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개요

로벨리아속(Lobelia) 식물은

전 세계에 약 350종이 있으며 열대와 아열대 지역,

특히 아프리카와 미주 지역에 분포한다.

중국에는 약 19종이 발견되며

약 9종과 2변종이 약으로 사용된다.

로벨리아는 미국과 캐나다의

애팔래치아 산맥에 분포하며

미국과 네덜란드에서 재배된다.

로벨리아는 오래 전 북미 인디언들에 의해

담배로 사용되어져서 인디언 담배라고도 알려져 있다.

1805년부터 1809년까지 천식 치료에 사용된

로벨리아가 천식 치료를 위한 가장 중요한 약용식물 중

하나가 되었다.

이 종은 로벨리아(Lobeliae Herba)의

공식적인 기원식물로 영국생약전(1996)에

등재되어 있으며, 유럽약전(5개정판)과

영국약전(2002)에는 Lobeline hydrochloride만이

등재되어 있다.

이 약재는 주로 북미 및 네덜란드에서 생산된다.

로벨리아는 주로 알칼로이드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로벨린이 주요 활성성분이며 영국약전(1998)은

한때 로벨린으로 환산한 총 알칼로이드의 함량이

0.25% 이상이어야 한다고 규정했다.

약리학적 연구에 따르면

로벨리아는 호흡을 자극하고 기억력을 향상시키며

항불안, 항우울, 진통 및 진정작용을 나타낸다.

민간요법에 의하면 로벨리아는 호흡을 자극하는

효능을 가진다.

약리작용

1. 호흡 자극 작용

로벨린은 경동맥과 호흡기관의 흥분에 영향을 주어

경동맥과 대동맥의 숨뇌호흡중추를 활성화시켰다.

2. 항불안 작용

로벨린을 복강 내 투여하면 불안 완화 활성의 척도인

불안정성 검사의 높은 플러스 미로 시험에서

마우스를 벌린 자세에서 마우스가 소비한 시간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3. 항우울 작용

잎의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β-아미린팔미테이트는 강제 수영 시험에서

마우스의 부동 시간을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그 작용은 미안세린과 유사하다.

4. 기억력 향상 작용

마우스에 로브라인을 복강 내 투여하면 억제 회피 과제와

공간 감별을 위한 수중 미로 시험에서 학습과 기억을

향상시켰다.

로벨린은 또한 마우스의 지속적인 관심을 향상시켰다.

5. 진통 및 진정 작용

로벨린을 척수강 내 투여하면 용량 의존적으로

마우스에서 꼬리튕기기 실험의 지연을 증가시켰고,

진통작용은 니코틴과 유사하였다.

로벨린을 피하 투여하면 니코틴으로 유도된

항 침해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마우스에서 로벨린을 피하 투여하면

자발운동을 저해했으며 최대 효과가 있을 때

자발적 운동과 체온을 감소시켰다.

로벨린의 약리학적 영향은 급성 관용을 일으키지 않았다.

그러나 10일 동안 약물의 피하주사 후 내성이 발생할 수

있다.

6. 기타

로벨린은 구토를 증가시키고 식욕을 억제하며

심박수를 증가시켰다.

용도

1. 천식

2. 질식 신생아 질식

3. 호흡 부전

해설

로벨리아는 의약품 사용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로벨리아를 담배로 사용하는 북미 인디언의 기록은

현대의 약리학적 발견과 상당히 일치한다.

주요 활성성분인 로벨린은

니코틴 성 아세틸콜린 수용체(nAChR)의 길항제이다.

로벨린과 니코틴은 반대로 불안과 학습 능력 그리고

기억을 향상시키는 면에서 유사한 생리적 작용을

나타낸다.

그러나 로벨린은 자발적 운동을 증가시키지 않으며

알츠하이머 질환을 치료하는 약물 복용기간에

금연해야 하는 등의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조건부 환경을 유발하지는 않는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3, 2019.06.25,

자오중전, 샤오페이건, 성락선, 신용욱, 성락선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개요

도깨비바늘속(Bidens)은

전 세계에 약 230종이 있으며

전 세계의 열대 및 온대 각지에 분포한다.

