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1.정전가미이진탕

체한것오래감.

흉만 비색감 눈 침침하고 귀에서 소리

 

크게나서 상대방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는 정도.

눈보니 잔뜩 충혈 척택부와 삼리부의 청근을 자락

 

약은 정전가미 이진탕을 반제주었는데

안구충혈과 심한 이명은 1회후 없어졌습니다.

 

2.행체탕 - 신경성 소화불량

향부자1.5

진피 창출 오약 천궁 소엽후박

지각 산사 신곡 계내금 곽향 1

빈랑 목향 감초0.8

 

3.향사육군자탕 - 주체,식욕부진,기울증.

治不思飮食 食後倒飽者脾虛也

[活套]脾虛入 蔘三五錢

 

香附子 白朮 白茯笭 半夏 陳皮 白豆구

厚朴 各一錢 砂仁 人蔘 木香 益智仁 甘草 各 五分

薑三片 棗二枚

 

4.정기천향탕 - 신경성 흉통 담결림,흉통

 

*기울이 심해져서 나타나는 흉통 증세에 쓸수있는

교감단,향소산,행기향소산,신계향소산,

정기천향탕 중에서 흉통이 된지 시간이 꽤 지났고

정도도 심하여 정기천향탕을 쓰기로 한 것이다.

향부자3 오약 진피 소엽1 건강 감초0.5돈.

 

*가슴이 뛰고 답답한 증상 단중에서 명치 부위

뻐근한 통증. 기울로 보고 정기천향탕 배량에

담결림에 백개자

 

향부자6 오약 진피 소엽2 건강 감초1 + 백개자4돈

 

5.증미이진탕과 속쓰림

 

2-3년전부터 속쓰림 .식후 속이 화끈거리면서

쓰리다가 땡기면서 아프다.

공복시 속쓰림은 없다.

운전시 배가 답답하고 손을 배에 올려놓고 다닌다.

위궤양과 십이지장궤양이 있다.

속이 더부룩하고 헛배가 부른다.

피로할 때 속이 느글거린다.

아침 기상시 얼굴이 붓는다.

추위를 심하게 타고 더위를 타는 편이다.

손, 발, 윗배가 약간차다.

식사량이 일정하지 않고 저녁을 많이 먹는다.

소변이 시원치 않고 소변색이 탁하고 거품이 난다.

가슴이 뛰고 답답하며 한숨을 쉰다.

눈이 피로하고 짜증이 나며 손떨림이 있다.

아침에 잘 못일어난다.

방약합편 하통 32 증미이진탕 1.5배량 + 모려6 녹용3g

 

半夏 陳皮 赤茯령 梔子炒 黃連炒 香附子 各一錢

枳實 川芎 蒼朮 各八分 白芍藥七分 神곡炒五分

甘草三分 薑三片

 

6.대화중음 - 위염

 

10여년전인 20대부터 위장이 좋지 않았으며

과식하면 답답하고 명치를 누르면 통증이 온다.

 

소화력이 약하고 속이 더부룩하다.

병원에서 위염으로 진단을 받았다

방약합편 하통25 대화중음 배량 10일분 20첩

 

산사 맥아4 진피 후박 택사3 지실2 사인1돈

 

7.육군자탕 - 위암,소화불량,복명

 

암의 판정을 받고 거의 피골이 상접하다시피한 부인.

속에서 부극부극 물소리가 난다는점을 보고

배속에 수분이 과다하게 울체되어 있구나 하고

거담습을 할수 있으면서도 기운을 돋구고

소화 시키는데도 도움을 줄수있는 육군자탕.

 

기허담성에 쓰는 육군자탕 본방으로

10일분 20첩을 지어주었다

암으로 판정을 받은지 20여 동안 생존

 

반하 백출1.5 진피 백복령 인삼1 감초0.5돈

 

8.인삼양위탕

식후식체, 소화불량 위괘양,속쓰림,편두통

 

기울. 손목이 시리고 저린 증상.

소화불량 음식을 먹으면 바로 식체.

