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개요

자완속(Aster) 식물은 전 세계에 약 250종이 있으며

아시아, 유럽 및 북아프리카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중국에는 약 100종이 있는데 이 속에서

현재 약으로 사용되는 것은 약 40종이다.

이 종은 중국의 흑룡강, 길림, 요녕, 내몽골, 산서,

하북, 하남, 섬서 및 감숙에서 나며 한반도, 일본 및

러시아의 시베리아 동부에도 분포한다.

‘자완’이란 약명은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중품으로

처음 기재되었으며 역대의 본초서적에 많이 기재되었다.

《중국약전(中國藥典)》(2015년 판)에서는

이 종을 중약 자완의 법정기원식물 내원종으로 수록했다.

주요산지는 하북의 안국(安國) 및

안휘의 보현(亳縣), 와양(渦陽)이다.

《대한민국약전》(11개정판)에는 자완을

“개미취(Aster tataricus Linne fil., 국화과)의

뿌리 및 뿌리줄기”로 등재하고 있다.

개미취에는 주로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과

사이클로펩티드 성분이 있다.

《중국약전》에서는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시오논의 함량을 0.15% 이상으로,

자완 음편(飲片)의 경우 시오논의 함량을

0.10% 이상으로 약재의 규격을 정하고 있다.

약리연구를 통하여 개미취에는

거담(祛痰), 진해(鎭咳), 항균, 항종양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의학에서 자완은

윤폐하기(潤肺下氣),

화담지해(化痰止咳)의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

1. 거담, 진해

자완의 열수 추출물, 시오논, 에피프리델린을

위에 주입하면 Mouse의 호흡도 중의

페놀레드 분비를 뚜렷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자완에서 분리해 낸 butyl-D-ribuloside 배당체도 거담작용이 있다.

시오논, 에피프리델린을 위에 주입하면

암모니아수로 유발된 Mouse의 기침을 뚜렷하게 억제할 수 있다.

2. 항미생물

In vitro 실험에서 자완은

대장간균, 이질간균, 변형간균, 상한간균,

부상한간균, 녹농간균과 콜레라균에 대해

억제작용이 있음과 동시에 항치병성 진균과

항인플루엔자바이러스 작용이 있다.

3. 항종양

자완에 함유된 에피프리델린은

Mouse의 에를리히복수암(EAC)에 대해 억제작용이 있다.

자완에 함유된 사이클로펩티드에도 항종양 활성이 있다.

4. 기타

자완에서 분리해 낸 쿠에르세틴, 캠페롤,

스코폴레틴과 에모딘은 초산유리기의 생성 및

지질과산화물(LPO)을 뚜렷하게 억제할 수 있다.

쿠에르세틴과 캠페롤은 용혈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용도

자완은 중의임상에서 사용하는 약이다.

윤폐선폐[潤肺宣肺, 폐를 윤택하게 하고 폐기(肺氣)를 통하게 함],

화담지해[化痰止咳, 거담(祛痰)하여 기침을 그치게 함] 등의

효능이 있으며,

해수유담(咳嗽有痰, 기침할 때 소리도 나고 가래도 나오는 증상),

폐기불선(肺氣不宣, 폐의 기가 퍼지지 못하는 것)으로

야기된 폐옹(肺癰, 폐에 농양이 생긴 병증),

폐비[肺痹, 비증(痹證)의 하나], 소변불통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현대임상에서는

백일해, 만성 기관지염, 폐렴 및

요저류(尿瀦留, 소변이 모두 배출되지 않고 남아 있는 증상) 등의

병증에 사용한다.

해설

중국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곰취속(Ligularia) 여러 가지 식물의

뿌리 및 뿌리줄기를 중약 자완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통틀어 산자완(山紫菀)이라고 칭한다.

산자완의 약재에는 대부분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가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최근에는 이미 중요한 식물성 간독성 유발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일부분의 산자완에는 또 돌연변이, 발암 및

기형 유발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산자완의 자원이 풍부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며 그 사용된 역사가 깊다.

현대약리연구를 통하여

산자완에는 부분적으로

뚜렷한 거담진해작용이 있음과 동시에

일정한 세포독성 및 살충 활성이 있음이 알려져 있다.

임상에서는 반드시 구별하여 사용해야 한다.

출처: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1, 2016. 11. 11.

자오중전, 샤오페이건, 성락선, 하헌용, 성락선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자연환경

본 성(省)은 서북으로는 산악지역이 겹겹이 쌓여 있고,

동남으로는 광활한 평원이다.

고원, 산지, 평원이 성 전체 면적의

9.3%, 49.5%, 41.2%씩을 각각 차지하고 있다.

고원지대는 서북변에 위치하고 있는데,

연산(燕山)이 동서 방향으로 북쪽에 가로 누워있는 형상이다.