중국에만 9종, 변이종 2종이 있는데

이 속에서 현재 약으로 사용되는 것은 약 7종이다.

이 종은 중국의 동북, 화북, 화중, 화동, 화남,

서남 및 섬서, 감숙 등지에 분포하며

아메리카, 아시아, 유럽 및 아프리카 동부에도

분포하는 것이 있다.

‘귀침초’란 약명은

《본초습유(本草拾遺)》에 처음으로 기재되었으며

중국의 대부분 지역에서 모두 난다.

도깨비바늘속 식물에는

주로 플라보노이드와 폴리아세틸렌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연구를 통하여 도깨비바늘에는

강혈지(降血脂), 항혈전, 항균, 항염,

항혈압, 진통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의학에서 귀침초에

청열해독(清熱解毒), 거풍제습(祛風除濕),

활혈소종(活血消腫) 등의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

1. 항염

귀침초 중의 비핀나토폴리아세틸로사이드를

위에 주입하거나 복강에 주사하거나

함유된 플라보노이드를 외부에 바르면

모두 파두유(巴豆油)로 유발된 Mouse의

귓바퀴 종창 및 단백으로 유발된 발바닥 종창을

뚜렷하게 억제할 수 있다.

비핀나토폴리아세틸로사이드를 위에 주입하면

Mouse의 모세혈관 투과성을 뚜렷하게 낮출 수 있다.

또한 비핀나토폴리아세틸로사이드와

함유된 플라보노이드를 위에 주입하면

면구로 초래된 Rat의 육아종을 억제할 수 있다.

비핀나토폴리아세틸로사이드를 위에 주입하면

초산으로 유발되어 염증이 있는 Rat의

백혈구의 유주를 억제할 수 있다.

2. 중추신경계통에 대한 작용

귀침초의 주사액을 복강에 주사하면

Mouse의 펜토바르비탈나트륨의 수면시간을

뚜렷하게 연장할 수 있고,

Mouse의 자발활동 차수를 뚜렷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동시에 클로르프로마진과 상호작용이 있고

암페타민과 함께 길항작용이 나타난다.

반면 스트리크닌으로 유발된 경련에 대해서는

길항작용이 나타나지 않는데

이로써 귀침초에 아주 좋은

중추억제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다.

3. 강혈지

귀침초의 추출물을 위에 주입하면

고지혈이 있는 Rat의 혈청 총콜레스테롤(TC),

중성지방(TG) 및 저밀도지단백(LDL)의 함량을

뚜렷하게 낮출 수 있다.

고밀도지단백(HDL)의

TC 중에서의 비율을 높일 수 있으며

혈액점도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4. 혈압강하

귀침초의 과립제는 고혈압 환자의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을 뚜렷하게 낮출 수 있는데

그 혈압강하작용은 α-아드레날린수용체와

β-아드레날린수용체의 저해 및

카테콜아민의 신호전달과는 무관하며

아마도 직접적으로 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낮추는 것으로 추측된다.

5. 혈당강하

귀침초의 에탄올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 부위를

위에 주입하면 알록산으로 인해 고혈당이 있는

Mouse의 혈당을 낮추는 작용이 있다.

추출물의 에칠아세테이트와 부탄올 추출 분획을

위에 주입하면 인슐린의 분비를 자극하거나

당대사에 영향을 주며 정상적인 Mouse의 혈당을

낮출 수 있다.

6. 심장에 대한 영향

주동맥에 관을 꽂고 귀침초의 추출액을 주사하면

토끼 적출심장의 심장박동이 늦어지고

심근수축력이 약해지다가 1분 후에는

심장박동이 정상으로 회복되고 심근수축력이 증강된다.

7. 혈소판응집 억제

In vitro 실험을 통하여

귀침초 추출물 수침고(水浸膏)는

아데노신이인산(ADP)과 콜라겐으로 유발된

Rat의 혈소판응집 반응을 뚜렷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농도 의존적으로 콜라겐에 의한

혈소판응집 전의 잠복기를 연장시킬 수 있다.

