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사진 설명(좌로부터)

1. 약용식물원 간판

2. 약용식물원 전경

3. 다양한 종류의 마황 재배지

4. 해당화 열매

5. 시호

6. 마타리

7. 회향

8. 개맨드라미

1923년 도야마약학전문학교

약초원으로 탄생

동남아시아 파라과이산 약용식물 610종 보존

년중 봄가을 2회 주말에 일반 공개행사 진행

도야마(富山)현은 일본에서

한약의 발생지로 한약산업이 잘 보전되어 있다.

이 곳의 대표적인 한약 관련 시설을 간단히 추려도

도야마시 민속민예촌 한약자료관,

도야마현 건강파크 국제전통의학센터,

고칸도 한방회사 한약전시관, 한곤탄약국,

가나오카(金岡) 약종상 집 그리고

도야마대학 화한의약학총합연구소와

민족약물자료관 등 숨이 찰 정도로 다양하다.

과연 일본 한약의 중심지라고 불러줄 수 있겠다.

도야마대학은 1949년에 개교하였고

그 중 약학부는 1978년 도야마의과약과대학으로

독립했다.

그 후 2005년에 다시 도야마대학과 통합하여

현재는 도야마대학 소속이 되어 오늘에 이른다.

오늘 둘러 볼 도야마대학 약용식물원은

1923년 도야마약학전문학교 약초원으로 탄생하여

현재 도야마대학 약학부 부속 약용식물원으로

명과 실이 함께 성장하여 왔다.

캠퍼스의 제일 윗쪽에 위치한 이 식물원은

1,982종의 약용식물을 보유하고 있는데

대부분이 종자식물이다.

그 중에서 포장에 식물이름을 붙여 놓고

야외에서 재배하는 식물은 330여종이나 되며,

귀한 식물들이 많아 약용식물 연구에 좋은 식물원이다.

특히 온실에 들어가면 동남아시아와 파라과이산

약용식물 610종이 보존 관리되고 있어 이채롭다.

화한의약학총합연구소의

요코자와 타카코(橫澤隆子) 교수의 협조를 받아

약용식물원을 방문한 날은 마침 비가 제법 내렸다.

하지만 쏟아지는 빗속에서 우산을 받쳐 들고 하니

더욱 다른 생각을 할 틈이 없이 열심히

약용식물 사진을 촬영한다.

관리실 옆에는 일본의 어느 약용식물원에나

다 재배하고 있는 울금이 마침 꽃을 피운 채

방문객을 반긴다.

일본에서는 Curcuma longa를 울금으로 부른다.

그리고 일본에서 강황으로 불리는

Curcuma aromatica도 재배하고 있다.

다양한 마황류를 한 장소 안에 잘 분류하여

포장을 구성하고 있다.

필자가 관심을 가지는 해당화도 있다.

이 곳 해당화의 학명은 Rosa rugosa var. plena이다.

대황 대용으로 사용하는 종대황은

6월에 촬영한 꽃 사진과 10~11월의 수확기 사진

그리고 약용 부위인 뿌리줄기의 횡단면 사진을

함께 제작해 팻말로 만들어 두고 있다.

일본서 식용 대황으로 부르는

Rheum rhaponticum도 본다.

창출은 다양한 품종을 수집하여 포장에 재배하고 있는데

중국산, 한국산도 포함되어 있다.

감초는 의약품은 물론 간장, 담배,

다양한 가공식품의 감미료로 널리 사용되므로

중국을 중심으로 연간 1만톤 이상을 수입한다고

기술하고 있다.

스테비아는 7월과 9월에 촬영한 사진도

팻말로 제작해서 방문객들의 이해를 돕는다.

시호는 노란꽃이 피어 있으며,

남실, 의이인, 다양한 종류의 다투라, 작약, 목향,

당귀, 회향, 마타리(패장근), 개맨드라미(청상자)도

있다.

이 약용식물원은 시민들을 위한

일반 공개행사도 개최하여 지역사회에 다가가는데,

봄과 가을 2회에 걸쳐 토, 일요일을 이용한 휴일에 연다.

