淸熱解毒)하며,

주요 약리작용에는 항염증작용이 있다.

당귀는 보혈조경(補血調經), 활혈지통(活血止痛)하며,

주요 약리작용에는 혈액 및 조혈계통에서의 항혈소판응집,

항혈전작용과 항알레르기 효과와 소염작용이 있다.

호마유는 불포화지방산으로

올레산과 리놀레산이 주로 함유되어 있고,

글리세린, 식물스테롤, 세사민(sesamin),

비타민 E 등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의 보습과 상처 치유작용을 한다.

살펴본 바와 같이

자운고의 자근과 당귀는 청열해독 및 활혈작용

(항염, 색소개선작용)을 하여

염증성 피부질환과 색소침착을 개선시키고,

호마유, 돈지, 황랍은 당귀와 자근가 피부에 잘 흡수되도록 하는

연고기제(carrier oil)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그 자체로서도 보습 및 상처회복 작용을 한다.

만성기 아토피피부염에서 자운고의 활용

만성기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주요 증상은

피부의 찰상, 태선화, 색소침착과

건조로 인한 피부소양감이다.

이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보혈거풍(補血祛風)하는 한약재를

내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지만,

동시에 보습제 도포와 함께 자운고를 활용하면

국소적인 보습, 상처치유, 태선화, 건조증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단, 환자의 아토피피부염 상태가 이차감염이 없어야 한다.

또한 급성기의 홍반, 구진, 부종, 삼출이 심한

아토피피부염 상태는 자운고 도포의 적응증이 아니다.

(이차감염과 급성기 아토피피부염의 외치법은 다음회에서 설명하겠습니다).

자운고의 아토피피부염에서의 효능에 관한 실험연구,

증례보고 연구는 다양하게 보고된 바 있으나,

무작위대조군임상시험은 수행된 바가 없다.

현재 경희대학교에서

만성기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태선화,

건조증, 색소침착 증상을 대상으로

자운고와 위약대조군을 비교하는 임상시험이 진행 중으로,

이후에는 자운고의 아토피피부염 증상 중에서

적응증을 특정지을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크다.

방사선 피부염에서의 자운고의 활용

최근 방사선 치료 중 발생하는 피부염에서

자운고를 활용한 연구가 잇달아 보고되었다.

2014년에는 일본에서 뇌종양 환자들에게

자운고를 예방적으로 도포하였더니

방사선 두피 피부염의 발생이 감소되었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다.

저자들은 일본에서는 건강보험에서 급여되고 있는

자운고의 항균, 항염증, 항소양 효과 및 상처재생에 대한

실험 연구 결과의 연장선에서 해당 연구 결과를

이해할 수 있다고 하였다.

2016년도에는 국내에서 유방암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자운고를 하루 2회 도포한 군과 도포하지 않은 군에서

방사선 피부염 발생률을 비교한 결과

자운고를 사용한 그룹에서 방사선 피부염 발생률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자운고 사용과 보관상의 주의사항

자운고의 용법과 용량은 국소적으로

환부에 1일 1회에서 수회 증상에 따라 도포한다.

식품의약품 안전처의 Ezdrug에 기록된

사용상의 주의사항을 참고로 하면,

1) 중증 또는 광범위 외상환자

2) 화농이 심하고 고열이 있는 환자,

3) 환부에 습윤이나 짓무름이 심한 환자에게는

자운고의 사용에 주의를 해야 한다.

또한 자운고의 주요성분의 하나인 호마유는

불포화지방산으로 산패율이 높기 때문에

일광차단, 방습이 가능한 불투명한 밀폐용기를 사용하여야 하며,

보관 시에도 공기, 습기, 일광에 유의하여야 한다.

앞으로 몇 회에 걸쳐서

피부질환에서의 한약외치법의 임상적 활용에 대하여

여러 문헌과 최근 연구들을 근거로 설명을 드리고자 합니다.

지면을 활용하게 해주신 민족의학신문사와

자운고 문헌고찰을 함께 해주신

경희대학교 예방의학교실 고유미 선생님 감사드립니다.

참고문헌

1. Hayashi. Prophylactic use of SHIUNKO

in the prevention of radiation-induced scalp dermatitis:

a preliminary report. Neuro-Oncology. 2014;16:13-4.

2. Kong MK, Hwang DS, Lee JY. Yoon SW.

The Efficacy and Safety of Jaungo, a Traditional Medicinal Ointment,

in Preventing Radiation Dermatitis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 Prospective, Single-Blinded, Randomized Pilot Study.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6.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
2019. 12. 28. 09:02

화상(火傷) 처방관련 자료/질환별 처방2019. 12. 28. 09:02

728x90

<자운고>

호마유(胡麻油) 6근, 피마자유(彼痲油) 1근,

돈지유(豚脂油) 4냥, 밀납(蜜蠟) 1근, 당귀(當歸) 4냥 2돈,

자초(紫草) 6냥 4돈, 백지(白芷) 2냥,

송지(松脂) 5돈, 백선피(白鮮皮) 2냥

약제는 반드시 순수 자연산을 사용해야 한다고 합니다.