8. 항종양

세포 독성 측정(MTT assay)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귀침초의 다섯 가지 추출성분은

체외배양의 두 가지 종양세포인

인체전골수성 백혈병세포 HL-60과

인체조직임파종양세포 V937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에 따르면 귀침초의 다섯 가지 성분은

이 두 가지 종양세포에 대해

각기 다른 정도의 억제작용이 있고

그중 폴리아세틸렌 배당체와

비핀나토폴리아세틸로사이드의 억제활성이

가장 강하다.

9. 기타

추체(扭體) 실험과 열판자극 실험에서

귀침초의 주사액을 Mouse 복강에 주사하면

일정한 진통작용이 있다.

용도

귀침초는 중의임상에서 사용하는 약이다.

*청열해독(清熱解毒)

[화열을 깨끗이 제거하고 몸의 독을 없이함],

거풍제습(祛風除濕)

[풍습(風濕)을 없애 줌],

*활혈소종(活血消腫)

[활혈하게 하여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힘] 등의 효능이 있으며,

*인후종통(咽喉腫痛, 목 안이 붓고 아픈 증상),

*설사, 이질, 황달,

*장옹(腸癰)

[아랫배가 뭉치어 붓고, 열과 오한이 나며,

오줌이 자주 마려운 증세가 있으며,

대변과 함께 피고름이 나오는 병],

*정절종독(疔癤腫毒, 부스럼과 종기 또는 헌데의 독),

*사충교상(蛇蟲咬傷, 뱀이나 벌레에 물린 상처),

*풍습비통(風濕痹痛)

[풍습으로 인해 관절이 아프고, 통증이 심해지는 증상]

*타박상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현대임상에서는

전립선염, 간염, 신염,

기관지염과 당뇨병 등에 사용한다.

해설

동속식물 세잎도깨비바늘

(三葉鬼針草, Bidens pilosa L.)은

중국 민간에서 도깨비바늘과 동등하게 약으로 사용된다.

도깨비바늘은 중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데

대부분 들에 자생하는 잡초이기에 자원이 아주 풍부하다.

도깨비바늘을 이용한

각종 건강식품이 이미 개발되어 있으며

간염, 신염, 당뇨병과 기관지염의 치료에 사용하는데

아주 좋은 항염, 발암억제와 항당뇨작용이 있다.

멕시코, 하와이 등지에서

도깨비바늘속의 여러 종 식물은

당뇨병, 허약, 인후통, 위기능 이상 및

천식 등을 치료하는 전통약이다.

출처: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1, 2016. 11. 11.,

자오중전, 샤오페이건, 성락선, 하헌용, 성락선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개요

능소화속(Campsis) 식물은

전 세계에 2종이 있는데 모두 약으로 쓴다.

이 종은 장강 유역 및 화북, 화남과

대만 등지에서 나며 일본에도 분포하는 것이 있다.

베트남, 인도, 파키스탄 등의 국가에서도 재배된다.

능소화는 ‘자위(紫葳)’란 약명으로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중품으로 처음 기재되었으며

능소화란 이름은 《신수본초(新修本草)》에서 처음으로 기재되었다.

예전과 현대의 식물기원은 일치하며

《중국약전(中國藥典)》(2015년 판)에서는

이 종을 중약 능소화의 법정기원식물 내원종의 하나로 규정했다.

주요산지는 중국의 강소, 절강, 안휘, 산동 및 북경 등이다.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제4개정판)에는

능소화를 “능소화과에서 속하는

능소화(Campsis grandiflora Schumann) 또는

미주능소화(Campsis radicans Seemen)의 꽃”으로 등재하고 있다.

능소화의 주요 함유성분은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이다.

또한 이리도이드 배당체와 트리테르페노이드 성분이 있다.

《중국약전》에서는 약재의 성상, 현미경 감별 특징,

성미 및 박층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약재를 관리하고 있다.

약리연구를 통하여 능소화에는

항균, 항혈전, 항종양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의학에서 능소화는

양혈(凉血), 화어(化瘀), 거풍(祛風) 등의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

1. 항균

평판도말법 실험에서 능소화의 꽃과 잎의 전제(煎劑)는

플렉스네리이질간균과 상한간균에 대해 억제작용이 있다.

