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편저자 주

본 기고는 상용한방약물처방과 Ext제제 등

본초학적 입장에서 객관적인 분석자료를 제시,

명실상부한 치료약으로서 한약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기획됐다.

이와 함께 논란대상 한약재 1종의 관능감별 point를

중점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경옥고(瓊玉膏)의 처방의미]

처방명의 瓊玉은 아름다운 옥(美玉)을 말하는 것으로,

진귀하고 감사한(珍賽) 아름다운 옥(瓊瑤)이라는 의미이다.

문헌에 의하면 아주 심한 허로(虛勞)환자에

탁월한 효능을 낸 것에 연유됐다고 한다.

洪氏集驗方에서 인용한 申鐵甕方이며,

기타 여러 문헌에 등장하여 현재까지

건강기능 활성을 위한 처방으로 활용되고 있다.

[瓊玉膏의 구성]

도표의 내용을 정리하면,

1)주된 한약재는

생지황(生地黃), 백밀(白蜜,꿀), 인삼(人蔘), 백복령(白茯苓)이다.

2)기타 의견으로 인삼의 용량을 높인 경우(위생방 衛生方)와,

침향과 호박을 추가한 경우

(구선활인심방 臞仙活人心方, 장씨의통방 張氏醫通方),

호박, 침향, 맥문동,

천문동, 구기자를 추가한 경우(익수영진고 益壽永眞膏-1),

천문동, 맥문동, 지골피를

추가한 경우(익수영진고 益壽永眞膏-2)가 있다.

<처방 분석>

1.주된 구성 한약재 4종 대상 분석

위의 약물 구성에 대해

본초학적으로 재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1)생지황(生地黃)

청열량혈약(淸熱凉血藥)으로서 질윤(質潤)한 성미(性味)가 있어

신음(腎陰)을 윤조(潤燥)시키는 보조효능을 가지고 있다.

보조효능의 경우 열(熱)이 음액(陰液)을 손상한 경우에

보음(補陰)시키는 약물들과 배합되는데(예:活血潤燥生津飮),

이는 자음(滋陰)시킨다는 의미가 아니라 혈열(血熱)로 인한

진액(津液)의 손상을 청열(淸熱)시킴으로써

더 이상의 진액손실을 억제한다는 뜻이다.

경옥고제법에서의 생지황은

불을 이용하여 찌는(蒸) 과정을 거친다는 점에서,

실제 효능은 건지황의 단계인 량혈자음(凉血滋陰)으로

설정하는 것이 마땅할 것이다.

많은 문헌에서 경옥고를 분석함에 있어

생지황의 효능을 자음청화(滋陰淸火)로 기술하고 있는 것도

이를 반영하고 있다고 보겠다.

2)백밀(白蜜, 꿀)

보기약(補氣藥)에 속하는

자양완화(滋養緩和)의 약물로서 보중윤조약(補中潤燥藥인데),

생용(生用)하면 성량(性凉)하여 청열해독(淸熱解毒)하고

숙밀(熟蜜)하면 성온(性溫)하여 보중(補中)한다

(生則性凉 故能淸熱, 熟則性溫 故能補中).

주로 보비(補脾)약물이나

보조적으로 윤폐(潤肺)의 효능을 가지고 있어

기타의 보폐윤폐(補肺潤肺) 약물과 더불어

이러한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경옥고에서의 숙용(熟用)된 백밀(白蜜)은

성질이 약간 따뜻하므로 변한 보비윤폐(補脾潤肺)로 설정된다.

3)인삼(人蔘)

대표적인 보비익기약(補脾益氣藥)으로

비와 페 2경(經)에 작용하는 약물이다.

이는 후천지기(後天之氣)의 주된 장부인 비는(脾)는

생화(生化)의 근원이 되고,

이러한 정미로운 물질은 폐주기(肺主氣)의 작용으로

전신에 전달된다는 점으로 설명되어진다.

경옥고에서의 인삼은 성질이 약간 따뜻한

보피조윤폐(補脾助潤肺)로 설정된다.

4)백복령(白茯苓)

대표적인 이수약(利水藥)으로서

각종 부종을 동반하는 질환에 응용된다.

이러한 작용은 비허기약(脾虛氣弱)으로 인한

수종창만(水腫脹滿)과 소변불리(小便不利)와

비허설사(脾虛泄瀉)에도 응용되는데(예:蔘苓白朮散),

이는 비오습(脾惡濕)의 원리에 따른 것이다.

