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CPG 속 소풍산의 모습은? (표 1 참조)

CPG 속 소풍산은 어떤 모습일까?

총 5가지 CPG에 소풍산이 등장한다.

이 중 4건이 아토피피부염에 따른

습진에 대한 언급이었다.

가장 구체적인 근거와 추천안을 제시한 것은

“아토피피부염 진료가이드라인 2018”이었다.

현재까지 아토피피부염 관련 이중맹검

무작위대조 시험이 진행된 대표처방이

‘소풍산’과 ‘보중익기탕’임을 밝히면서

소풍산은 스테로이드와 같은

항염증외용약을 이용한 치료를 진행했음에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았던 증례에 대한 임상시험이

이루어졌고, 그 결과 유의한 증상개선 효과가 있었음을

언급했다.

근거수준(strength of evidence)와

권고등급(strength of recommendation)이

함께 제공되었는데,

각각은 “낮음(결과를 지지할만한 연구가 충분치 않아,

추후 연구가 진행될 시, 결과가 크게 바뀔 가능성 있음)”과

“약한 추천(suggest)”이었다.

발표학회가 달랐던

“아토피피부염 진료가이드라인 2015”과

“알레르기 종합 진료가이드라인 2013”에서는

소풍산의 구체적인 적응증을 제시했는데,

요약하자면

“비교적 체력이 좋은 사람의 만성 피부질환,

환부에 열감이 있고 대부분은 습윤하며,

가려움이 심한 경우, 삼출액이 많은

습진병변에 사용할 기본처방”이었다.

“알레르기질환 치료 가이드라인 95개정판”에서도

“일반적으로 실증~중간증인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다”는

언급을 했다.

눈 여겨 볼 만한 또 다른 CPG가 하나 있는데,

바로 “음식 알레르기 진료 가이드라인 2016

(2018년 개정판)”이다.

음식 알레르기에 대한 진료지침을 제공한

본 CPG에서는 음식 알레르겐이 함유된 의약품,

생활용품 리스트를 제공했다.

여기에 한방약 중에서는

소풍산과 자운고가 수록되어 있는데,

소풍산과 자운고는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는

호마(胡麻), 곧 깨를 함유했다는 이유로

이 리스트에 이름을 올렸다.

만약 피부질환에 소풍산을 활용했는데,

오히려 증상의 악화가 확인된다면

호마와 관련된 알레르기를 의심해 볼 만도 하다.

임상의의 눈

그런데 지금까지 언급한

이 소풍산의 출전에 관해 하나 유의할 점이 있다.

바로 『동의보감(東醫寶鑑)』에 수록된 소풍산은

본 기사에서 다루고자 하는 소풍산과

동명이방(同名異方)이라는 것이다.

『동의보감』의 소풍산은 2가지 버전이 존재하는데,

첫 번째 버전은 “외형편(外形篇) 두(頭)

두풍증(頭風證)”에 등장하는 처방으로

“목 위에 위치한 이목구비와 미릉골이 마비되어

감각이 없거나, 머리가 무겁고 두피가 뻣뻣해지는

증상”인 두풍증에 사용하던 처방이다.

두풍증 외에도 두생백초(頭生白屑)라 하여

머리에 비듬이 있는 증상, 갓난아기 눈 주위 염증에도

사용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구성약물을 보면,

“형개, 감초, 인삼, 복령, 백강잠, 천궁, 방풍,

곽향, 선퇴, 강활, 진피, 후박”으로 구성되어

『외과정종』과는 꽤 다름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버전 역시 전혀 다른 처방이다.

“잡병편(雜病篇) 제창(諸瘡) 대풍창(大風瘡)”에

사용한 처방으로, 구성약재가 “백지, 전갈, 인삼”이다.

두 처방 모두 피부증후에 대한 적응증이

기록되어 있어서 일까?

몇몇 국내서적에는

『외과정종』의 소풍산과

『동의보감』의 소풍산을 혼입하여 기술한 것을

간혹 볼 수 있다.

당시 서적의 이동 상황을 고려하자면,

1613년 간행된 『동의보감』에

1617년 출간된 『외과정종』의 내용이

들어 있지 못한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 아닐까?

그래도 혼동을 막으려면 앞으로는

외과정종 소풍산, 동의보감 소풍산으로

나눠 부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참고문헌

1. 일본동양의학회 EBM 위원회 진료가이드라인

태스크포스(CPG-TF).