2. 항혈전 형성

능소화의 열수 추출물은 뚜렷한 항혈전작용이 있다.

능소화는 적혈구 전기영동을 빠르게 하고

적혈구 전기영동률을 촉진시키며

혈액적혈구로 하여금 분산상태에 이르게 한다.

잎에 함유된 트리테르페노이드와 이리도이드 배당체 성분은

콜라겐 혹은 아드레날린으로 유도된 혈소판응집에

일정한 억제작용이 있다.

3. 항종양

능소화의 꽃봉오리 추출물은

소의 뇌에서 추출된 단백질인산화효소 C에 대해 억제작용이 있고

in vitro에서 피부암세포 M14에 대해 일정한 세포독성이 있다.

4. 혈관평활근에 대한 작용

능소화의 열수 추출물은

돼지의 관상동맥에 대해 이완작용이 있고

그의 수축을 뚜렷하게 억제할 수 있다.

5. 자궁평활근에 대한 작용

능소화의 열수 추출물은 임신하지 않은 Mouse의

자궁수축을 뚜렷하게 억제할 수 있고 자궁의 수축강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자궁 수축빈도와 수축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능소화의 열수 추출물은 임신한 Mouse의

자궁에 대해 수축빈도와 수축강도를 증가함과 동시에

그의 수축활성을 증강할 수 있다.

능소화의 아세톤:메탄올(1:1)의 추출 부위도

임신된 Mouse의 자궁근육의 수축강도를

뚜렷하게 증강할 수 있다.

6. 기타

능소화 추출물에는 항산화와 항염작용이 있다.

그의 메탄올 추출물은 아밀라아제를 억제할 수 있다.

능소화의 트리테르페노이드 성분은

인체콜레스테롤아실전이효소(hACAT-1)에 대해

뚜렷한 억제작용이 있다.

능소화의 다우코스테롤은

파르네실전이효소(FPT)의 활성에 대해 억제작용이 있다.

용도

능소화는 중의임상에서 사용하는 약이다.

*파어통경

[破瘀通經, 파혈(破血)하여 경폐(經閉)를 치료하여 월경이 재개되게 함]

*양혈거풍

[凉血祛風, 양혈(凉血)로 풍사(風邪)를 소산(消散)시키는 것]

*혈어경폐

[血瘀經閉, 어혈로 인해 월경이 막히는 증상]

*징가

[癥瘕, 여성 생식기에 발생하는 종괴(腫塊)] 및 타박상

*주신소양

[周身瘙癢, 몸의 이곳저곳이 가려움]

*풍진

[風疹, 발진성 급성 피부 전염병]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현대임상에서는

원발성 간암, 위장관용종, 홍반성 낭창,

두드러기 등의 병증에 사용한다.

해설

《중국약전》에서는 미주(아메리카)능소화

(美洲淩霄, Campsis radicans (L.) Seem)를

능소화의 법정기원식물 내원종으로 수록했다.

미주능소화는 혈전 형성 억제작용을 제외하고

그 효능이 능소화와 비슷하다.

주의할 점은 미주능소화는

적출된 임신자궁에 대해 특수성을 보이는데,

적출된 임신자궁으로 하여금 규칙적인 흥분과 억제작용을 유도한다.

이로써 미주능소화는

임신유도제로 연구개발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이외에도 미주능소화와 능소화의 함유성분은 상이하기 때문에

두 종의 약리작용을 비교연구해야 할 것이다.

출처: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1, 2016. 11. 11.,

자오중전, 샤오페이건, 성락선, 하헌용, 성락선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개요

석곡속(Dendrobium) 식물은

전 세계에 약 1,000종이 있으며

아시아의 열대와 아열대 지역에서부터

대양주에까지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중국에 약 74종, 변이종 2종이 있다.

이 속에서 현재 약재로 사용되는 것은 7종이다.

