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편저자 주 :

첩약건강보험 시범사업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여기에 해당되는 처방 및 Ext제제등에 대하여

본초학적 입장에서 객관적인 분석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치료약으로서의 한약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기획됐다.

아울러 해당처방에서의 논란대상 한약재 1종의

관능감별point를 중점적으로 제시코자 한다.

[만금탕 萬金湯의 처방의미]

중국의 청나라 때

심씨존생서 沈氏尊生書에서 최초의 기록을 보인 이래,

우리나라의 기록으로는 동의보감·제중신편·

방약합편·향약집성방 등에 기재돼 있다.

처방명의 만금 萬金은 ‘대단히 귀하다’는 의미로,

동의보감 및 방약합편 등의 문헌에서

중풍의 허증 虛症과 풍비 風痹에 사용된 처방이다.

[만금탕 萬金湯의 구성]

위의 약물 구성에 대해

본초학적으로 특징적인 모습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1)주된 한약재는

속단, 두충, 방풍, 백복령, 우슬, 인삼, 세신, 계피, 당귀, 감초이고,

보조 한약재는 천궁, 독활, 진교, 숙지황이다

2)대부분이 온성 溫性인 약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된 귀경 歸經이 간 肝, 신 腎인데

이는 간주근 肝主筋 신주골 腎主骨의 원칙에 따른

근골 筋骨 관련 처방이다.

3)보익약 補益藥 중

보양약 補陽藥 강근골 强筋骨(속단, 두충, 우슬 숙용熟用),

온하약 溫下焦(계피), 보기약 補氣藥(인삼),

보혈약 補血藥(당귀, 숙지황),

활혈거아약 活血祛瘀藥(천궁 川芎, 우슬 牛膝),

통혈맥활혈 通血脈活血(방풍, 세신),

거풍습지비통약 祛風濕止痺痛藥(독활, 진교),

이수퇴종 利水退腫(백복령),

풍약 風藥 중에서 윤제 潤劑로서

소통락맥 疏通絡脈(방풍, 진교)으로 구성돼 있다.

이는 1차적으로 보근골 補筋骨 보기혈 補氣血하고,

2차적으로 이의 활성을 위한 활혈 活血과

부수증상인 통증제압의 거풍습 祛風濕으로

요약되는 처방이다.

이상의 본초학적 내용을 근간으로

처방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1)독활기생탕 獨活寄生湯 처방에서

상기생, 백작약을 빼고 속단을 추가한 처방으로 설명된다.

독활기생탕 獨活寄生湯의 주된 적응증은

풍습 風濕을 없애주어 비통 痺痛을 그치게 하는

보간신 보기혈 補肝腎 補氣血의 처방이다.

이를 근거로 만금탕 萬金湯을 재해석하면,

보가신 補肝腎 즉 강근골 强筋骨시키는

보양약 補陽藥인 속단과 두충을

주된 군약 君藥으로 하면서

보기혈 補氣血과 거풍습 祛風濕을 보조로 하는

처방으로 해석된다.

2)또한 팔물탕 八物湯에서

백출, 백작약을 제외하고

속단, 두충, 방풍, 우슬, 세신, 계피,

독활, 진교를 추가한 처방으로도 설명된다.

여기에서도 만금탕 萬金湯을 재해석하면,

보기 補氣(사군자탕 四君子湯),

보혈 補血(사물탕 四物湯)의 처방인

팔물탕 八物湯이 보간신 강근글 補肝腎 强筋骨시키는

처방으로의 역할변화로 해석된다.

2.기타 추가 약물에 대한 분석

1)기허 마비 氣虛 麻痺 : 인삼 2배 증량, (추가) 부자 소량

여기에서의 인삼의 용량증대는 비기허 脾氣虛로서

전신무력감과 식욕불량의 증상발현에

응용할 수 있는 추가방안이다.