한방제제 관련 기록이 포함된 진료가이드라인(KCPG)

리포트 2019.

2. 조기호. 증례와 함께하는 한약처방.

우리의학서적. 서울. 2015. p.203-206.

권승원

경희대한방병원

순환신경내과 부교수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전형증례>

28세 남성.

모야모야병으로 인한 뇌출혈로 좌빈신소력이 있어

본원 외래에서 침구치료와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이다. 침구치료를 위해 팔다리를 걷었는데,

여기저기 피부를 긁은 자국을 볼 수 있었다.

어떻게 된 일인지 물어보니 초등학교 시절부터

아토피피부염이 있어 종종 피부과에 다녔었는데,

여름이라 더워서 그런지 (매년 여름 증상이 심해졌다고

함), 최근 다시 증상이 심해 피부를 긁을 수 밖에

없었다고 한다.

피부를 살펴보니 피진은 붉은 편이며,

피부는 약간 습윤한 경향을 보인다.

피부에 손을 대어보면 열감이 느껴진다.

이에 탕전약 A와 보험제제 황련해독탕을 함께

하루 3회 복용하도록 처방했다.

1주 뒤 침구치료 시, 가려움이 확연히 감소하여

긁을 일이 줄었다고 했으며, 다시 1주 뒤 증상이

거의 개선되었다고 했다.

하지만 아직 여름철인 관계로

증상이 재악화될까 걱정된다고 하여

추가로 7일분을 복용한 뒤,

불편감이 없어 남은 약 1개월의 여름을

편하게 보낼 수 있었다.

오늘의 주인공 A는 바로 소풍산(消風散)이다.

소풍산은 중국 명대(明代) 외과 전문서적

『외과정종(外科正宗)』에 처음 등장했다.

당시, 전형적인 재발을 반복하는

두드러기에 사용할 수 있는 처방으로 제안되었는데,

이후 그 적응증은 유지되면서도 구체화되어 갔다.

현대에 들어서는 분비물을 동반하며 심한 가려움이 있는

다양한 피부질환, 특히 아토피피부염에

주로 활용되고 있다.

 

소풍산 개요

구성약물:

당귀, 지황, 방풍, 선퇴, 지모, 고삼,

호마, 형개, 우방자, 석고, 목통, 창출, 감초

효능효과:

체력중등도 이상인 사람의 피부질환이면서

가려움이 심하고 분비물이 많으며 때때로

국소의 열감이 있는 다음 증상:

습진 피부염, 두드러기, 무좀, 땀띠(일본 내 허가사항)

 

소풍산 활용의 발전사

앞서 언급한 것처럼 소풍산은 1617년

중국의 진실공(陳實功)이 출간한 외과 전문서적

『외과정종』에 처음 등장한다.

“개창론제칠십팔(疥瘡論第七十八)”에

“풍습(風濕)이 혈맥(血脈)에 침음(浸淫)하여

창개(瘡疥)가 생겼는데, 가려움이 멈출 줄 모르며,

성인과 소아의 풍열은진(風熱癮疹),

전신에 구름조각 모양의 반점이 생겼다 사라졌다 하는 것

을 치료한다”고 하였는데, 그 묘사된 적응증은 전형적인

두드러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인다.

조금 더 시간이 흘러1742년 중국 청대(淸代)에

출간된 종합의서 『의종금감(醫宗金鑑)』에서도

소풍산과 관련된 서술을 볼 수 있는데,

그 적응증이 조금 다르다.

『의종금감』 “외과권사(外科卷四)

편집외과심법요결(編輯外科心法要訣)

항부(項部) 유구풍(鈕扣風)”에서

“유구풍으로 가려움을 참을 수 없고,

긁어 진물이 나거나 피가 나는 경우를 치료한다”고 했다.

유구풍은 목 부위인 천돌혈(天突穴) 주위가 몹시 가려운

병증을 이야기하는데, 묘사된 모습은 아토피피부염 환자

의 항부 피진과 매우 유사해 보인다.