이 종은 중국의 대만, 호북, 홍콩, 해남, 광서, 사천,

귀주, 운남, 서장 등에 분포하며 인도, 네팔, 부탄,

미얀마, 태국, 라오스, 베트남 등에도 분포한다.

‘석곡’의 약명은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상품으로 처음 기재되었으며,

역대 본초서적에도 다수 기재되었다.

고대로부터 지금까지 석곡의 기원은

주로 석곡속의 여러 식물이며

《중국약전(中國藥典)》(2015년 판)에 수록된 이 종은

중약 석곡의 법정기원식물 가운데 하나이다.

금채석곡의 주요산지는 중국의 광서, 운남, 귀주 등이다.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제4개정판)에는

석곡을 “난초과에 속하는 금채석곡(Dendrobium nobile Lindley),

환초석곡(環草石斛, Dendrobium loddigesii Rolfe.),

마편석곡(馬鞭石斛, Dendrobium fimbriatum Hook. var. oculatum Hook.),

황초석곡(黃草石斛, Dendrobium chrysanthum Wall. ex Lindley)

또는 철피석곡(鐵皮石斛, Dendrobium candidum Wall. ex Lindley)의 줄기”로

등재하고 있다.

석곡의 주요 함유성분은

세스퀴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와 정유이다.

《중국약전》에서는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건조시료 중 덴드로빈의 함량을 0.40% 이상으로

약재의 규격을 정하고 있다.

약리연구를 통하여

석곡에는 면역 촉진, 소화기능 양방향 조절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의학에서 석곡은

익위생진(益胃生津), 자음청열(滋陰淸熱)의 작용이 있다.

약리작용

1. 면역 촉진

금채석곡을 달인 약액을 위에 주입하면

Mouse의 복강대식세포의 탐식효능에 대해 증강작용이 있으며

동시에 하이드로코르티손으로 조성된 면역기능 저하를

회복시키는 작용이 있다.

In vitro 실험에서 덴드로시드 A와 덴드로노비로시드 A는

Mouse의 T임파세포와 B임파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는 작용이 있다.

덴드로시드 D, E, F는 콘카나발린 A

혹은 지질다당(LPS)류에 의한 Mouse의

비장세포의 증식반응을 뚜렷하게 촉진시킨다.

2. 평활근에 대한 영향

금채석곡에 함유된 덴드로빈은

적출된 토끼의 장관활동을 억제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적출된 기니피그의 자궁수축을 유발할 수 있다.

3. 실험성 백내장 치료

금채석곡을 달인 약액을 위에 주입하면

Rat의 D-갈락토오스 백내장에 대하여 연장 및 치료작용이 있고,

수정체 내의 콜레스테롤을 정상적으로 회복시킬 수 있으며

지질과산화물(LPO)을 뚜렷하게 저하시킨다.

또 백내장 수정체의 과도하게 상승된

갈락토오스, 갈락토오스 알코올, 코엔자임 II(NADP)의 수준을

정상화할 뿐만 아니라 원형 코엔자임 II(NADPH)의 수준도

정상적으로 회복시킨다.

효모활성 이상에 대해서도 억제 또는 회복작용이 있다.

4. 항종류

금채석곡 성분 가운데

4,7-dehydroxy-2-methoxy-9,10-dihydrophenanthrene과

덴비노빈은 in vitro에서 인체폐암세포 A549,

인체난소선암세포 SK-OV-3과

인체전골수성 백혈병세포 HL-60에 대해

현저한 세포독성작용이 있다.

또한 4,7-dehydroxy-2-methoxy-9,10-dihydrophenanthrene을

복강에 주사하면 Mouse의 S180 이식종양에도 억제작용이 있다.

5. 항균

금채석곡의 수증기 증류액은 in vitro에서

대장간균, 고초간균, 황색포도상구균 등을 억제할 수 있다.

6. 기타

금채석곡의 추출물은

Mouse의 파골세포의 형성에 대해 억제작용이 있다.

기간톨은 항돌연변이 활성이 있다.

석곡은 또 기니피그 및 집토끼의 혈당을 올리거나

혈압을 낮추고 호흡 및 심장수축 등을 감소시키는 작용이 있다.

