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치(자초)-지치의 분포 및 재배적지
1. 분포 및 용도
지치 생약명 자초근(紫草根, Lithospermum erythrorhizon Siebold et Zuccarini)은
지치과의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뿌리를 한약재 또는 색소용으로 이용하는데
acetylshikonin, shikonin이 함유되어 있다.
그리고 약리작용은 황체형성 호르몬을 억제하고 항균, 항염증 작용, 항종양 효과가 있으며
민간에서는 화상, 동상, 수포 등에 외용되며 해열, 이뇨, 피임약으로 쓴다.
국내에서는 지치뿌리를 식용색소로 이용하는데
지치를 이용하여 만드는 증류주인 진도 홍주는
수백 년 동안 전승되어 오면서 전통주로 자리잡고 있다.
지금까지 지치 자생지에서 무분별한 채취로 자원이 고갈되었고
노지재배에서 장마철 고온다습 조건 및 뿌리썩음 증상이 심하게 발생하여
안정생산에 어려움이 크다.
2. 지치재배에 알맞는 토성
지치재배에 알맞는 토성을 알아보기 위해
토성이 다른 사양토, 양토, 식양토에서 지치를 재배하여
병해 및 뿌리생육량을 비교하여 본 결과 뿌리썩음병은
토성에 따라서 일정한 경향을 발견할 수 없었으나
뿌리의 생육은 주근의 길이나 10a당 마른뿌리 수량인 건근중과
굵은 뿌리의 비율인 상근비는 사양토보다 양토나 식양토에서 좋았다.
즉 뿌리썩음병은 토성보다는
다른 요인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이며
생육은 양수분의 보유력(CEC)이 떨어지는 사양토보다는
양토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1).
토 성 |
공극률 (%) |
점토함량 (%) |
재생률 (%) |
병해 (%) |
주근장 (㎝) |
수량(kg/10a) |
상근중비율 (%) |
|
건근중 |
지수 |
|||||||
사양토 |
45.6 |
11.6 |
90 |
30 |
16.0 |
103 |
100 |
64 |
양 토 |
48.8 |
14.6 |
97 |
18 |
19.7 |
130 |
126 |
72 |
식양토 |
56.3 |
53.5 |
94 |
23 |
18.1 |
112 |
109 |
68 |
주 : 1) 병해 : 뿌리썩음병, 2) 작기 : 파종(7월 20일), 수확(익년 6월 20일)
3. 지치재배에 알맞는 토양산도
토양산도에 따른 지치의 생육을 보면 pH 5.0~6.0에서
봄철에 새싹이 움터 나오는 재생률이 높았으며
전반적으로 생육이 왕성하여 수량도 pH 7.0~8.0 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뿌리썩음병의 발생률이 pH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지치는 알칼리성 토양보다는 pH 5.0~6.0의 약산성토양에서
병도 적고 생육도 왕성한 것으로 보아서 약산성이 적지인 것으로 나타났다(표 2).
토양산도 (1.5) |
재생률 (%) |
경장 (㎝) |
경태 (㎜) |
뿌리썩음병 (%) |
주근장 (㎝) |
주근경 (㎜) |
수량(kg/10a) |
상근중 비율 (%) |
|
건근중 |
지수 |
||||||||
5.4 |
95 |
87 |
8.13 |
22 |
17.0 |
13.79 |
109 |
100 |
68 |
6.5 |
96 |
93 |
8.42 |
19 |
18.2 |
14.46 |
115 |
106 |
71 |
7.4 |
92 |
76 |
7.08 |
32 |
15.6 |
12.53 |
90 |
85 |
64 |
8.5 |
90 |
65 |
6.81 |
38 |
14.2 |
11.32 |
78 |
74 |
60 |
주 : 1) 토양산도 : 시험전 토양산도
2) 작기 : 파종(7월 25일), 수확(익년 6월 30일)
참 고 문 헌
이승필 외. 1998. 토양 pH가 더덕의 조성분과 정유성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약용작물학회지 6(4) : 239-244.
Chang, S.M. et al. 1989. Effects of soil property and the contents of inorganic constituents in root
on the baicalin contents of scutellaria baicalensis G. root.
J. Korean soc. soil sci. fert. 22(3) : 234-238.
Kim, M. S. et al. 2001. Effects of soil textures and fertilizer applications conditions
on growth, yield and quality of S. Baicalensis G. Korean J. Medicinal crop
sci. 9(2) : 91-98.
Seong, J. D. et al. Effects of soil textures on growth in Liriope platyphylla W.T.
and Platycoden grandiflorum D.C. Res. rept. of National Yeongnam Agri. exp.
stn. RDA. Milyang, Korea 315-319
Seong, N.S. et al. 1994. Effects of soil textures on growth and saikosaponins
content in Bupleurum falcatum L.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3) : 193-197.