이곳을 찾아가려면 도야마역에서

도야마대학 부속병원행 버스를 타고 종점에 내리면 된다.

글ㆍ사진 / 국립순천대학교 한의약연구소장 박종철 교수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강황, 울금, 아출, 약울금 비교 쉽도록 같은 구역서 재배

시민들에게 약용식물 현장학습 제공

면적 3,000㎡ 유용식물 1천여종 자라

정신병 치료약인 인도사목 시선 끌어

도쿄都 시나가와區에 소재한

호시약과대학(星藥科大學) 약용식물원은

무료입장이 가능해 시민들이 자유롭게

약용식물을 둘러보고 현장공부를 할 수 있는 유익한 장소다.

대학 정문에 있는 안내실의 방명록에 기재하고

방문증을 받으면 누구나 약용식물원에 들어갈 수 있다.

필자가 찾은 날에는 고교 교사들이 단체로 방문하여

약용식물에 대해 조사를 하고 있었다.

대학 정문을 지나 50미터 정도 들어가면

오른편으로 약용식물원이 보인다.

이 식물원의 면적은 3,000㎡ 정도이며

1천여 종의 유용식물이 자라고 있다.

게시판에는 약용식물 포럼행사의 포스터가 붙어 있고

오른편에는 학생들의 보고서 수령함이 있다.

약용식물원 입구의 길가에 핀

보라색 라벤더 꽃무더기가 방문객을 맞이한다.

왼쪽 편의 나무들 사이로는 건위제로 쓰이는 산초나무가 보였다.

가지마다 초록색 산초열매가 탐스럽게 매달려

내리는 빗물을 머금고 있다가 툭 떨어뜨린다.

일반인은 산초나무와 초피나무를 간혹 혼동할 수 있다.

이름도 비슷하고 열매도 비슷해서 더욱 그렇다.

산초나무의 잎과 가시는 서로 마주보고 나는 형태인 대생이지만

초피나무의 잎은 엇갈리는 호생이므로 알아두면 구별이 가능하다.

사진 속의 산초나무를 보면 가시가 대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숲 기운을 느끼며 더 들어가면

열매가 달려있는 산사나무 그리고 가지 끝에는

조그마한 흰 꽃을 피우고 있는 지치가 보인다.

때 마침 비가 쏟아져 우산을 받쳐가며

접사렌즈로 꽃에 더욱 가까이 다가서 본다.

까만 망사천막 아래에 갇혀 있는 부자 옆에는

빨간 마름모꼴의 경고용 플라스틱을 세워 놓고,

이 식물이 유독식물이라고 경계하고 있다.

외국의 약용식물인 히요스, 디기탈리스, 인도사목도 보인다.

특히 연한 핑크색이 감도는 작은 꽃이 핀 인도사목은

의약품 개발 분야에서 중요한 약용식물이다.

인도사목은 남북 회기선 사이 열대아시아의 삼림지대에서 자란다.

이 식물에서 분리한 reserpine 성분은 혈압 강하제로 개발되었고

또한 정신병 치료약으로서 주목 받는 의약품이 되었다.

어느 약용식물원에서나 볼 수 있는

시호, 당귀, 황기, 목통, 마황은 이곳에서도 잘 자라고 있다.

빨간 꽃이 핀 인삼은 철조망 속에서 귀하게 재배하고 있으며,

열매를 최유제로 사용하는 개감초에는 끝이 뾰쪽하고

타원형인 협과의 열매뭉치가 매달려 무거워 보인다.

온실 옆에 자리 잡은 토목향에는

해바라기처럼 커다란 노란 꽃이 피어있다.

반하, 용아초, 하고초, 도라지, 산편두, 지부자,

권삼으로 약용하는 범꼬리도 보이고,

아마인, 신선초, 호초 ,박하, 지치,

용안육으로 잘 알려진 용안나무도

방문객을 맞기 위해 내리는 비에 깨끗이 씻고 나왔다.

강황, 울금, 아출 그리고 일본에서 약울금이라 불리는

Curcuma xanthorrhiza를 비교하면서

관찰하기 용이하도록 같은 구역에서 재배한다.