태행산(太行山)은 동북에서 서남으로 향하다 산서성에서 나뉘어 진다.

이 두 산이 반구형으로 하북평원을 둘러싸고 있다.

본 성(省)은 온대대륙성계절풍기후로

겨울에는 한랭하고 눈이 적고,

봄에는 건조하며 바람이 많이 분다.

여름은 무덥고 비가 많으며

가을은 춥지도 덥지도 않고 적당하다.

연평균기온은 -0~14℃이고,

연간 일조시간(日照時間)은 2400~3100 시간이며,

기온이 10℃ 이상인 날의 누적온도는 1600~ 4650℃이다.

서리가 내리지 않는 무상기(無霜期)는 80~205일이며,

연간 강수량은 350~815ml이다.

토양은 수도토(水稻土),속개토(粟鈣土),초전토(草甸土),종양토(種壤土),

회색삼림토(灰色森林土), 흑토(黑土), 소택토(沼澤土), 염토(鹽土), 풍사토(風砂土) 등이있다.

식생(植生)은 온대침엽림(溫帶針葉林)과 낙엽활엽림(落葉闊葉林),

낙엽활엽관목림(落葉闊葉灌木林), 건한초원(乾旱草原), 아고산초원(亞高山草原) 등이 있다.

 

[하북성 지역구분]

 

약재자원

통계조사에 의하면 전체 성에 분포한 약용식물은 1442종이고

약용동물 242종, 광물약재 30종으로 총 1714종이 있다.

 

이용현황

재배와 양식약재가 120종이 있다. 이중 전통 품종은 20종이다.

연간 재배면적은 8.2만 무(亩)이고 연간생산량은 1200만kg이다.

수매약재는 약 230종으로 연간 수매량이 1500만kg이나 된다.

 

주산품종

황금(黃芩) : 연산 산지구릉과 파상고원,태행산 산지구릉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주산지는 위장(圍場), 승덕(承德), 평산(平山), 래원(淶源) 등의 현이다.

연간 수매량이 전국의 20%정도를 차지하고 있어 2위를 기록하고 있다.

승덕(承德) 지역이 황금의 특산지로 약재가 굵고 길며 속이 단단하고,

겉과 속이 모두 짙은 황색을 띄어 ʻ열하황금(熱河黃芩)ˮ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산조인(酸棗仁) : 태행산(太行山)지역과 연산(燕山)의 산지구릉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형태(邢台), 내구(內丘), 찬황(贊皇), 부평(阜平), 래원(淶源),

적성(赤城), 풍녕(豊寧) 등의 현(县)이 주산지이다.

그중 형태(邢台)가 특산지로 상품의 색이 자홍색(紫紅色)으로

알이 통통하고 윤기가 나며 품질이 뛰어나고

오래 저장할 수 있는 것으로 오랫동안 명성을 누렸다.

본 성(省)의 수매량은 전국의 25%로 1위를 달린다.

 

지모(知母) : 태행산(太行山)과 연산(燕山)의 산지구릉에 분포하고 있다.

주산지는 이현(易县), 래원(淶源) 등의 현(县)이며 여기서 생산되는 지모(知母)는

껍질을 깨끗하게 제거하면서도 목질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뿌리가 굵고 질이 단단하고 황백색을 띈다.

ʻ서릉지모(西陵知母)ˮ라는 명칭으로 불린다.

전국 수매량의 15%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지모의 주산지 중에 하나이다.

 

시호(柴胡) : 연산(燕山)과 태행산(太行山)의 산지구릉

및 하북성의 서북산간 분지에 분포하고 있다.

본 성(省)의 연간 수매량이 전국의 15%를 점유하고 있는 제 2 생산지이다.

 

구기자(枸杞子) : 거록(巨鹿), 심현(深县), 청현(靑县), 대성(大城) 등이 주산지이다.

본 성의 연간 생산량이 전국 40%로 제1의 생산지이다.

 

해방풍(北沙參) : 안국(安國)이 주산지이다.

뿌리가 굵고 고르며, 분지(分枝)가 적고 표면이 매끈한 것으로 유명하다.

본 성(省)의 연간생산량이 전국의30% 정도를 차지하여 1,2위를 다툰다.

 

괄루근(天花粉) : 주산지는 안국현(安國县)이다.

색이 희고 가지가 굵고 길며 질이 단단하고 무게가 나간다.

전분성분이 풍부하고 횡근이 없어 유명하다.

본 성의 수매량이 전국 제일을 차지한다.

 

자완(紫宛) : 주산지는 안국현(安國县)으로

그 재배역사가 매우 길고 품질이 우수하여ʻ하북변자완(河北辮紫宛)ˮ이라고 불리고 있다.

본 성의 연간 생산랑은 전국의 25%로 1위를 차지한다.

 

하북의 주산 약재로는 이 외에도 판람근(板藍根) 등이 있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