명치부위가 답답 통증

 

원래 속쓰림에는 통상적으로

증미이진탕을 쓰며 소화기가 약한경우에는

향사양위탕을 쓰나

 

아가씨는 소음인 체질이며

허약을 기반으로 소화기전반적인 기능저하와 제반증상.

인삼양위탕

 

蒼朮一錢半 陳皮 厚朴 半夏製 各一錢二分半

赤茯령 藿香 各一錢 人蔘 草果 甘草炙 各五分

棗二枚 薑三片 梅一箇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겨울에 왜 장염이 흔하고 중이염이 많아지는 것일까?

장염이 습열병(濕熱病)이라는 것은

우리가 모두 잘 알고 있는 사실이다.

임상가에서 중이염을 풍열병(風熱病)으로 보고

형개연교탕이나 만형자산 등을 자주 사용하는데

필자가 보기에는 중이염도 역시 습열병(濕熱病)이 대부분이다.

그래서 肝經의 습열(濕熱)을 치는 용담사간탕을 많이 사용한다.

그 증상이 눈곱이 많아지고 소변이 삭하고 냄새가 나며

요도에 염증이 생기기도 하며 가렵기때문에 어린들은 자꾸 손이 간다.

그리고 역시 머리에 땀이 나는데 후두부(後頭部) 쪽에서 뒷목까지 나고,

아울러 짜증이 많고 결막염이나 방광염이라는 진단을 병원에서 받는 것 같다.

앞에서도 말했지만 겨울인데

왜 습열병(濕熱病)이 많아지는 것일까?

역시 날씨가 추워지면서 피부가 막혀서

수분이 발산되지 않기 때문에

수분을 흡수하는 기능이 약해지기 때문이다.

기분(氣分)에 습(濕)이 울체되면 장염으로 나타나고,

혈분(血分)에 습이 울체되면 간으로 들어가

중이염과 같이 눈곱 소변불리 등을 동반하는 것이다.

장염(腸炎)·중이염(中耳炎),

기분(氣分)과 혈분(血分)에 울체된 습(濕)이 원인

물론 이것 이외에 피부가 막힘으로 인하여

직접 폐에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코막힘을 필두로 하여

천식, 기흉 등이 나타난다.

어린이들이 스키장에 가거나 혹은

야간이나 주간에 찬바람에 노출되면

평소 천식기가 있거나 경피증(硬皮症)이 있던 아이들은

몸에서 땀이 거의 나지 않고 몸이 늘어지고 심하면

가슴통증이나 가슴답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아울러 구역과 구토를 겸하는 경우도 많다.

폐창증이나 천식을 앓는 아이들은

이미 경피증(硬皮症)이 있는 사람들인데

경피증(硬皮症)은 진액(津液)이 말라서 조담(燥痰)이 되고

혈이 엉켜서 어혈이 되어 이들이 피부에서 말초혈관을 막고

기공(氣孔)을 막아 피부가 굳어진 것이므로

담(痰)이 많고 아울러 속에 어혈(瘀血)이 많은 환자들이다.

왜 현대인에게 이러한 환자가 많은가?

현대인은 먹는 양이 많고 옷이 두껍고

일이나 운동이 부족하기 때문에 담과 어혈이

많아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다행히 평소에 쌀밥보다 보리밥을 많이 먹고

나물과 채소를 많이 먹고 운동을 많이 한 사람이라면

문제가 없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본론으로 돌아가서

가슴답답증과 가슴통증을 호소하면서

기력이 없어 자꾸 누우려고 하는 것은

폐가 심장에서 생기는 열을 식혀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기력이 떨어지는 것은

심장을 구성하고 있는 근육이 약해서만이 아니다.

실제로 심장을 구성하고 있는 심근이 무력한 경우는

심허(心虛)가 아니고 실은 비위(脾胃)의 허증(虛證)이다.

식사를 못하고 복통설사를 하는 사람은 비위의 虛證이다.

이러한 사람은 대개 겨울보다 오히려 여름에 병이 잘 발생한다.

바로 淸暑益氣湯이나 理中湯加減方이 여기에 해당된다.

그러나 겨울에 발생하는 가슴통증은

대개 폐가 냉각작용을 하지 못하여 심장이 과열된 것이다.