이 곳을 몇 번 찾아 낯 익은 오카베 슌이치(岡部俊一) 관리인은

“잎 뒷면을 만져보고 잎맥 중앙에 있는

한 개의 자주색 줄의 길이를 잘 관찰하라”며

이들 식물의 특징에 대해 설명해 준다.

특히 보관 중인 뿌리줄기를 꺼내서

내부 단면을 비교해 주는 친절도 베풀어 준다.

이 약용식물원은 평일 9시부터 오후 4시30분까지

그리고 토요일은 9시부터 12시까지 입장이 가능하며

일요일과 공휴일은 휴원한다.

도쿄의 순환 전철인 JR 야마노테線의 고탄다 역에서

토큐이케가미線으로 갈아타고 토고시긴자 역에 내려서

오른쪽으로 10분 가량 걸어가면 호시약과대학이 나온다.

사진 설명 (좌로부터)

1. 약용식물원 간판

2. 고교 교사들이 약용식물을 조사하고 있다.

3. 부자가 유독식물임을 알리는 붉은 플라스틱 표지판이 세워져 있다.

4. 인도사목 꽃

5. 개감초

6. 범꼬리 꽃

7. 토목향 꽃

글ㆍ사진= 박종철 교수

국립순천대학교 한의약연구소장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2~3미터의 큰 키로 우뚝 솟아 있는

백지로 사용하는 구릿대가 보인다.

그 옆에는 구릿대와 생김새가 비슷한

Angelica pubescens가 자라고 있다.

이 식물의 꽃은 거대한 복산형화서이며

많은 백색의 작은 꽃이 달려 있다.

특히 엽병이 두껍고 튼튼한 느낌을 주므로

일본에서는 ‘갑옷풀’이란 이름이 붙여진 것 같으며

생약명은 ‘저독활(猪獨活)’이라 부른다.

한대석 교수의 저서를 보면

‘중국약전에는 Angelica pubescens를 독활로 규정하고 있지만

일본에서는 별도로 당독활이라 부르고 있다’고 전한다.

산수유, 산치자, 마리아엉겅퀴, 현삼,

아출, 작약, 로벨리아, 형개, 황기, 목통, 산약,

천문동, 망강남(望江南), 시호, 닭의 장풀, 디기탈리스,

제충국화, 지황, 사삼으로 사용하는 당잔대도 재배되고 있다.

가을의 대표적인 들풀인

마타리와 이와 유사한 뚝갈도 촬영한다.

마타리 뿌리는 패장근으로 부른다.

패장이란 말은 뿌리에서 콩장(豆醬) 썩는 냄새가

난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마타리는 노란색 꽃이 피며 줄기에

털이 거의 달리지 않는 점이 뚝갈과 다르다. 뚝

갈은 봄에 어린 순을 캐서 삶은 다음 나물로 먹기도 한다.

산편두로 쓰이는 차풀, 율무, 홉도 있다.

채소 또는 샐러드로 먹는 치커리도 보인다.

치커리의 뿌리는 구운 뒤 갈아서

조미 첨가제를 만들거나 커피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조미료와 방향제로 사용하는 탄지에도

특징인 동그란 노랑꽃이 수많이 피어 있다.

부자도 돌아오는 길에서 발견한다.

밭에 심어진 부자를 이곳 식물원의 부장이 지켜보는 가운데

뿌리가 약간 보이도록 흙을 파서 사진 촬영하고 다시 묻어둔다.

약용식물의 사진 촬영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답사단의 열정적인 모습이 외국인에게는 어떤 모습으로 비쳐질까?

신경중추가 마비되며 호흡을 곤란하게 만드는

독(cicutoxin)을 함유하는 독미나리도

약용식물원 본부건물 앞 분수대에 심어져 있다.

택사도 본부 건물 앞에 심어져 있다.

택사는 전남 순천지역에서 대량 재배되고 있지만

보통의 재배지에는 뿌리줄기를 약용하므로

꽃은 피기 전에 잘라버려 꽃을 보기 힘들다.