이와 같이 주로 가려움을 동반한 두드러기,

습진 양상의 피부질환에 사용되던 소풍산은

일본의 의가들에 의해 보다 폭넓은 피부질환에

구체적인 적응증을 토대로 활용되기 시작하는데,

먼저 일본 에도시대 후기의 의가 후쿠이 후테이가 저술한

『방독변해(方讀辯解)』에서는 화농성 피부질환으로

그 활용범위가 넓어졌다.

“하부(下部) 개선(疥癬)”에서 소풍산에 대해

“소창(小瘡), 농(膿)이 있고 습(濕)이 많을 때 사용해야

한다.”고 하면서 동시에 “농이 많고 혈조(血燥)하면

당귀음자가 좋다”고 하여 피부의 습윤 여부에 따라

소풍산과 당귀음자를 구분해 사용해야 함을 강조했다.

이러한 소풍산의 활용은

현대 일본의 한방의사들에게도 영향을 끼쳤고,

야가즈 도메이는 그의 저서 『한방후세요방해설(漢方後世

要方解說)』에서 보다 구체적인 적응증을 내놓게 된다.

이 책에서는 소풍산을

“여름철 더위에 매년 발생하는 악창(惡瘡),

피부가 건조하더라도 때때로 분비물이 있는 경우,

가려움이 심할 때” 사용할 수 있다고 언급했으며,

“만성 두드리기”에도 쓸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비슷한 병태일 경우

고방이라면 백호가인삼탕을 쓰기 적합하며,

소풍산은 그보다 이환기간이 길고 독이 깊어

혈조(血燥)한 경우 좋다”고 하여,

단순히 “습-조”로 구분했던 『방독변해』와 달리

소풍산 역시도 오랜 피부질환으로 피부가 건조한

경향임을 언급했다.

소풍산의 구성약물에

당귀, 지황과 같은 윤조(潤燥) 작용을 지닌 약재가

함유된 것을 감안하면 야가즈 도메이의 의견이 보다

임상적으로 의의가 있어 보인다.

오츠카 케이세츠 역시 구체적인 적응증을 언급했다.

『한방의 임상(漢方の臨床)』 “제10권, 제6호”에 수록된

오츠카 케이세츠와 야가즈 도메이의 좌담회 내용을 보면,

소풍산에 대해 “발이나 손에 화폐상으로 나타나는

습진이면서, 진물이 나고 질척질척하게 가피가 생기는

경우” 효과가 좋다고 언급했다.

동시에 “석고 용량이 적어서 효과가 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 점은 유의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러한 현대의가들의 사용경험에 기초한 적응증이

현재 일본 내 소풍산 엑스제 허가사항에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체력중등도 이상인 사람의 피부질환이면서

가려움이 심하고 분비물이 많으며 때때로 국소의 열감이

있는 다음 증상”이라는 문구가 소풍산 엑스제 적응증에

적혀 있으며, 이러한 양상을 보이는 습진 피부염,

두드러기에 사용할 경우, 보험적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권승원

경희대한방병원

순환신경내과 부교수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구성

당귀, 지황, 석고 각 6g

방풍, 창출, 목통, 우방자 각 4g

지모, 호마인 각 3g

선퇴, 고삼, 형개 각 2g

해설

피부에 세균성습진이나 피부알러지, 무좀 등의 피부질환이 생겨서

국소가 붓고, 가렵고, 진물이 날 때

* 소염, 항균작용을 하고

* 항알러지 작용을 하며

* 피부, 점막의 부종을 완화한다.

적용증상

1. 여름이나 더운 곳에 가면 더욱 심해지는 피부병.

2. 피부는 일반적으로 건조하고 소양감이 심하면서 분비물이 생기기도 한다.

약리작용

1. 방풍, 형개, 우방자, 지모는 항균작용을 하여 세균성 습진을 개선한다.

2. 당귀, 고삼은 혈관을 확장하고 지황, 호마는 항혈전작용을 하며,

방풍과 형개는 혈관운동능을 강화하여 피하에 정체된 노폐물을 피부로 배출한다.

3. 당귀, 호마는 피부에 자윤(Linoleic acid)을 공급하여 피부의 저항력을 강화한다.

4. 목통, 석고, 창출은 피부의 부종을 수렴하고 이뇨를 촉진하여 습성(濕性)피부질환을 개선한다.

5. 선퇴, 고삼은 항알러지작용을 하여 알러지성 습진을 개선한다.

응용

1. 담마진.

2. 무좀, 습진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