용도

석곡은 중의임상에서 사용하는 약이다.

*양음청열

[養陰淸熱, 음액(陰液)을 자양하는 약으로 음허로 나는 열을 치료하는 것],

*익위생진

(益胃生津, 위장을 도와 진액이 생기게 함) 등의 효능이 있으며,

*신허목암

[腎虛目暗, 신허(腎虛)로 인해 눈이 침침하고 사물이 흐릿하게 보이는 증상],

*신허위비

[腎虛痿痹, 신허로 인해 관절과 기육(肌肉)이 시큰거리면서 아픈 증상]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현대임상에서는

인후염, 백내장, 비인암(鼻咽癌, 비와 인후에 생긴 암),

홉킨스씨병, 임파육종(淋巴肉腫, 임파선에 생긴 악성 종양) 등의

병증에 사용한다.

해설

《중국약전》에는 금채석곡 외에 또

철피석곡(鐵皮石斛, Dendrobium candidum Wall. ex Lindl.),

마편석곡(馬鞭石斛, D. fimbriatum Hook. var. oculatum Hook.) 및

이와 유사한 종의 신선한 줄기 혹은 마른 줄기를

중약 석곡의 법정기원식물로 수록하고 있다.

기타 몇 종의 석곡과 금채석곡에는 비슷한 약리작용이 있고

함유성분도 대체적으로 유사한데

주로 세스퀴테르페노이드 알칼로이드가 있다.

금채석곡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중요한 중약이다.

또한 꽃 모양이 독특하고 꽃이 아름답기에

관상용으로도 가치가 뛰어나다.

금채석곡도 현재 중국에서 아주 희귀한 중약이며

수출 약재로서 중점보호 약용식물로 관리되고 있다.

금채석곡은 해마다 그 수요량이

비교적 많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매우 비싼 약재이다.

금채석곡의 약재자원은 여전히 야생 위주이며

자원 확보를 위한 금채석곡 인공재배가 연구 중이고

원산지의 생태 및 환경을 보호하고 있다.

출처: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1, 2016. 11. 11.,

자오중전, 샤오페이건, 성락선, 하헌용, 성락선

 

:
Posted by 약초세상
2020. 4. 11. 09:03

속새 산림청 자료/우리산에자라는 약용식물2020. 4. 11. 09:03

728x90

[속새]

 

속새-속새과(Equisetaceae)

산골짜기 습지에 자라는 상록다년초로

높이 30∼60cm이며 줄기가 총생하는 것처럼 보이고

가지가 없으며 마디사이에 10∼18개의 능선이 있다.

퇴화한 비늘 같은 잎은 서로 붙어 마디부분을

완전히 둘러싸서 잎집으로 되며 끝이 톱니모양이고 각 능선과 교대로 달린다.

포자낭은 원줄기 끝에 달리고 원추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개속새에 비해 줄기는 단순하고 엽초의 지름이 길이와 거의 같다.

학명: Equisetum hyemale L.

분포: 한국(전국), 북반구의 온대 이북지역

약재명: 목적(木賊)

이용: 지상부를 여름부터 가을에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린다.

효능: 명목퇴예, 명안, 부인하혈, 산풍, 소산풍열, 옹종, 인후통, 인후통증, 자궁출혈,

장염, 장출혈, 조경, 종기, 치질, 치핵, 탈항, 통리수도, 해열, 혈변

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어 상처부위에 산포한다.

* 기혈이 허한 사람, 안질의 노기 등으로 붉어진 사람은 복용을 피한다.

'산림청 자료 > 우리산에자라는 약용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쇠뜨기  (0) 2020.03.27
부처손  (0) 2020.02.27
:
Posted by 약초세상
2020. 3. 27. 09:04

쇠뜨기 산림청 자료/우리산에자라는 약용식물2020. 3. 27. 09:04

728x90

 

쇠뜨기-속새과(Equisetaceae)

햇볕이 잘 드는 풀밭에 자라는 다년초로 영양경과 생식경이 있으며

영양경은 높이 30∼40cm이고 속이 비어 있다.

