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내용

45세의 부인이 수년간 기침을 계속하였는데

야간에는 너무 심하여 수면을 못하는 때도 많으나

痰唾(가래침)는 조금도 없으며 신체에 하등의 다른 증상은 없으나,

점차 수척하며 중환자의 형태로 쇠약해지는데

종합진찰에도 병은 없고 신경성 질환이라 단정하며

장기간 치료를 하여도 아무 효과가 없고

백방으로 가료하여도 무효하고 날로 약해져

피골이 상접되고 해수는 점점 더 심하였다.

필자의 우견으로 담타가 없으며

타증도 전무하고 육맥이 미약하므로 乾咳로 진단,

潤肺四物湯을 투여하였다.

복약한 그날 밤에 기침 없이 편히 자고

5일간 복용 후에는 기침소리가 전무,

점차 음식을 잘 먹고 기혈이 회복 완치되었다.

(崔錫柱 편저, 『月海 새方藥整理』, 해진출판사,

2015의 潤肺四物湯에 대한 ‘雲溪 治驗例’)

윤폐사물탕(潤肺四物湯)

當歸, 川芎, 白芍藥, 熟地黃 各 一錢二分半,

天門冬, 麥門冬, 杏仁, 黃栢炒 各一錢,

竹瀝 一匙

부가설명

김정제(金定濟) 교수(1916∼1988)는

한국 한의학의 정체성을 정립한 거목이다.

호가 운계 雲溪로 1963년 대한한의사협회장으로

6년제 한의과대학의 기틀을 마련하였고

동양의약대학 東洋醫藥大學의 관선이사장직을 맡았으며,

1965년 동양의약대학이 경희대학교로 합병되자

경희대학교의 교수로 취임하여 후학들의 교육에 힘쓰기 시작하였다.

1977년 의과대학 한의학과가

한의과대학 한의학과로 개편되면서

초대학장에 취임하였고 부속한방병원장까지 겸임하였다.

1973년에는 사재를 출연하여 동양의학연구소 東洋醫學硏究所라는

재단법인을 설립하여 한의학 연구에 이바지 하였으며,

『진료요감 診療要鑑』이라는 저작을 간행하기도 하였다.

위의 醫案은 최석주 崔錫柱(1938〜2012)의

『월해 月海 새 한방정리 方藥整理』에 소개된

雲溪 金定濟의 醫案이다.

崔錫柱의 설명에 따르면

潤肺四物湯은 當歸, 川芎, 白芍藥, 熟地黃 各 一錢二分半,

天門冬, 麥門冬, 杏仁, 黃栢炒 各一錢, 竹瀝 一匙로 구성된 처방으로서

“폐의 진액이 고갈되어 기침만 하고 담이 없는 증상으로

십여 번 기침하면 담이 조금 나올 수도 있다”(『月海 새方藥整理』의 설명)고 한다.

이 자리를 빌어서 金定濟敎授님의 醫案의 기록을

발굴하여 정리해주신 故 최석주선생님과

月海學會 관계자님들께 경의를 표하는 바이다.

 

김남일 / 경희대 한의대 의사학교실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내용

① 제반 축농증인데 오래되지 않은 축농증에는

6첩 내지 한두첩이면 효과 반응이 좋게 나타나는데

대개 20첩이면 완치되는 처방

가미갈근탕(加味葛根湯)이 있다.

갈근 12g, 마황(탕포), 길경, 석고 각 8g,

백작약 4~20g, 황금, 백작, 신이 일전. 감초 각 4~20g

강3 조3. 이상 수전복.

대인은 1일 2첩, 10세 미안 아이는 1일 1첩을

오전오후에 분복한다.

만성에는 20첩 내지 30첩이면 완치가 된다고 한다.

② 건수(乾嗽: 마른기침)한 것은 글자 그대로

가래가 별로 없으면서 마른 기침 소리를 내면서

양방병원 치료를 받아도 좀처럼 낫지 않는 기침을 말한다고 한다.

이와 같은 기침과 소아천식에 잘 듯는다고 한다.

마른기침 처방

熟地黃 三∼五錢,

當歸, 白茯苓, 貝母, 桔梗 二錢,

桑白皮, 地骨皮, 陳皮 一錢半,

麥門冬去心, 瓜蔞仁, 杏仁, 五味子, 甘草 一錢半,

白芥子 七分. 生薑五片.

以上 수전복, 1일 1첩씩 오래된 마른 기침에도

40첩이면 완치된다고 한다.

소아천식에는 금수육군전(金水六君煎)에

오물탕(五物湯)을 합방 사용하면 잘 듣는다고 한다.

약량은 본방양에서 반을 줄이고

반하대신 패모를 넣어 사용한다고 한다.

(許在淑, 治驗愛用方, 『醫林』제154호, 1983)

부가설명

허재숙(許在淑) 선생(1918∼?)은

전라북도 진안 출신으로서 서울시 보광동에서

이제한의원을 운영하였다.

위의 醫案은 의안이라기 보다는

허재숙선생이 평소에 많이 사용했던 경험방으로서

자신있게 독자들에게 소개하고 있는 것들이다.

이 의안들에 대해

『醫林』제154호 편집자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허재숙선생은 치험애용방이면서

효율이 60% 이상가진 치험방을 발표하하였다.

발표에 앞서 오늘 발표하는 치험방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한두번 사용하여 효과반응이 없다 하여

실망감을 가지면서 단념하지 마시고

계속 집념으로 여러번 사용하면

반드시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며

효과를 얻게 되면 자신이 생겨

더욱 사용할 의욕이 생기고

임상연구가 새로워질 것이다.”

 

김남일 / 경희대 한의대 의사학교실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