여기에는 택사의 꽃과 열매가 잘 달려 있어

이들 꽃, 열매를 많이 촬영해 두었다.

고추, 부추, 호마(胡麻)같은 식용식물도

우수한 효능이 있는 약용식물이다.

이 재배장에는 이 같은 식용식물도 잘 가꾸면서 전시하고 있다.

우리들이 흔하게 보면서 별 가치 없이 여기는

이 같은 식물들도 그들은 잘 관리하면서 보존하고 있다.

하찮은 식물들도 약용식물 연구자들에겐 유용한 식물인 것이다.

식물 관리에 대한 이들의 생각을 현장에서 배운다.

일반인들에게 잘 개방하지 않는 연구용 재배장이라서

답사단 일행은 사진촬영에 다들 신경을 많이 쓴다.

개인적으로 찾아가기 힘든

귀한 약용식물원이다 보니

사진촬영과 식물관찰에 열중한 답사단은

현장의 식물 보호에 다소 소홀한 점도 없지 않았다.

이 자리를 빌려 약용식물원을 안내해준 분들께

감사와 죄송한 말씀을 함께 드린다.

글ㆍ사진 = 박종철 교수

국립순천대학교 한의약연구소장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도쿄 인근의 이바라키(茨城)현

쯔쿠바시에 있는 쯔쿠바 약용식물원.

정식이름은 ‘독립행정법인 의약기반연구소

약용식물자원연구센터 쯔쿠바연구부’라는

긴 명칭을 가지고 있다.

이 약용식물원은 1922년 도쿄위생시험소

약용식물재배시험부의 부속시설로 시작하였다.

1980년 쯔쿠바 연구학원도시로 이전하여

쯔쿠바약용식물재배시험장으로 개칭하였으며,

2005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바꾸면서

약용식물에 관한 종합적인 연구를 시행하고 있다.

이 식물원에 들어서면

제일 먼저 키가 큰 대마가 우리 일행을 반긴다.

대마는 철망 안에 갇혀 재배되고 있다.

큰 키를 보호하고 중요식물 표시도 하기 위해 설치한 모양이다.

몇 년 전 미국 플로리다에서 개최된

미국생약학회에 참석하여

그곳의 대마 재배지를 견학한 적 있었다.

그곳에서는 엄격한 출입제한이 있었고

심지어 사진 촬영도 못하게 했었다.

그렇지만 일본의 이 식물원은

우리 답사단에게는 다소 자유스러웠다.

3미터 정도 되는 키를 가진 대마초에서

조그만 달걀형태의 열매가 맺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삼국사기』에

삼에 관한 기록이 있어 오래 전부터

재배되었을 것으로 추측되며,

고려 말 문익점 선생이 목화씨를 들여올 때까지

우리 의복의 주종을 이루었다.

대마의 잎과 꽃은 대마초 원료로 쓰이며

대마의 주성분은 THC라는 환각물질이다.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 자료에 의하면

수 대마보다는 암 대마에, 그리고 무덥고 일조량인 많은 지역에서

성장한 대마에 더 많이 함유되어 있어

중동, 멕시코, 미국 남서부 대마의 THC성분이

한국 등 동북아산보다 20~60배 정도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식물원 입구에는 마약인 대마와 양귀비 사진,

그리고 대마와 유사한 식물, 재배 가능한 양귀비의 사진을 붙여 놓고서

국민들에게 마약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있었다.

쯔쿠바 약용식물원에는

여러 종류의 마황이 심어져 있다는 것이 특징일 것이다.

보통 2~3종의 마황은 일본의 약용식물원 어디에서나 볼 수 있지만

여기는 Ephedra intermedia, E. altissima, E. ciliata,

E. equisetina, E. procera, E. distachya, E. gerardiana,

E. sinica 등 많은 종의 마황이 수집되어 재배되고 있다.

이중 E. equisetina에는 빨간 꽃이 피어 있다.

육안으로 보기엔 비슷해 보이지만

이렇게 다양한 종류의 마황을 접하기 어려울 것 같다는 생각에

재배품 전부를 촬영해 둔다.