잎의 수는 원줄기의 능선의 수와 같고 가지에는 3∼4개의 능선이 있다.

포자낭 이삭은 장타원형이고 육각형의 포자엽이 서로 밀착하여

거북등처럼 되며 안쪽에는 7개 내외의 포자낭이 달린다.

학명: Equisetum arvense L.

분포: 한국(전국), 북반구의 온대 이북지역

약재명: 문형(門荊)

이용: 전초를 5∼7월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린다.

효능: 각혈, 간염, 골절번통, 관절염, 근염, 당뇨, 명안, 변비, 이뇨, 이완출혈, 임병, 자궁출혈,

장출혈, 지해, 치질, 치핵, 칠독, 탈항, 토혈각혈, 통리수도, 폐기천식, 하리, 해수, 현벽, 활혈지혈,

청열, 치핵, 탈항, 통경, 통변, 통리수도, 해열, 화염, 황달, 흥분제

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즙(汁)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상처부위에 붙인다.

'산림청 자료 > 우리산에자라는 약용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새  (0) 2020.04.11
부처손  (0) 2020.02.27
:
Posted by 약초세상
2020. 2. 27. 09:04

부처손 산림청 자료/우리산에자라는 약용식물2020. 2. 27. 09:04

728x90

 

 

부처손-부처손과(Selaginellaceae)

건조한 바위 겉에 자라는 다년초로 높이가 20cm에 달하고

잎이 없이 줄기와 뿌리가 뒤엉켜 줄기처럼 형성된 끝에서 가지가 사방으로 퍼진다.

잎은 4줄로 밀생하고 난형이며 끝이 실 같은 돌기가 되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포자낭 이삭은 잔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네모가 진다.

학명: Selaginella involvens (Sw.) Spring

분포: 한국(전국), 중국, 일본, 러시아, 대만, 몽골, 자바, 필리핀

약재명: 권백(卷柏)

이용: 전초를 봄과 가을에 채취하나, 봄에 채취한 것이 더 좋다.

효능: 복통, 월경이상, 지혈, 타박상, 탈항, 토혈, 토혈각혈, 통경, 폐기천식, 폐암, 하혈, 혈뇨, 혈변, 혈폐, 활혈

용법

(내복): 탕전(湯煎)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散劑)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거나 가루로 하여 상처부위에 사용한다.

'산림청 자료 > 우리산에자라는 약용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새  (0) 2020.04.11
쇠뜨기  (0) 2020.03.27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1. 육성 경위

신품종 구기자 불로는 충청남도농업기술원 청양구기자시험장에서

내병충, 양질, 대과 다수성 품종 육성을 목표로 1995년도 하계에

조숙이면서 다수성인 CL10-21를 모본으로

대과종인 청양재래5(S) 60Co 6KR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교배번호를 CL42로 부여하였다.

1996년 포장에서 F₁을 양성 특성조사하여 우량개체를 선발

생산력검정 예비선발시험과 2개년간 생산력검정 본시험을 실시하였다.

지역적응 시험은 1998년부터 2000년까지 3개년간 실시한 결과

조생종이며 탄저병이 재래종보다 강하고 대과이며 다수성이 인정되어

2000년 12월 주요농작물 종자심의회에서 구기자 신품종으로 결정하고 『불로』 로 명명 되었다.

 

 

 

2. 주요 특성

가. 고유 특성

잎은 녹색이며 피침형이고 작다.

수형은 반직립형으로서 줄기에 가시가 있으며 열매 모양은 장타원형 이다.

<표 1> 고유 특성

품 종 명

수 형

분지성

가시유무

엽 형

과 형

크기

불 로

반직립

보통

피침

장타원형

청양재래

반직립

보통

피침

타원형

나. 가변특성

개화기는 6월 21일로 청양재래보다 빠르며

경장은 116cm, 엽면적은 11.4cm²/개 로 청양재래보다 작다.

1주당 착과수는 1,094개로 청양재래(702개/주)보다

392개가 많은 편이며 열매 길이는 18.5mm로 길며 과경은 8.1mm이다.