제조법은 우선 호마유(胡麻油) 4근을 끓이면서 자초(紫草)를 넣은 후

자색이 나면서 끓으면 다시 당귀(當歸), 백지(白芷), 백선피(白鮮皮)를 넣고 끓여

백지(白芷)가 황갈색을 띄게 되면 체로 걸러서 약 찌꺼기는 버리고

다시 고운체로 추출된 기름을 걸러서 남은 胡麻油(호마유) 2근, 彼麻油(피마유) 1근,

豚油(돈유), 蜜蠟(밀납), 松脂(송지)를 넣고 끓이면서 가라앉지 않도록 계속 저어야 한다.

약제가 완전히 용해되어 유화되면 적당한 용기에 따라서 식혀 환부에 외용으로 사용한다.

p.s: 자운고의 양이 신경쓰이시는 분들은 들어가는 약재의 비율을

호마유(胡麻油) 100, 밀납(白蠟) 27, 자근(紫根) 10, 당귀(當歸) 10,

돈지(豚脂) 1.8의 비율로 하시면 됩니다.

자운고 처방의 유래는 명나라의 외과정종이라는 책에 있는 [윤기고]라는 처방에

일본의 화타라고 불리는 외과의사인 하나오카 세이슈(華岡靑洲, 1760~1835)가

이 윤기고에 돼지기름을 더하여 개량한 후 ‘자운고’ 라고 명명하였습니다.

자운고는 꼭 화상이 아니더라도 습진, 건선, 아토피에도 두루두루 쓰이지만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건 자초입니다.

자초는 자연산이 매우 고가에 속하기에 대부분 재배나 중국산을 사용하지만

가격이 높더라도 가급적 자연산 자초를 사용한 것을 구하시기 바랍니다.

 

자운고의 약재들의 역할

자운고의 처방 구성은 대부분이 참기름, 즉 호마유이며,

이외에 당귀, 자근, 밀랍, 돈지로 이루어진 비교적 단순한 구성의 처방입니다.

이 다섯가지 약재를 베이스로 하여 한국에서는

감초(甘草), 백선피(白鮮皮), 백지(白芷), 황련(黃連), 황백(黃柏) 등

피부질환에 효과적인 약재들을 가감하여 처방되고 있습니다.

그렇기 한의원이나 원외탕전마다 자운고의 약물 구성이

조금씩 다른 것을 확인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호마유 특유의 향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고자

올리브유나 다른 기름 종류로 대체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변방(變方)이 존재하는 자운고이지만

자근, 당귀, 밀랍은 꼭 빠지지 않고 들어갑니다.

자근, 그러니까 자초(紫草) 자운고의 군약(君藥)이며

양혈(凉血), 해독(解毒), 투진(透疹), 청윤(淸潤)의 작용이 있습니다.

과거에는 자근 전탕액(煎湯液)을 복용하여

마진(麻疹)의 예방과 치료에 응용하기도 했습니다.

 

자근에는 shikonin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 shikonin은 항균작용, 항염증작용, 항종양작용 등이 있으며,

최근 shikonin의 항HIV 바이러스 작용 역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국소 도포 시에는 모세혈관 투과성 항진 및 부종 억제 효과,

육아 증식 작용을 가지고, 경구 투여 시에도

상처 치유 및 항염증작용이 나타난다는 것이 동물 실험에서 밝혀졌습니다.

또한 자초 추출물은 NF-kB와 히스타민의 분비를 억제하여

비만세포가 유도한 염증성 알레르기 반응을 저해한다고 보고되었습니다.

자초의 창상 치유와 피부 재생 효과는 구성 성분 중

acetylshikonin의 naphthoquinone핵 α에 있는 OH와 O가

산화환원 반응의 촉매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자운고의 구성 약물 중 당귀 예전부터

윤조(潤燥), 보혈(補血), 화혈(和血)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실험적으로는 진통(falcarindiol, falcarinolone) 및

항염증 작용(β-sitosterol-Dglucoside),

인터페론 유발 활성 작용 등의 면역반응 증가,

항보체활성(arabinogalactan, pectin) 등의 효과가 있어

상처의 치유와 소독에 효과적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물론 처방 유래가 중국과 일본인만큼 일당귀를 사용하는 것이

방의(方義)에 적합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백밀랍은 황밀랍, 황랍을 표백한 것으로 벌집에서 정제한 것입니다.

예부터 부패 방지를 위한 코팅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왔던 밀랍은

연고를 만들 때 녹는점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최근 밀랍의 항생작용이 각광받고 있어

무좀과 상처 치료 및 피부 미용을 위한

마사지 재료로 이용되기도 합니다.

자운고의 호마유나 여타 기름 종류들은

과거 보습제가 별로 없던 시절

피부 보습을 위해 가미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출처: 충청남도 한의사회- 자운고 이야기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