즉 비허(脾虛)로 수습(水濕)이 내정(內停)되어

나타난 습(濕)을 제거하는데 일정 역할을 함으로써

소화기계통에 좋은 조건을 부여해주는 것이다.

경옥고에서의 백복령은

제비습(除脾濕)→조비약(助脾藥)으로 설정된다.

 

2.기타 약물이 추가된 瓊玉膏의 분석

위의 약물추가에 대하여 본초학적으로 해석하면

침향(沈香-난신(暖腎)과 호박(琥珀(安神)의 추가는 1)의 설명,

천문동과 맥문동의 추가는 2)의 ②③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여기에서 자수청폐(滋水淸肺)시키는 효능의 지골피의 추가는

자음청화(滋陰淸火)의 생지황에 대한 보강을 의미한다.

이 처방 역시 원래 경옥고의 효능으로 언급되고 있는

자보폐신(滋補肺腎), 지음윤폐(滋陰潤肺)에 부합하는 처방이며,

역시 이러한 경우에도 폐열에는 금지하는

인삼을 사삼(잔대)으로 바꾸는 것이 마땅할 것이다.

3.경옥고(瓊玉膏)의 실체

이상 최종적으로 현재 임상에서 응용되는

경옥고의 내용을 현대적으로 재정리하면,

1)경옥고는 몸이 허약해서 발생한 허열 虛熱에 대하여

군약 君藥인 생지황의 청화자음 淸火滋陰으로 대처하였으며,

백밀, 인삼, 백복령등을 활용하여 소화기계통(脾臟)의 기능을

항진시키는데 목표를 둔 보비기 補脾氣 청허열 淸虛熱하는

처방으로 해석할 수 있다.

원래 아주 심한 허로 虛勞환자에

탁월한 효능을 나타낸 것에 연유되었다는 경옥고는

진정보수 塡精補髓, 자보폐신 滋補肺腎, 자음윤폐 滋陰潤肺 등으로

허수 勞嗽, 폐음휴손 肺陰虧損으로 인한 허로건수 虛勞乾咳,

인조객혈 咽燥咯血, 기육소비 肌肉消瘦, 단기핍력 短氣乏力등에

활용된 것을 설명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여기에 대한 현대적인 개념에서 재정리의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원래의 경옥고 적응증상이

모두 폐신허손 肺腎陰虛에 기인된 것을 설명하고 있다면,

보폐신 補肺腎하는 보음약 補陰藥이 당연히

주된 약재가 되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인삼의 경우 폐열 肺熱에 금한다는 점에서

적합하지 않는 약재에 속하는데, 이는 허로虛勞에 열을 조장해

진액을 손상하여 폐의 숙강 肅降기능이 더욱 실조될 수 있기 때문이다.

2)현재 상용되는 경옥고 용도의 대부분이

건강기능증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오히려 소화기계통(脾臟)의 기능을 항진시키는

인삼의 용량을 높인 위생방 衛生方의 경옥고가

더욱 바람직하다고 말할 수 있겠다.

이는 경옥고가 ‘배토생금 培土生金’하여

호흡기쇠약증의 경우에도 자음윤조 滋陰潤燥한다고

정리될 수 있다.

3)한편 원래의 경옥고의 문헌기록인

자보폐신 滋補肺腎, 자음윤폐 滋陰潤肺의 용도로 활용을 한다면,

보음약 補陰藥이 추가된 익수영진고 益壽永眞膏 종류가

더욱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는 경옥고 처방중의 인삼을

사삼으로 반드시 바꾸어야 할 것이다.

주영승 교수

(우석대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한의신문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뽕나무장작을 때는 전통방식 경옥고 작업.

 

개소리 닭소리 안들리는 깊은 산 속에

집을 짓고 경옥고를 빚어 본 적이 있다.

밤새 동솥에 끓는 물소리를 견주어 가며

장작을 때다 보면 사이사이의 토막잠도 꿀맛이다.

밤의 피로를 풀기 위해 새벽에 경옥고를 푼

뜨거운 차를 한잔 마신다.

찻잔 옆에 붙은 찌꺼기도 아까워

다시 찻잔을 헹구듯 물을 부어 마신다.

오랫동안 경옥고를 만들면서

경옥고의 주약은 아마 생지황과 복령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9증9폭으로 법제한 숙지황의 쓰임새 못지 않게

생지황은 그 자체만으로도 주목할 만한 약이다.

땅의 정수를 뽑아 갈무리한 약성을 지닌 생지황은

무와는 다른 끈적이는 진액 같은 무엇이 있다.

즙을 짜고 반죽할 때 느낌에서도, 맛에서도,

그리고 임상에서도….