또한 부자 소량의 추가는 온하초 溫下焦시키는 약물로서

만금탕 萬金湯에서의 계피 의 역할을 도와주지만,

한편으로 부자의 독성에 대한 경계를 갖도록 해야 할 것이다.

2)풍담 자통 風痰 刺痛 : (추가)- 천산갑(土炒), 전갈

활혈거어약 活血祛瘀藥인 천산갑의 추가는

만금탕 萬金湯의 천궁과 우슬의 역할을 상승시키며,

평간식풍약 平肝熄風藥인 전갈의 추가는

만금탕 萬金湯의 독활, 진교의 거풍습지비통 祛風濕止痺痛에

항경련 抗痙攣의 효능추가로 해석된다.

이런 면에서 풍담 자통 風痰 刺痛은

한응혈체 寒凝血滯→ 통증발현의 기전으로 설명되며

이에 대응하는 약물추가방안이 된다.

위에서 분석한 독활기생탕 獨活寄生湯처방의

강화의미를 가지고 있다.

3)좌측마비에 백작약, 진피 추가와,

우측마비에 황기 黃芪(蜜炙), 사삼, 백출, 백작약,

오약, 강활, 목과, 부자, 목향의 추가

이는 전적으로 전통한방의

‘중풍 中風- 좌혈우기 左血右氣이론’에

부응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론에 맞게 좌측마비에는

혈가 血家의 약물인 백작약을 추가하고

혈가 血家약물이 갖는 부작용인 점니 粘膩에 대처하기 위한

진피 (행기약 行脾氣)의 추가인 것이다.

반면 우측마비의 경우에는

기가 氣家의 약물인 황기, 백출과

순기약 順氣藥인 오약과 목향

여기에 음양쌍보 陰陽雙補를 감안하여 사삼과 백작약

지통서근 止痺痛舒筋의 강활, 모과

온하초 溫下焦의 부자 추가로 설명되어 진다.

위에서 분석한 팔물탕 八物湯처방의

강화의미를 가지고 있다.

4)유중풍 類中風,

산후의 영허營虛로 인한 언어장애 및

수족부인 手足不仁 : 황기, 백출, 백작약, 모과 추가

이는 기가 氣家의 약물인

보기약 補氣藥의 황기, 백출과

혈가 血家의 약물인 백작약(보혈약 補血藥)을 추가하고

여기에 서근활락 舒筋活絡의 모과를 추가한 처방이다.

즉 보기혈 補氣血의 강화처방으로서,

위에서 분석한 팔물탕 八物湯처방의

강화의미를 가지고 있다.

3.만금탕 萬金湯의 실체

이상을 근거로 만금탕 萬金湯의

뇌혈관질환후유증의 사용근거는

다음과 같다.

1)동의보감, 방약합편 등 문헌상의 설명인

‘治風 補虛 及手足風 累驗, 若手指無力 不半劑而愈’의 내용

①뇌혈관질환의 발병이 상당기간 경과한

허증 虛症( 중풍허증 中風虛症)의 반신불수 半身不遂로,

기혈 氣血이 부족하여 수족 手足에 힘이 없어

손발을 떨고 손가락에 힘이 없어 잘 쓰지 못하는 경우 및

위증 痿證으로 인해 팔다리에 힘이 없고

마비감이 있는 수족무력증 手足無力症에 적응처방이 된다.

②다만 뇌혈관질환이

고혈압에 기인한 경우와 고혈압인 상태에서는,

구성약물 중 인삼과 추가약물에서의

황기 등이 가지고 있는 승양 升陽작용으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사용에 신중을 요한다.

고혈압인 경우에는 인삼 대신

만삼으로 대체함이 원칙적으로 타당하며,

구건 口乾, 인건 咽乾등 양음윤폐 養陰淸肺의 필요성이 있다면

사삼으로 대체하는 것도 무방하겠다.

굳이 인삼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동량의 맥문동을 추가하여 견제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되겠다.

 

주영승 교수

(우석대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한의신문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