정확하게 분류된 여러 종류의 마황은

이 약용식물원의 소중한 자산일 것이다.

대황 재배지에는

Rheum undulatum과 Rheum rhaponticum 2종류를 재배하고 있다.

약용가치가 적은 이들 대황의 꽃은 이미 졌지만 대신 넓은 잎을 잘 촬영해 둔다.

장엽대황(掌葉大黃), 당고특대황(唐古特大黃), 약용대황(藥用大黃)은 볼 수 없었다.

구기자에는 보라색 꽃과 빨간 열매가 함께 열려 있다.

마크로 렌즈로 바꾸어서 조그만 구기자 꽃으로 다가가 여러 번 촬영해 둔다.

감초도 유럽감초라 불리는

Glycyrrhiza glabra와 G. echinata 두 종류가 심어져 있다.

이 약용식물원을 방문한 시기가 8월말인데

식물원안의 메타세쿼이아 나무에는

매미 허물들이 뒤엉켜 붙어 있었다. <격주연재>

글ㆍ사진 = 박종철 교수

국립순천대학교 한의약연구소장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중국의 약용식물원은

베이징 약용식물원을 비롯하여

광시(廣西), 구이양(貴陽), 하이난(海南),

쓰촨(四川), 윈난(雲南) 약용식물원 등이 있다.

일반 식물원이 아니고

약용이 되는 식물들만 재배하고 있는

전문 식물원만 해도 이렇게 많은 셈이다.

그중 베이징약용식물원은

중국의학과학원 약용식물연구소의 산하기관이다.

지난달 17일에 이 식물원을 다녀왔다.

작년 8월 중순에 방문한 적이 있었지만

꽃 피는 시기가 달라 이번에도 유익한 방문이 되었다.

약용식물원이 속해 있는

중국의학과학원 약용식물연구소는

1983년 8월에 설립되었으며 이 식물원 외에

운남, 해남, 광서 세 곳의 분소를 포함한다.

이들의 총면적은 한국평수로 110만평이고,

약용식물은 약 5천여 종을 보존하고 있다고

홈페이지에서 설명하고 있다.

베이징약용식물원은 1984년 설립되어

1300여 종의 약용식물을 보유하고,

9백 종의 종자를 보관하는 대형 저온저장고 및

각종 전문실험실을 구비하고 있다.

식물원 입구에는 옥잠화가

흰 꽃을 피우며 줄지어 있고

회화나무도 위로 뻗은 키를 뽐내며 서 있으며

두충나무도 더불어 산다.

한약구역에는 중국약전에 수재된

전통적 한약을 위주로 고루고루 보이고

약용 부위에 따라 분류하여 전초, 잎, 꽃, 뿌리,

뿌리줄기, 종자와 열매 식물로 구획을 지어

성장과 약효를 연구하며 재배 중이다.

샛노란 꽃을 피운 용아초,

흰꽃 속에 보라색 줄무늬가 있는 노학초,

보라색 꽃의 제니, 지유, 구기와 길경, 노란색꽃 백굴채,

하얀 천문동의 천진한 꽃들을 감상하면서

관상용으로도 관심을 받고 있는

약용식물 연구 개발의 지평을 멀리까지 가늠해 본다.

시기가 다른 두 번의 방문에서

하얀꽃과 열매를 맺고 있는 고삼 그리고

노란꽃과 큼직한 열매에서 흰털을 휘날리고 있는

토목향을 각각 관찰할 수 있다.

꽃이 져서 큰 열매를 가지고 있는 장(藏)목향도 보이고,

요고본은 약용식물원 직원의 도움을 받아 뿌리를 캐 본다.

꽃을 만개시킨 익모초에는 달팽이 한 마리가 힘겹게 올라가 붙어 있다.

모두가 흙을 믿고 사는 생명들이다.

장엽반하도 보이고

일부러 심어놓은 듯한 커다란 목적도 발견했다.

목적 앞에서는 답사단 모두가

충분한 시간을 할애해서 사진촬영을 한다.