“숙성을 통해 서로의 기운이 합해져

인삼, 복령, 지황, 꿀이 아닌 경옥고라는 명약이 탄생한다”

그래서 생지황은 유독

혈액과 관련이 많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혈약으로 작약과 목단피가 있지만 생지황은

또 다른 느낌으로 혈액의 응체를 풀어주는 좋은 약이다.

생지황의 즙을 가열과 증발로 졸여나가면

찬 성질은 감해지고 마치 링겔처럼 메마른 땅을 적시는

보음 양혈의 좋은 효능을 가지게 된다.

복령은 썩지 않고 변하지 않는

영생 불멸의 기운을 가진 약이다.

자양분을 주는 소나무의 뿌리는 썩어 들어가도

복령은 오랫동안 생생히 살아남는다.

복령의 주성분은 물에도 잘 녹지 않아

가루로 만들어 통째로 먹어야 효과가 좋다.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경옥고는

영생 불멸의 기운을 담은 복령을

매일 먹기 위한 방편일 수도 있다.

꿀은 수많은 벌들이 티끌 모아 태산을 만든 정화이다.

벌들은 빽빽하고 치밀하게 자신과 자손이

생명을 이어갈 양식을 압축하여 갈무리한다.

경옥고에서는 생명을 이어갈 양분을 좋은 꿀에서 취하였다.

꿀과 약재가 반죽이 되면서 중탕으로 고아지고 또 고아져서

작은 양으로도 큰 에너지를 낼 수 있게 응축시킨다.

“경옥고는 젊음을 추구하던 옛 사람들이

영생불멸의 기운을 매일 먹기 위한 방편일 수도 있다”

경옥고에 인삼이 들어가지만

소량이라 생명을 불어넣는 촉매와 같은 역할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풀무질을 하듯 경옥고를 통해 들숨 날숨을 계속 이어나가는

추동력을 인삼으로 역할을 하게 한 것이 아닐까.

5일간의 밤낮을 아우르는 작업을 마친 다음

반드시 거쳐야 할 숙제가 있다.

바로 숙성의 문제이다.

4가지의 재료가 섞이긴 했지만

하나의 기운으로 통일되기 위해선 부족하다.

차분히 가라앉는 숙성의 기간을 통해 서로의 기운이 합해져

인삼, 복령, 지황, 꿀이 아닌 경옥고라는 명약으로 탄생하는 것이다.

경옥고의 완성도를 좌우하는 깊은 맛은

숙성의 정도에서 나온다는 것을

오랜 경험을 통해 알게 됐기에 이야기해 본다.

경옥고와 관련된 많은 문헌을 찾아보면서

무병장수를 꿈꾸는 많은 사람의 욕구를 맞추기 위해

많은 의학자가 고민했던 흔적을 읽을 수 있었다.

나날이 쇠약해져 가는 육신을 바라보며

젊음을 유지하고자 했던 그 시대 사람들의 고민은

곧 우리에게도 현실로 다가올 것이기 때문에….

허담/ 한의사. (주)옴니허브 대표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경옥고

체력이 허약한 사람의 피로권태, 병후쇠약, 갱년기장애 등의 증상에 쓴다.

 

귀기건중탕

체력이 허약한 사람의 피로권태, 도한, 만성화농증, 복통 등의 증상에 쓴다.

 

공진단

허약체질, 자율신경실조증, 갱년기장애, 저혈압, 빈혈, 만성소모성질환,

정력감퇴 등으로 피로하며 얼굴색이 창백하고 시력이 저하되거나

허리와 다리가 시리고 저릴 때 쓴다. 또한 노화방지 목적으로 응용한다.

 

녹용대보탕

정력감퇴, 만성 소모성질환, 병후회복, 중년이후 허약자, 불임, 자율신경질소증 등으로

몸이 쇠약하고 정신이 피로하며 근골이 약해져 허리와 다리에 힘이 없고 시큰거리며

심계항진, 유정, 어지럼증 등의 증상에 쓴다.

 

당귀건중탕

체력이 허약하고 빈혈이 있는 사람의 월경불순, 월경통, 복통

특히 하복부통이 심하여 허리와 배까지 당기는 듯한 통증에 쓴다.

 

당귀육황탕

도한, 얼굴색이 붉고 열이 나면서 입안이 건조하고가슴이 답답하며

소변색이 짙고 변보기가 힘든 증상 등에 쓴다.

 

당귀음자

피부소양증이 있고 기운이 없으며

혈액이 부족하여 피부가 건조하고 몹시 가려우며

환부에 분비물이 적은 증상에 쓴다.

