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적 본초 읽기 - 두충 칼럼 모음/공병희원장-현대적 본초읽기2021. 3. 16. 09:04
두충은 두충나무과(Family Eucommiaceae)
두충속(genus Eucommia)에 속하는
두충(E. ulmoides Oliv.)의 줄기껍질로서 주피를 제거한 것입니다.
즉 한의학에서 두충은 수피를 지칭하지만,
두충의 잎 및 수꽃(웅화; staminate flower) 역시 약용으로 사용됩니다.
특히 다수의 연구들이 이들의 약용가치를 지지하고 있습니다.
전통적 사용
두충은 『신농본초경』 중편에 수록된 본초로,
약물로 사용된 역사가 가장 오래된 본초 중 하나입니다.
『본초강목』에서는
두충이 신, 골 및 건을 강화한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현대의 중국약전에는 두충의 줄기와 수피를
고혈압, 발기부전, 요통 및 좌골신경통에 사용한다고 나와있습니다.
한국 및 일본에서는 두충의 잎을 약용 및 음료로 사용했는데,
최근에는 두충의 수꽃(웅꽃)을 차로 마시고 있습니다 [1].
성분
두충에서는 현재까지 112종의 성분이 확인되었는데,
주요 활성성분은 lignans와 iridoids입니다.
이외에도 Phenolics, Steroid, terpenoids,
Flavonoids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 성분은 수확시기, 약용부위, 포제 등의 처리 및
추출과정에 따라 함량의 차이가 나타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1, 2].
약리작용
두충의 약리 작용 중 많은 관심을 받은 연구는
항-고혈압, 지질강하, 항-비만, 항-당뇨 작용 등의
대사증후군과 연관된 영역입니다.
특히 일본 후생성은
두충을 고혈압 예방의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하고 있다고 합니다 [1].
고혈압에 대한 두충의 작용의 기전은
NO 조절 및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의 조절 [3],
혈관이완 [4, 5] 등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또한 고혈압 동물모델에서 고혈압-유도 혈관 리모델링을
역전시켰습니다 [6].
또한 두충은 지질저하 및 항비만 작용이 유명합니다.
이러한 작용은 두충잎을 사용한 연구만이 존재하기 때문에,
본초의 사용 부위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1].
두충잎 추출물은 동물연구에서
간의 지방산 및 콜레스테롤 생합성을 억제했으며 [7],
지방세포의 교감신경 활성을 증가시켰습니다 [8].
이러한 효과를 보이는 성분을 찾는 연구도 진행되었는데,
두충잎에 존재하는 Asperuloside 성분이
실험동물의 체중, 백색지방의 무게, 혈중 중성지방 및
지방산 농도를 감소시켰습니다 [9, 10].
두충잎은 항-당뇨 활성도 가지는데,
사실 두충은 전통적으로
당뇨에 사용되는 민간요법의 하나이기도 했습니다.
두충잎의 in vivo, in vitro 연구에 따르면
두충은 전-당뇨 인슐린 저항성 [11] 및
비정상적인 혈관주위 신경분포의 개선 [12],
해당과정의 증가 및 당신생 합성과정의 억제 [13]
그리고 지방산 및 콜레스테롤 생합성을 억제 [7]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두충은 대사증후군에 대한 작용 이외에도
다양한 약리 작용을 보이는데,
두충이 전통적으로 사용된 골관절에 대한 연구 역시 진행되었습니다.
in vivo, in vitro 연구에서
두충 추출물은 뼈모세포(osteoblast)의 증식을 강화했으며 [1],
뼈모세포의 세포자멸사를 억제하고 [14],
뼈파괴세포의 생성을 억제했습니다 [15].
또한 두충은 암컷쥐의 BMP-2, IGF-1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성장판의 연골형성(chondrogenesis)을 증가시켜
장골의 성장을 촉진했습니다 [16].
이외에도 신경계질환 등의 모델에서 신경보호효과를 보였으며 [1, 17],
Aβ-유도 기억손실을 개선하고 [18],
파킨슨병 모델에서도 보호효과를 나타냈습니다 [19, 20].
두충은 피부의 콜라겐 합성을 개선하는 등의 작용을 보고하기도 했는데 [21],
건선에 대한 병리와 양한방의 치료를 리뷰한
Rahman M 연구팀의 보고에 두충을 포함시키고 있어
향후 건선에 대한 두충의 효과 및 기전연구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22].
주의사항
두충은 장기간 약물 또는 음료 등의 식품으로 사용되어왔습니다.
그러나 독성 및 안전평가가 부족한데,
세포 및 설치류에 대한 독성연구는 존재하지만
개, 원숭이 및 인간에 대한 평가는 없습니다 [1].
한 임상연구에 따르면,
두충의 사용군에서 두통, 현훈, 부종 등의
가벼운 부작용의 케이스가 보고되었습니다 [23].
ⓒ 공병희 원장의 현대적 본초 읽기
'칼럼 모음 > 공병희원장-현대적 본초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적 본초 읽기 - 녹용 (0) | 2021.06.01 |
---|---|
현대적 본초 읽기 - 갈근(칡뿌리) (0) | 2021.05.07 |
현대적 본초 읽기 - 금은화 (0) | 2021.02.26 |
현대적 본초 읽기 - 단삼 (0) | 2021.02.17 |
현대적 본초 읽기 - 황기 (0) | 2021.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