건과 100과의 무게는 19.5g으로 청양재래 14.8g보다 4.7g이 무거운 대과종 이다.

<표 2> 가변특성

품종명

개화기

(월.일)

경장

(cm)

엽면적

(㎠/개)

착과수

(개/주)

열매

100과중

(g)

과장(mm)

과경(mm)

과형지수(%)

불 로

6.21

116

11.4

1,094

18.5

8.1

49.4

19.5

청 양

7. 3

117

19.4

1,085

14.8

9.9

67.2

17.1

청양재래

6.23

109

15.3

702

15.8

8.7

55.2

14.8

다. 병해충 저항성

내병충성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열매 탄저병은

무방제구의 포장 조사와 Pot를 이용한 인공접종을 실시하였다.

무방제구의 조사에서 불로의 이병과율은 60.4%로

청양재래96.2% 보다 35.8%가 적었으며 인공접종은

불로가 59.9%로 청양재래보다 33.1%가 적었고

흰가루병 발병율은 84.1%로 비교적 약한 편이었다.

혹응애 피해엽율은 불로가 55.6%, 엽당 충량수는 5.0개로

청양재래 보다 피해 엽율22.7%가 적은편이었으나 혹응애 저항성은 약한 편이다.

<표 3> 병해충 저항성

품종명

탄저병이병과율(%)

흰가루병

발병율(%)

혹응애

무방제

인공접종

피해엽율(%)

엽당충량수(개/엽)

불 로

60.4

59.9

84.1

55.6

3.4

청 양

53.8

63.6

95.2

1.6

0.8

청양재래

96.2

93.0

81.3

78.3

8.4

라. 품질

구기자의 기능성분인 Betaine 함량을 열매와 엽을 조사한 결과

열매는 대비품종 청양재래(76.60mg/g)보다

6.94mg/g가 많은 83.54mg/g이었으며

엽은 36.83mg/g으로 9.93mg/g 많다.

엽의 Rutin함량은 대비품종과 비슷한 5.66mg/100g 이었다.

<표 4> 품질특성

품 종 명

Betaine(mg/g)

Rutin

(mg/100g)

열매

불 로

83.54

36.83

5.66

청 양

82.50

26.29

16.22

청양재래

76.60

26.90

5.02

마. 수량성

생산력검정은 예비선발시험과 본시험을 실시한 결과

평균 열매 수량은 226kg/10a로 청양재래보다 31%가 중수되었다.

<표 5> 생산력검정 수량성

품 종 명

건과수량(kg/10a)

지수

(%)

생예(’97)

생본(’98~’99)

평 균

불 로

232

220

226

131

청양재래

224

122

161

100

지역적응성 검정시험은 1998~2000년 까지 3개년간 실시한 결과

열매 수량은 ’98년 147kg/10a, ’99년 321kg/10a, 2000년 242kg/10a이었으나

3개년 평균 수량은 236kg/10a으로 대비품종인 청양재래(139kg/10a)비하여 70%가 중수되었다.

<표 6> 지역별 수량성

지역

불 로

청 양

청양재래

’98

’99

’00

’98

’99

’00

’98

’99

’00

청양

226

309

303

186

299

172

64

252

223

예산

67

332

254

136

207

192

28

124

158

대전

-

-

167

-

-

179

-

-

172

평균

147

321

241

161

253

181

46

188

184

<표 7> 연도별 수량성

품종별

건과수량(kg/10a)

1998

1999

2000

평균

지수(%)

불 로

청 양

청양재래

147

161

46

321

253

188

242

181

184

236

198

139

170

142

100

3. 적응지역

열매생산시 중남부 이남 지방이 유리하므로 적응지역은 충남과 전남이다.

4. 재배상유의점

자가불화합성이 강한편임으로 수분수(청양재래)를 필히 혼식재배하고,

열매가 대과종으로 강우시 열과가 우려됨으로 적기수확하여야한다.

탄저병 및 혹응애는 대비품종보다 강한편이나 병해충 발생시 적기 방제가 필요하다.

품종육성 담당자 및 연락처

충남농업기술원 청양구기자시험장 (TEL : 041-943-1117)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