특히 노인이나 허약한 사라의 피부소양증에 응용한다.

 

대영전

월경불순, 관절통, 요통 등으로 혈액이 부족하며

영양공급이 잘 안되어 근육과 뼈가 시큰거리고 아플 때 쓴다.

 

대조환

혈액이나 호르몬 등의 체액부족으로 체력이 허약하며

기운이 없고 쉽게 피로해지며 마른기침, 산후 또는

노년기의 체력저하, 근골쇠약, 정력감퇴 등의 증상에 쓴다.

 

보간환

빈혈, 혈액순환장애, 간기능 저하 등으로 안색이 나브고 뒷목이 뻣뻣하며

눈이 피로하고 어지럼증, 피로권태 등의 증상에 쓴다.

 

보중익기탕

만성 피로, 수술 또는 중병 후 체력저하, 아토니증상 등으로

식은땀이 나며 기운이 없고 피로하며 손발을 움직이기 싫고

말소리가 작고 눈에 힘이 없으며 식욕부진, 두통, 내장기관의 하수 등의 증상에 쓴다.

 

보허탕

산후에 기운이 없고 혈액부족, 소화기능저하, 식욕부진, 부종 등 산후조리에 쓴다.

 

사군자탕

위장허약, 소화불량, 위하수, 만성위염 등으로

기운이 없고 피로하며 말소리가 작고 눈에 힘이 없으며

식은땀, 식욕부진, 구토, 복부팽만, 설사 등의 증상에 쓴다.

 

사물탕

월경불순, 월경통, 무월경, 빈혈, 각종 출혈, 건성 피부질환 등으로

얼굴색이 창백하고 피부가 거칠며 윤기가 없고 눈이 피로하며 건조하고 침침하며

가슴이 두근거리고 근육긴장, 근육경련 등의 증상에 쓴다.

 

생맥산

여름철 일사병, 탈수로 땀을 많이 흘리고 갈증이 심하며 전신이 피로하고 권태로운 증상에 쓴다.

 

소건중탕

복통이 있는 허약한 사람이 피로하고 추위를 잘 타며 식은땀이 나고

소변을 자주 보며 배꼽주위의 경련성 동통, 설사, 영양부족이나

신경성 또는 한냉자극으로 인한 복통 등의 증상에 쓴다.

허약한 사람의 체질개선에 응용한다.

 

십전대보탕

대수술 후, 소모성질환, 과로 등으로 전신 쇠약, 피로권태, 식욕부진, 도한, 빈혈 등의 증상에 쓴다.

 

쌍화탕

과로, 과다한 성생활, 감기 등으로 체력이 떨어져 피로권태, 미열, 도한 등의 증상에 쓴다.

 

연주음

빈혈로 얼굴색이 창백하고 가슴이 두근거리며 어지럽고 귀가 울리며 얼굴 부종 등의 증상에 쓴다.

 

연령고본단

현저하게 체력이 저하되었거나 중년 이후의 노쇠현상으로

기억력저하, 시력저하, 정력감퇴, 배뇨장애, 하지무력, 요통, 남녀불임 등의 증상에 쓴다.

 

육미지황탕

소아의 발육부신, 성장통, 지능발달부족, 야뇨증과 고혈압, 당뇨, 만성신염,

정력감퇴, 월경불순, 요통, 관절통 등으로 피로하기 쉽고

어지럼증, 이명, 도한, 허리와 무릎에 힘이 없는 증상 등에 쓴다.

 

자음강화탕

만성기관지염, 폐결핵, 건성늑막염, 당뇨, 성신경쇠약 등에 체액부족으로

오후에 미열이 나고 구갈, 식은땀, 마른기침 등의 증상이 있을 때 쓴다.

 

팔물탕

산후나 수술 후 기운이 없고 빈혈, 전신권태, 식욕부진, 어지럼증, 두통 등에 쓴다.

수술 후 회복제로 응용한다.

 

팔미지황환

요통, 좌골신경통, 만성신염, 당뇨, 자율신경실조증, 전립선비대증, 임포텐스 등으로

추위를 타고 동작이 느리며 기억력 감퇴, 이명, 배뇨곤란, 요실금, 유뇨,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힘이 없는 증상에 쓴다.

 

황기건중탕

기운이 없고 쉽게 피로하며 어지럽고 목소리에 힘이 없으며 식은땀이 나고

식욕부진, 복통 등 허약한 사람이나 병후 회복에 쓴다.

잘 아물지 않는 피부나 조직의 궤양 등에 육아형성을 촉진한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