그러므로 신속히 폐와 피부를 열어 땀이 나도록 하는 것이 급선무이고,

간에 어혈이 많아 담즙의 분비가 신통하지 않아

구역과 구토가 오는 경우는 담즙을 여는

小承氣湯이나 枳實導滯湯을 사용하여야 한다.

심장의 과열로 생기는 흉통,

폐와 피부 여는 치료가 급선무

그리고 근본적으로는

몸 안에 어혈(瘀血)과 담(痰)을 푸는 약을 사용해야 한다.

어혈을 푸는 데는 서각지황탕을 많이 사용하고

담(痰)을 푸는 데는 과루인, 패모, 우담남성 등을 사용하고,

담(膽)을 여는 데는 지실, 대황을 많이 사용한다.

그리고 폐를 열기 위해서는

麻杏甘石湯을 많이 사용하는데 여기에 어려움이 있다.

실제로 임상에서 麻黃을 사용하여 보니

太陰人은 탈이 없는데 少陽人은 문제가 생긴다.

특히 少陽人이면서 津液이 마른 사람은 문제가 많다.

그래서 전호, 방풍, 강활, 독활 등으로 대체하기도 하는데

폐에 조열(燥熱)이 심한 사람은

아예 銀翹散이나 桑菊飮에서 많이 사용하는

금은화, 연교, 상엽, 감국 등의 신한 약을 사용하고,

땀이 나지 않는 사람은 두시나 형개를 같이 사용하는 게 나을 것 같다.

장염이 있는 사람은 아직 몸에 습이 있는 사람이므로

마황을 사용해도 문제가 덜 생기는데

장염이 없고 변비만 있는 사람은 腸까지 마른 사람으로

진액(津液)이 없는 사람이므로 마황의 사용에 주의를 요한다.

장염에 대해서는 앞주에 말하였으므로 생략하고

중이염(中耳炎)에 대하여 좀 더 생각해 보기로 하자.

중이염 환자 중에 간혹 냉증(冷症)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역시 혈분에 습열(濕熱)이 들어가서 만들어내는 병증이다.

물론 장염환자에게서도 냉증(冷症)을 호소하는 사람이 있다.

어린이들 중에 중이염을 호소하지 않더라도

눈곱이 많거나 눈이 가렵고 소변이 삭하고 불리하면

반드시 중이염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

중이염 걸린 아이 원기(元氣)·흑변(黑便) 고려를

대개 중이염이 걸리면 병원에 가서 항생제를 복용하게 된다.

다행히 아이가 원기가 실하여 항생제로 중이염이 낫는 경우도 있겠지만

원기가 약한 사람은 중이염이 낫지 않고 그냥 잠복하고 만다.

항생제를 복용하고 아이의 원기가 더욱 약해지면

귀안은 깨끗해지지 않지만 귀가 아프거나 가렵거나 하는 증상은 없어진다.

그러면 중이염이 나은 것으로 치부하고 치료를 중단한다.

그러다가 원기가 실해지는 아이는 다시 중이염이 재발하지만

원기가 회복이 잘 되지 않는 아이들은

중이염증상이 크게 나타나지 않고 지내게 된다.

물론 눈이 가렵고 소변이 불리하고

冷이 흐르는 등의 증상이 가볍게 나타나고 있는 것은 틀림없다.

이러한 경우에 한방치료를 하면서 중이염을 생각하지 않고

또한 元氣가 약한 것을 고려하지 않으면 병이 잘 낫지 않는다.

원기가 약해지는 원인은

물론 타고난 경우가 제일 많지만 黑便을 보는 경우가 많다.

즉 대변에 潛血이 빠지는 아이는 면역력이 떨어진다.

또 하나는 딸꾹질을 하는 아이는 병이 낫지 않는다.

또 하나는 여기 消渴症에 不眠이 있는 아이도 병이 잘 낫지 않는다.

黑便은 어혈이므로

서각지황탕에 지유, 괴화, 백모근 등을 가미하고,

딸꾹질을 하는 경우는 小定風珠를 합하고

소아 消渴은 連梅湯을 같이 사용한다. <계속>

박찬국(함소아한의원장)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