이렇게 밀집하여 재배하고 있는 목적은 보기 힘들기 때문이다.

그 외 곽향, 마황, 백부, 양제, 익모초, 창출, 목단, 황정,

적작약, 우슬, 길경도 재배하고 있다.

식물원 입구 쪽의 선물코너 근처에는 이시진 선생의 동상이 있다.

전시장에서 동상으로 보아 왔지만 이번에는 한약을 조사하다 맞닥트렸다.

선생은 인자한 모습으로 후학들을 내려다보며 격려하는 듯 했다.

동상 옆에는 진한 분홍색 꽃이 핀 월계화 위로 오후의 태양이 복사열을 달군다.

글ㆍ사진 = 박종철 교수

국립순천대 한의약연구소장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중국의 후베이(湖北)성 언스(恩施)

토가족 묘족자치주를 찾아간다.

후베이성의 성도인 우한(武漢)에서

비행기로 한시간 정도 가면 왼편 제일 끝자락이다.

아직 한국사람들의 발걸음이 거의 없는 곳이라

조선족 안내원도 우한에서부터 동행하였다.

비행기 트랩에서 내린

우리 일행을 반기는 것은 산중턱에 걸려 있는 운무였다.

금방 비가 그쳤는지 산 위의 구름과 산 중턱의 구름이

조화를 이루며 산 할아버지가 구름모자를 쓴 것 같은

전원풍의 그림을 그려놓고 있었다.

언스州의 중심은 언스市이다.

이곳의 동남쪽 조그만 마을인 솽허(雙河)지역에는

해발 1620m 고지대에 후베이성 농업과학원

중약재연구소의 창링강(長嶺崗)약용식물원이 있다.

이곳에는 약용식물 800여 품종을 수집해 놓았으며

언스주의 주요한 생태여행지로도 추천되고 있었다.

식물원 한가운데에

넓적한 잎사귀 위로 솟은 키다리 식물이 있다.

식물원의 제왕처럼 당당한 꽃이삭을 피워내며

키 작은 약용식물들을 거느린 대황이다.

우석대 한의대 주영승 교수께서

이곳의 대황을 약용대황으로 정리했다.

식물원내에서는 햇빛 가리개용

망사덮개 아래 죽절인삼을 재배하고 있다.

사실 중국의 한약시장에서 시판품을 못 보았기 때문에

죽절인삼을 대량재배하고 연구하는 모습이 의아했다.

여기서 재배에 열을 올리는 모습을 접하니

외국수출이나 가공품 개발에 주력하는 모양이다.

당귀를 비롯해 호북패모, 목적,

천문동, 운목향, 작약류도 재배중이다.

약용식물원 인근에는 후박기지가 있었다.

길 주위에서 산 전체까지 도지한약인

자유(紫油) 후박나무가 무성하다.

줄지어 심어놓은 후박은 키가 20여m 쯤 된 듯싶지만

직경은 10여cm에 불과하다.

후박 묘목도 엄청난 양으로 심어 두었다.

과연 중국답게 면적이 대단하다.

창링강 약용식물원 가는 길에 발견한

황련 재배지에서는 다른 재미를 맛 볼 수 있었다.

도지한약 황련을 촬영하다가 주인에게 부탁하여

몇 뿌리 캔 것이다.

아득한 고지대로 황련재배밭 언덕 건너편에 산꼭대기가 보인다.

언스에 있는 후베이성 농업과학원

중약재연구소의 한약 시범기지에는

독활, 호북패모, 황련, 속단, 함풍백출 등이 있고,

이곳 도지한약으로는 황련, 당삼, 천마, 백출, 목단피,

산약, 길경, 현삼, 오배자, 자유후박, 반하, 금은화,

패모, 대황, 두충, 당귀, 독활, 속단, 작약, 청호, 죽절인삼 등을 꼽는다.

우리 일행의 답사 소식은

후베이성 중약재연구소의

홈페이지 소식란에 실리기도 했다.

글ㆍ사진 = 박종철 교수

국립순천대학교 한의약연구소장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